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독상법 발관상足相條解 방정 장후 직문 횡문 무문 원지 장지 용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독상법 발관상足相條解 방정 장후 직문 횡문 무문 원지 장지 용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방정 장후 직문 횡문 무문 원지 장지 단지 첨지 족종 무두 족심지 정자문 교효문 용구

본문내용

路宜踏實地, 方有收場, 而足衣祿也。
발뒤꿈치는 커야 하며 행로가 실제땅을 밟을 수 있고 바로 끝마치니 족히 의록이 있다.
如無足踵, 及不履地, 雖富貴亦主凶死, 次則破敗困苦也。
만약 발뒤꿈치가 없으면 땅을 밟지 못하니 비록 부귀하나 또한 주로 흉하여 죽고 다음으로 파괴되어 실패하여 곤궁하고 고생한다.
十一.無 
11 무두
無者, 無足 천 장딴지. 발목위 무릅 아래에 뒤쪽 살 많은 부위. (=小退腸足)
也。
무두란 족두가 없음이다.
主刑人丁而孤獨, 疾厄苦惱而夭亡, 及客死他, 倒斃路傍也。
무두는 주로 사람을 형극하며 고독하며, 질병 곤액으로 고뇌하여 일찍 죽고 타향에서 객사하며 길가에서 거꾸러져 죽는다.
十二.足心 
12 족심지
足心者, 明堂中心有也。
족심지는 명당중심에 검은점이 있음이다.
主貴而有權勢, 乃奇相之一, 古謂李光祖安祿山, 有此也。
족심지는 주로 귀하며 권세가 있고 기이한 상중에 하나이며 고대에는 이광조와 안녹산이 이런 검은점이 있다고 했다.
十三.井字紋 
13 우물정(井)자 주름
井字紋者, 在明堂前後, 或側放大指之下也。
정자주름은 명당의 전후에 있거나 혹은 측면으로 엄지발가락 아래에 놓여 있다.
主聰敏, 過目不忘, 多技能, 又多嗜好也。
우물정(井)자 주름이 있는 사람은 주로 총명하며 민첩하고, 눈을 지나면 잊지 않고, 기능이 많아서 또한 기호가 많다.
十四.交叉紋 
14 교차하는 주름
交叉紋者, 在足心左右, 形如爻 叉(깍지 낄 차; -총3획; cha)는 원문은 爻(효 효; -총4획; yao)이다.
字也。
교차하는 주름은 발중심 좌우에 있고 형체가 효란 글자(爻)와 같다.
主任勞有恒, 遠見多智, 有貴名而宏恢居多也。
주로 임무가 피로하며 항상됨이 있고 멀리 보며 지혜가 많고, 귀한 이름이 있고 넓게 많이 산다.
十五.容龜 
15 거북이가 들어갈 정도 발
容龜者, 明堂開窩而能容一龜也。
용구란 명당이 구멍이 열림이 한 거북이가 들어갈 정도란 말이다.
主深謀遠慮, 器量宏大, 有大志而重權柄, 及盛名偉業也。
용구의 발은 주로 깊이 꾀가 있고 멀리 생각하며 그릇이 크며 큰 뜻이 있고 중요한 권력을 잡고 성대한 이름과 위대한 업적에 이른다.
此說雖平常, 然亦確實可憑, 應驗尤多, 余爰其直捷了當 직첩료당: (말하거나 글을 쓸 때) 단도직입적이다.拐抹角
, 而無浮泛之詞也.
이 학설은 비록 보통이나 또한 확실하게 믿을만하니 징험 반응이 더욱 많으니 내가 이에 단도직입접이며, 뜬 말이 없다.
右評.
위에서 평가되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2.10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62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