어휘의미론 - 분류위계조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하의관계와 비양립성

2.2. 분류관계

2.3. 자연적 분류 위계조직의 특성

3. 결론

본문내용

대한 상위의 용어가 없다(그러나 만약 run, walk 등이 swim, fly와 동일한 위계적 층위에 있다고 생각되면 이 주장은 아무런 영향도 받지 않는다). 또, 공분류어들은 대체로 비양립어들 일 것이다.
이것은 분류관계에 관하여 동사, 형용사와 같은 서술 용어들의 의미가, 명사의 의미보다 훨씬 더 문맥의존적임을 의미한다 ; 실제로 그들의 의미는 밀접하게 관련된 명사들의 의미에 여러 방식으로 의존한다. 그러므로 문맥 밖에서의 동사나 형용사의 의미에 관한 불확정성의 척도가 있다. 따라서 서로 연관되지 않은 동사들로 구성된 위계조직이, 명사들로 구성된 위계조직에 의하여 나타난 엄격한 의미 구조화를 보여줄 수 없다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지도 모른다. 그러나 서술 용어가 한 특정한 주어 명사구에 한정되면, 더 확정적이고 엄격한 위계적 속성이 다시 나타난다. 따라서 In what ways can a fly move?에 대한 답으로, It can fly, crawl or walk는 정상이 아닐 것이다 : 정확하게 비양립어인 공분류어들의 집합을 내어놓아야 한다. 결국 엄격한 위계적 방식으로 작용하는 요리 동사들을 얻는 유일한 방법은 그들을 한 특정한 구에 한정하는 것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 What ways are there of cooking chicken?
2.2에서 분류관계는 본유적으로 구분된 관계, 즉, 발산하는 분지를 보장해주는 관계로 제시되어 있다. 이것에서부터 우리는 결코 다음과 같은 구조를 만날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올 듯 하다.
A B
C
이 경우 C는 동의어가 아니며, 하나가 다른 하나의 분류어가 아닌 A와 B 양자의 분류어이다. 실제로 그런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만약 A와 B가 다른 분류 위계조직에 속한다는 것을 밝힐 수 있다면, 그런 경우는 본유적으로 구분되는 분류관계와 양립할 수 있다. 즉, 분류 위계조직들은 비수렴 분지 원리를 위태롭게 하지 않고서도 교차하도록 허용될 것이다. 다음은 교차하는 분류 위계조직들의 한 보기이다 :
building
(holy place)
office-block cinema pub church synagogue mosque shrine
본유적으로 구분되는 관할 관계와 공기해서는 안 되는 것은 동일한 분류 위계조직에서의 수렴 분지이다. 즉, 그 분류 위계조직의 가장 포괄적인 용어로 시작해서, 위에서부터 밑으로 위계조직을 구성하면, 어떤 수렴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2.4. 과잉구체화, 과소구체화, 속 층위
한 언어의 화자로서 우리가 통제하고 있는 언어학적 변항들 중의 하나는 표현의 의미적 구체성이다. 우리는 한 표현에 매우 가벼운 의미적 짐을 부여할 수 있다 :
We found a THING in the attic
또는 많은 의미를 하나로 묶을 수 있다 :
We found a SEVENTEENTH CENTURY SILVER SNUFF-BOX in the attic
그러나, 만약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하기를 원하면, 특정한 상황에서 구체성의 층위 선택에 관한 어떠한 제약을 받아야 한다. 예컨대, 한 지시표현은 청자가 의도된 지시 대상물을 알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를 지녀야 한다. 요구되는 정보량은 상황에 따라 변한다. 한 특정한 책을 구하려고 하는데, 이 때 단순히 Please give me that book 이라고만 말할 수 있다고 치자. 그러나 예컨대, 도서관이나 서점에서 그것은 부적절한 요구이다. 그리고 Please give me the French-Somali dictionary at the of the second shelf from the top. 과 같은 더 구체적인 요구를 필요로 할 것이다. 따라서 성공적으로 지시할 필요가 있다면, 지시 표현에 대한 구체성의 층위에 그 하한선을 정하여야 한다.
한 표현의 구체성을 증가시키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방법은 결합적 수식어를 덧붙이는 것이다 : the book, the red book, the tattered red book, the tattered red book on the table in the hall 등. 관심을 더 직접적으로 끌어야 한다면, 하의어들로 한 표현 내의 하나 이상의 어휘항목을 대치하는 방법이 있다 : It's an animal, It's a monkey, It's a colobus. 둘째 방법은 적절한 어휘항목들이 존재할 때 선호된다.
우리는 과잉구체화가 그 의미적 효과를 위하여 의도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았다. 공교롭게도, 분류학적 위계의 속 층위에 속하는 어휘항목들의 어떤 특성들 때문에, 특별한 의사소통의 효과를 위한 과소구체화는 가능하다. 만약 기본적인 기능적 요건이 충족되면, 한 속 용어는 엄격한 기능적 견해에서 볼 때 심지어 그 용어가 과잉구체화를 나타낼 때에도 무표적 발화를 만든다. 그리고 어떤 것을 과잉구체화 시키는 속 용어는 과잉구체화의 특징적 효과를 만들지 않는다.
속 용어들의 이 특이한 속성에는 주목할 만한 두 가지의 결과가 존재한다. 첫 번째 결과는 속 용어가 유표적 과잉구체화 용어로 결코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이다 : 속 용어는 중립적이거나, 또는 과소구체화 용어이다. 두 번째 결과는 속 용어가 성공적인 지시를 위하여 엄격하게 필요한 것보다도, 더 많은 정보를 지닌 문맥 내에 유표적이지만 기능적으로 정확한 과소구체화를 만들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면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발화들에 대한 한 어휘항목의 의미 기여도를 완전히 설명하기 위해, 하나의 분류적 위계조직 내에서 속 층위에 상대적인 그들의 위치를 알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어휘항목들의 분류적 속성이므로 다른 의미양상들로부터는 예측할 수 없다.
3. 결론
지금까지 하의관계와 비양립성, 분류관계, 자연적 분류 위계조직의 특성, 과잉구체화, 과소구체화, 속 층위 등 분류 위계조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문을 보면 알겠지만 예외도 많고 예측도 어려운 부분이라 명쾌한 답이 나와 있지는 않다. 그리고 아직까지도 확실해지지 않은 만큼 그리 쉽게 답이 나올 것 같지도 않다. 하지만 그런 부분이니만큼 더욱 더 깊게 생각해보고 연구해보아야 하지 않을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12.05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51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