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연골의 구조와 분류
1. 연골의 구조 및 기능
2. 분류
1) 초자연골(hyaline)
2) 섬유연골(fiber)
3) 탄력연골(elastic)
Ⅱ. 연골의 세포분화
1. 연골세포분화와 연골 및 골조직의 형성
2. 연골세포의 분화, 탈분화 및 재 분화
Ⅲ. 연골의 세포조직퇴행
1. Cell therapy 및 tissue engineering에 의한 연골조직재생
2. Gene therapy에 의한 연골조직재생
Ⅳ. 연골과 관절경검사
Ⅴ. 연골과 반월연골
1. 반월연골의 작용
2. 손상원리
3. 손상형태
4. 증상
1) 동통 및 압통
2) 운동제한
3) Locking
4) Giving way: buckling
5) 대퇴 사두근 위축
5. 진단
1) 임상 검사법
2) 관절경 검사(Arthroscopy)
3) 관절 조영술(Arthrogarphy)
4) 자기 공명 영상 촬영 (MRI)
6. 감별진단
7. 치료
1) 보존적 치료
2) 수술적 치료
참고문헌
1. 연골의 구조 및 기능
2. 분류
1) 초자연골(hyaline)
2) 섬유연골(fiber)
3) 탄력연골(elastic)
Ⅱ. 연골의 세포분화
1. 연골세포분화와 연골 및 골조직의 형성
2. 연골세포의 분화, 탈분화 및 재 분화
Ⅲ. 연골의 세포조직퇴행
1. Cell therapy 및 tissue engineering에 의한 연골조직재생
2. Gene therapy에 의한 연골조직재생
Ⅳ. 연골과 관절경검사
Ⅴ. 연골과 반월연골
1. 반월연골의 작용
2. 손상원리
3. 손상형태
4. 증상
1) 동통 및 압통
2) 운동제한
3) Locking
4) Giving way: buckling
5) 대퇴 사두근 위축
5. 진단
1) 임상 검사법
2) 관절경 검사(Arthroscopy)
3) 관절 조영술(Arthrogarphy)
4) 자기 공명 영상 촬영 (MRI)
6. 감별진단
7. 치료
1) 보존적 치료
2) 수술적 치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절내 출혈, 삼출액의 증가로 극심한 동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압통은 관절 간격을 따라 손상부에 일치하여 증명된다.
2) 운동제한
수상 직후에는 동통과 종창으로 보행이나 경기를 중단하거나 파행을 보인다. 운동장애는 이상음을 동반하기도 하며, 특히 신전 제한은 반월상 연골 손상에 특징적이다.
3) Locking
슬관절 운동 중 굴곡위에서 갑자기 신전되지 않는 증상을 잠감이라 한다. 파열된 연골편이, 이차성 전위로 관절면 사이에 감돈을 일으키는 것이 원인이다. 따라서 이 증상은 큰 연골편을 가진 손상에서 흔히 나타나며, 그 출현과 소실 모두가 순간적인 것이 특징이다.
4) Giving way: buckling
Giving way: buckling이라고도 불리 우는 이 증상은 흔히 반월상 연골의 후각부 손상에서 발생한다. 환자는 슬관절을 매우 불안정하게 느낀다. 자갈길을 걸을 때, 계단을 내려갈 때, 그리고 뛰어 내릴 때 슬관절이 안정성을 잃고 갑자기 무력해진다.
5) 대퇴 사두근 위축
수상 후 시일이 경과하면, 예외 없이 대퇴 사두근 위축이 나타난다. 대퇴 사두근 중 특히 내광근의 위축이 현저하다. 만성 반월연골 손상환자에서 이차적으로 발생하며 반월연골 손상의 치료 후 근강화 운동으로 반드시 근위축을 회복시켜야 한다.
5. 진단
문진으로 수상기전, 임상 경과 등을 알아야 하고, 만성기에는 이차적 병변으로 인한 관절 증상의 유무를 진단한다.
1) 임상 검사법
McMurray 검사: 반월연골 손상을 진단하는 대표적인 임상 검사법으로 환자를 눕혀서 슬관절 최대 굴곡상태로 족근관절부 또는 발꿈치를 잡고 회전 시키면서 천천히 신전시키면 동통이나 마찰음이 생긴다. 외회전으로 내측 손상을, 내회전으로 외측 손상을 진단한다. 신전시 동통과 마찰음이 나오면 양성이다.
Apley검사: 환자를 엎드려 시행하는 검사로서 대퇴부를 고장하고, 90° 굴곡위에서 2가지 조작을 한다. 즉 하퇴를 견인하는 신연검사(distraction test)는 인대 손상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이며, 반대로 슬관절을 향하여 압력을 가하는 마멸 검사(grinding test)는 반월상 연골 손상에서 양성으로 동통이 유발된다.
웅크리기 검사(squatting test): 환자에게 선 상태로 양 하지를 내회전 또는 외회전한 후, 앉았다 일어섰다 하도록 한다. 손상받은 반월상 연골이 관절면 사이에 끼어서 감돈되는 경우, 동통을 호소한다.
2) 관절경 검사(Arthroscopy)
거의 100%의 정확도를 보이는 검사방법 일뿐만 아니라 부분 절제술이나 봉합술 등의 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
3) 관절 조영술(Arthrogarphy)
공기나 조영제를 관절 내에 주입한 다음 관절 간격에 대해 수직으로 여러 방향의 방사선 촬영을 하여 관찰하는 방법으로 숙젼자의 경우 반월상 연골 손상의 확진율은 85~95%이다.
4) 자기 공명 영상 촬영 (MRI)
연골손상을 영상으로 직접 진단하는 방법으로 85~95%의 진단 정확도를 보인다.
6. 감별진단
반월상 연골 손상과 감별 진단을 해야 할 질환에는 관절내 유리체, 골연골 골절, 인대 손상, 슬개골의 아탈구 및 탈구, 슬개골 연골화증 등이 있다.
7. 치료
1) 보존적 치료
번연부의 급성손상인 경우 보존적 치료로 회복한다. 약 1~2주 동안 압박붕대 또는 부목, 보조기로 국소안정 후 점진적을 관절운동과 대퇴사두근 강화운동을 시킨다.
2) 수술적 치료
부분 절제술(또는 전절제술): 봉합이 불가능한 체부의 손상 부위만을 부분적으로 절제하는 방법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일반적인 방법이며 반월연골의 전체에 광범위한 병변이 있을 경우 특히 원판형 연골 손상의 경우 전절제술을 한다.
연골 봉합술: 변연부에 종파열인 경우에 봉합하여 치유시키는 방법으로 최선의 치료 방법이며 Inside to out, all inside, meniscal arrow 등의 방법이 있다.
반월연골 이식술: 특히 젊은 환자에서 연골 절제술 후 관절 동통이 발생하고 관절 간격이 감소하면 선택적으로 동종 반월 연골을 이식하여 관절연골의 변성을 예방할 수 있다.
참고문헌
○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 최영희 외(1999),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 백남섭, 근골격계 아틀라스, 정담출판사
○ 성인간호학, 현문사
○ 전국물리치료과 교수협의회(1997), 타이디 질환별 물리치료, 고문사
○ JH Cyriax PJ Cyriax(1996), 정형외과, 현문사
○ LA Kapandjl(1993), 관절생리학Ⅱ하지, 현문사
2) 운동제한
수상 직후에는 동통과 종창으로 보행이나 경기를 중단하거나 파행을 보인다. 운동장애는 이상음을 동반하기도 하며, 특히 신전 제한은 반월상 연골 손상에 특징적이다.
3) Locking
슬관절 운동 중 굴곡위에서 갑자기 신전되지 않는 증상을 잠감이라 한다. 파열된 연골편이, 이차성 전위로 관절면 사이에 감돈을 일으키는 것이 원인이다. 따라서 이 증상은 큰 연골편을 가진 손상에서 흔히 나타나며, 그 출현과 소실 모두가 순간적인 것이 특징이다.
4) Giving way: buckling
Giving way: buckling이라고도 불리 우는 이 증상은 흔히 반월상 연골의 후각부 손상에서 발생한다. 환자는 슬관절을 매우 불안정하게 느낀다. 자갈길을 걸을 때, 계단을 내려갈 때, 그리고 뛰어 내릴 때 슬관절이 안정성을 잃고 갑자기 무력해진다.
5) 대퇴 사두근 위축
수상 후 시일이 경과하면, 예외 없이 대퇴 사두근 위축이 나타난다. 대퇴 사두근 중 특히 내광근의 위축이 현저하다. 만성 반월연골 손상환자에서 이차적으로 발생하며 반월연골 손상의 치료 후 근강화 운동으로 반드시 근위축을 회복시켜야 한다.
5. 진단
문진으로 수상기전, 임상 경과 등을 알아야 하고, 만성기에는 이차적 병변으로 인한 관절 증상의 유무를 진단한다.
1) 임상 검사법
McMurray 검사: 반월연골 손상을 진단하는 대표적인 임상 검사법으로 환자를 눕혀서 슬관절 최대 굴곡상태로 족근관절부 또는 발꿈치를 잡고 회전 시키면서 천천히 신전시키면 동통이나 마찰음이 생긴다. 외회전으로 내측 손상을, 내회전으로 외측 손상을 진단한다. 신전시 동통과 마찰음이 나오면 양성이다.
Apley검사: 환자를 엎드려 시행하는 검사로서 대퇴부를 고장하고, 90° 굴곡위에서 2가지 조작을 한다. 즉 하퇴를 견인하는 신연검사(distraction test)는 인대 손상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이며, 반대로 슬관절을 향하여 압력을 가하는 마멸 검사(grinding test)는 반월상 연골 손상에서 양성으로 동통이 유발된다.
웅크리기 검사(squatting test): 환자에게 선 상태로 양 하지를 내회전 또는 외회전한 후, 앉았다 일어섰다 하도록 한다. 손상받은 반월상 연골이 관절면 사이에 끼어서 감돈되는 경우, 동통을 호소한다.
2) 관절경 검사(Arthroscopy)
거의 100%의 정확도를 보이는 검사방법 일뿐만 아니라 부분 절제술이나 봉합술 등의 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
3) 관절 조영술(Arthrogarphy)
공기나 조영제를 관절 내에 주입한 다음 관절 간격에 대해 수직으로 여러 방향의 방사선 촬영을 하여 관찰하는 방법으로 숙젼자의 경우 반월상 연골 손상의 확진율은 85~95%이다.
4) 자기 공명 영상 촬영 (MRI)
연골손상을 영상으로 직접 진단하는 방법으로 85~95%의 진단 정확도를 보인다.
6. 감별진단
반월상 연골 손상과 감별 진단을 해야 할 질환에는 관절내 유리체, 골연골 골절, 인대 손상, 슬개골의 아탈구 및 탈구, 슬개골 연골화증 등이 있다.
7. 치료
1) 보존적 치료
번연부의 급성손상인 경우 보존적 치료로 회복한다. 약 1~2주 동안 압박붕대 또는 부목, 보조기로 국소안정 후 점진적을 관절운동과 대퇴사두근 강화운동을 시킨다.
2) 수술적 치료
부분 절제술(또는 전절제술): 봉합이 불가능한 체부의 손상 부위만을 부분적으로 절제하는 방법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일반적인 방법이며 반월연골의 전체에 광범위한 병변이 있을 경우 특히 원판형 연골 손상의 경우 전절제술을 한다.
연골 봉합술: 변연부에 종파열인 경우에 봉합하여 치유시키는 방법으로 최선의 치료 방법이며 Inside to out, all inside, meniscal arrow 등의 방법이 있다.
반월연골 이식술: 특히 젊은 환자에서 연골 절제술 후 관절 동통이 발생하고 관절 간격이 감소하면 선택적으로 동종 반월 연골을 이식하여 관절연골의 변성을 예방할 수 있다.
참고문헌
○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 최영희 외(1999),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 백남섭, 근골격계 아틀라스, 정담출판사
○ 성인간호학, 현문사
○ 전국물리치료과 교수협의회(1997), 타이디 질환별 물리치료, 고문사
○ JH Cyriax PJ Cyriax(1996), 정형외과, 현문사
○ LA Kapandjl(1993), 관절생리학Ⅱ하지, 현문사
추천자료
새로운 인체 흉선 피질 상피세포 항원(DN4)의 생화학적 성질 및정상 조직에서의 표현
침윤성 경부 편평 세포 암종
난치병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 줄기세포
생명의 이해 (황우석 교수가 인간 줄기세포를 복제한 것이 과연 세계 최초인가?)
[생명공학] 황우석교수의 줄기세포연구 레포트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뜨거운 논란 -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와 생명윤리 사이의 논쟁-
정자와 난자의 형성 (생식세포 형성 과정)
과학기술과 법 강의안- 인간배아줄기세포
[발생생물학] 성체줄기세포에 대해서
[의학] 인간 배아 줄기세포 연구
[병리학] 면역 기능과 면역 세포
[일반생물학실험] Exp3 구강상피세포 관찰
기초간호과학(면역 관여 세포, 종양)
1. 1)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2) 면역과 관련하여 4가지 형태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