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씨 고려왕조의 몰락과 왕조교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왕씨 고려왕조의 몰락과 왕조교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沒落(몰락)의 배경
1) 政治的(정치적) 배경
2) 社會經濟的(사회경제적) 배경
3) 思想的(사상적) 배경
2. 沒落科程(몰락과정)
1) 威化島 回軍(강화도 회군)과 李成桂(이성계)의 집권
2) 高麗 王朝의 終焉(고려왕조의 몰락)

본문내용

등을 적으로 돌리게 되는데 정몽주 일파 또한 근왕 세력들을 모아 기회를 엿보다 명에 갔다 돌아오는 세자를 마중 나갔다가 사냥에서 이성계가 낙마하여 몸져눕게 되자 공양왕의 신임을 등에 업고 이성계가 없는 틈을 타 역성파의 핵심들을 탄핵하여 유배시켜 버린다. 또 이성계의 병문안을 구실 삼아 찾아갔다가 이방원을 따로 만나 하여가와 단심가로 화답한 얘기는 유명하다.
그리하여 정몽주를 제거하여 아무 거리낄 것이 없게 된 이성계는 일파는 조정을 좌지우지 하게 되고 이색을 비롯한 역성혁명에 걸림돌이 될 만한 세력들을 하나하나 척결하면서 새 왕조의 개창에 방해가 될만한 인물들은 모두 귀양 보내었다. 그리고 1392년 7월 12일 정도전, 남은, 조준, 배극렴, 등이 주청 하여 공양왕을 폐하여 원주로 방축하고 며칠 후 이성계가 개경 수창궁에서 고려 국왕으로 즉위하게 되는데 이로써 고려 왕조는 34왕 475년만에 종언을 고하게 되고 그 이듬해 2월 이성계는 국호를 조선으로 정성계 의하여 새로운 왕조를 개창 하였다. 이렇게 고려 왕조를 멸망시킨 이성계는 정책적으로 왕씨들을 멸족시키려는 계획을 세워 전국에 방문을 붙여 왕씨들을 한 곳에 모아 수장시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 가격1,9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12.09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61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