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沒落(몰락)의 배경
1) 政治的(정치적) 배경
2) 社會經濟的(사회경제적) 배경
3) 思想的(사상적) 배경
2. 沒落科程(몰락과정)
1) 威化島 回軍(강화도 회군)과 李成桂(이성계)의 집권
2) 高麗 王朝의 終焉(고려왕조의 몰락)
1. 沒落(몰락)의 배경
1) 政治的(정치적) 배경
2) 社會經濟的(사회경제적) 배경
3) 思想的(사상적) 배경
2. 沒落科程(몰락과정)
1) 威化島 回軍(강화도 회군)과 李成桂(이성계)의 집권
2) 高麗 王朝의 終焉(고려왕조의 몰락)
본문내용
등을 적으로 돌리게 되는데 정몽주 일파 또한 근왕 세력들을 모아 기회를 엿보다 명에 갔다 돌아오는 세자를 마중 나갔다가 사냥에서 이성계가 낙마하여 몸져눕게 되자 공양왕의 신임을 등에 업고 이성계가 없는 틈을 타 역성파의 핵심들을 탄핵하여 유배시켜 버린다. 또 이성계의 병문안을 구실 삼아 찾아갔다가 이방원을 따로 만나 하여가와 단심가로 화답한 얘기는 유명하다.
그리하여 정몽주를 제거하여 아무 거리낄 것이 없게 된 이성계는 일파는 조정을 좌지우지 하게 되고 이색을 비롯한 역성혁명에 걸림돌이 될 만한 세력들을 하나하나 척결하면서 새 왕조의 개창에 방해가 될만한 인물들은 모두 귀양 보내었다. 그리고 1392년 7월 12일 정도전, 남은, 조준, 배극렴, 등이 주청 하여 공양왕을 폐하여 원주로 방축하고 며칠 후 이성계가 개경 수창궁에서 고려 국왕으로 즉위하게 되는데 이로써 고려 왕조는 34왕 475년만에 종언을 고하게 되고 그 이듬해 2월 이성계는 국호를 조선으로 정성계 의하여 새로운 왕조를 개창 하였다. 이렇게 고려 왕조를 멸망시킨 이성계는 정책적으로 왕씨들을 멸족시키려는 계획을 세워 전국에 방문을 붙여 왕씨들을 한 곳에 모아 수장시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리하여 정몽주를 제거하여 아무 거리낄 것이 없게 된 이성계는 일파는 조정을 좌지우지 하게 되고 이색을 비롯한 역성혁명에 걸림돌이 될 만한 세력들을 하나하나 척결하면서 새 왕조의 개창에 방해가 될만한 인물들은 모두 귀양 보내었다. 그리고 1392년 7월 12일 정도전, 남은, 조준, 배극렴, 등이 주청 하여 공양왕을 폐하여 원주로 방축하고 며칠 후 이성계가 개경 수창궁에서 고려 국왕으로 즉위하게 되는데 이로써 고려 왕조는 34왕 475년만에 종언을 고하게 되고 그 이듬해 2월 이성계는 국호를 조선으로 정성계 의하여 새로운 왕조를 개창 하였다. 이렇게 고려 왕조를 멸망시킨 이성계는 정책적으로 왕씨들을 멸족시키려는 계획을 세워 전국에 방문을 붙여 왕씨들을 한 곳에 모아 수장시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역사 - 고려의 건국과 행정구역의 변천
쌍화점과 청산별곡의 통해 알아본 고려 후기의 사회상
중국 송나라와 고려
러시아 연해주 고려인의 남북관계 인식과 통일관에 대한 조사
[역사] 고려시대의 역사관과 역사의 이해
역사과 교수-학습 지도안 :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의 역사적 의의는?
역사과 교수학습 지도안 : 고려의 북진 정책이 거둔 성과는?
경기체가 한림별곡과 고려가요 동동 비교 연구
삼국, 고려시대의 문자(文字)와 문고(文庫)
강간통념을 통해 본 고려대 의대생 성추행사건 - 강간통념, 성추행, 성추행사례, 성폭력사건,...
시가(시가문학)와 삼국시대시가, 시가(시가문학)와 고려시대시가, 시가(시가문학)와 조선시대...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제 4판 2권 요약 (중세후기문학 제 1기 고려후기 & 중세후기문학 ...
[독후감상문]고려사의 재발견(박종기 지음)
[고전문학 교육론] 고전문학 그 장르적 특성에 맞게 (고려가요 - 노래 노래로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