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의상법 相鼻코관상의 원문 및 한글번역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의상법 相鼻코관상의 원문 및 한글번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仁德,能發達富貴。
오랑우탄의 콧마루가 높고 솟아서 면부가 거친 눈썹이며 큰 눈이며 입술은 위로 향하여 뒤집히며 신체가 두텁고 실하며, 이런 종류의 모습의 사람은 성품이 호탕하고 의지가 굳세며 인덕이 두터우며 부귀하게 발달한다.
  偏凹鼻貧夭
치우치고 움푹한 코는 가난하고 요절한다.
  不賤則夭
천하지 않으면 요절한다.
  年壽低壓山根小,鼻面相生差不多차부다: (엇) 비슷하다, 대차 없다. 보통, 일반적, 대다수, 대부분. 거의 근접해 있다, 대충되다, 거의 대체로1) 정도 시간 거리 등이 ‘비슷하다, 별 차이가 없다’

연상과 수상이 낮고 산근을 눌러서 작고 코의 얼굴은 상생하며 차이가 없다.
  准頭蘭尉些須見,不貧不夭病相磨。
준두와 난대와 정위는 서로 보이니 가난하지 않고 요절하지 않으며 병이 서로 간다.
  【譯文】
年上壽上低陷,山根短小,准頭、蘭台、延尉也不大,鼻子略顯偏斜的鼻稱爲偏凹鼻。
연상과 수상이 낮고 함몰되며 산근이 짧고 작으며 준두, 난대, 정위는 크지 않고 코는 대략 치우쳐 비스듬한 코는 편요비라고 한다.
生有此鼻的人一生不順利;
이런 코가 생긴 사람은 일생이 순조롭고 이익되지 않다.
家中貧困,使不會夭折,疾病也會纏身 Possessed’(중국명 ‘纏身-전신’, 한국명 ‘빙의’)
,痛苦不堪。
집이 빈곤하며 요절하지 않으면 질병이 몸을 두루며(빙의되며) 통증 고통을 감당할 수 없다.
  猿鼻不可交
원숭이 코는 교류할 수 없다.
  忌暗欺
원숭이 코는 시기하며 몰래 속인다.
  鼻竅小而口頗尖,猖狂 창광: 미친 것같이 사납게 날뜀
輕躁不尋常。
콧구멍이 작고 입이 자못 뾰족하며 미친듯이 사납게 날뛰어 가볍고 시끄럽고 보통이 아니다.
  性靈好怨多憂慮,花果成時手好拈 拈(집을, 비틀어 집다 념{염,접}; -총8획; nian,nian)

성격이 영민하고 원한을 좋아하며 우려가 많고, 꽃과 열매가 완성될때 손이 잘 딴다.
  【譯文】
猿鼻鼻孔小,嘴巴嘴(부리 취; -총15획; zu)巴 1 볼. 뺨. =[嘴巴子]
他了父一嘴巴; 그는 아버지에게 뺨을 한 대 맞았다.
2 입. =[嘴]
尖,爲人輕浮焦躁,不 不(심란할, 마음이 어리석다 동; -총16획; dong): 모른다
禮法,欺軟硬기연파경: 1.[성어] 약자 앞에 강하고 강자 앞에 약하다. 약자를 괴롭히고 강자를 두려워하다. 2.[성어] 권세와 이득을 따지나 무능하다.
,家中貧賤,不得不常爲生活奔波憂慮,喜歡不勞而獲。
원숭이 코는 콧구멍이 작으며 입이 뾰족하며, 사람이 경박하며 뜨고 초조하며 예법을 모르며 연약한 사람을 속이며 강한 사람을 두려워하며 집이 빈천하며 보통의 생활로 분주하며 우려하지 않을 수 없고, 노력하지 않고 획득함을 환희한다.
  鹿鼻仁慈
사슴코는 인자하다.
  富貴好義
부귀하며 의로움을 좋아한다.
  鹿鼻齊准更圓,寬步急義仁全。
사슴코는 풍성하며 가지런하며 준두고 다시 둥글고, 맑고 관대하며 걸음이 급하며 인의가 완전하다.
  驚疑坐起渾無定,福祿增添得自然。
사슴코를 가진 사람은 놀랍고 의심나며 앉고 일어남에 일정함이 없으니 복록이 더해짐이 자연스럽다.
  【譯文】
鹿鼻滿端正,准頭圓,走路時步子 보자:보조. 걸음걸이. 단계
大而急.
사슴코의 사람은 풍만하며 단정하며 준두가 둥글고 길을 달릴때 걸음걸이가 크고 급하다.
爲人仁厚,仁義雙全,但生性多疑,常坐立不安,命裏福星高照,能增福添壽。
사람됨이 인자함이 두텁고 인의가 양쪽을 완전하며 단지 성품이 의심이 많아서 항상 앉음과 섬이 불안하며, 목숨안에 복스런 별이 높게 비추니 복을 더하고 장수를 첨가한다.
  孤峰鼻孤獨
외로운 봉우리같은 코는 고독하다.
  榮祿無多
영화와 녹이 많지 않다.
  鼻頭無肉門開,兩低小鼻巍巍 높고 큰 모양.
巍(높을 외{위}; -총21획; wei)巍昆 높고 큰 쿤룬산

준두는 살이 없고 콧구멍이 열리면서 양쪽 광대뼈가 낮고 작으면 코가 높고 크다.
  此鼻縱大無財積,若爲僧道免哀哉。
이 코가 비록 크게 재물의 쌓음이 없으니 만약 승려면 애통함을 면할 수 있을 것이다.
  【譯文】
鼻子輪廓大而無肉,上的骨小而低平,更稱托出鼻子的高聳,這種孤峰鼻雖大但沒有財運,一生不易富貴。
코의 윤곽이 크고 살이 없고 안검의 관골이 작고 낮고 평평하면서 다시 코가 높고 우뚝섬에 탁월하며 이런 종류의 높은 봉우리의 코가 비록 크나 재운이 없고 일생이 쉽게 부귀하지 못한다.
若出家當個和或者道士,可免去許多災禍。
만약 출가한 화상이나 혹은 도사이면 허다한 재앙과 화를 면하여 제거할 수 있다.
  獐鼻薄義
노루코는 의가 엷다.
  貪垢背義
탐욕의 때가 있고 의를 배반한다.
  鼻小准尖庭露,金甲二櫃 金甲二櫃(함, 궤 궤; -총18획; gui):金櫃和甲櫃,蘭台又稱金櫃,延尉又叫甲櫃。
內繃纏。
코가 작고 준두가 뾰족하며 정위와 조상이 노출되면서 금갑의 2궤안이 묶이고 둘러싸였다.
  徒勞遺蔭難居守,四覆三番連且連。
헛되이 음덕을 남기면 거주하여 지기키 어려우니 4번 엎어지며 3번은 연달아 이어진다.
  【譯文】
獐鼻鼻小,准頭尖削,蘭台、延尉向側翼聳起,露出鼻孔。
노루코의 코는 작고 준두가 뾰족하며 깍이고 난대, 정위는 측면 날개를 향하여 우뚝 일어나며 콧구멍이 노출되었다.
這類人貪圖利祿,背信棄義,不守信用,守不住祖宗業。
이런 종류의 사람은 탐욕을 도모하며 녹을 이롭게 하니 배신하며 의를 버리며 조상업과 산업을 지켜서 머무르지 못한다.
  露鼻主貧
아궁이(콧구멍)가 노출된 코는 주로 가난하다.
  口食不敷
입으로 먹는 음식이 넓지 않다.
  孔大鼻高竅又長,須知家下少衣糧。
콧구멍이 크며 코가 높고 구멍이 또한 길면 집아래에 적은 옷과 식량이 있음을 안다.
  艱辛受苦多勞碌,永喪他實可 (일찍 죽을 상; -총15획; shang)

고생하며 고통을 받으면 고생이 많으며 영원히 잃어서 타향살이를 하며 실제로
  【譯文】
露鼻高聳,鼻孔大,鼻梁長,家境貧寒,缺吃 결흘: 먹을 것이 부족하다
少穿.
드러난 콧구멍이 높이 솟고 콧구멍이 크며 콧대가 길면 집 형편이 빈한하며 먹을 것이 없고 옷을 적게 입는다.
一生奔波勞碌,流落四方,受許多磨難 마난:고생을 겪고 업을 갚는 등, 시련, 시달림
,最終客死他,可憐可歎。
일생이 분주하며 고생하며 사방에 유랑하며 많은 시련이 있고 최종 타향에서 객사하니 가련하고 한탄할만하다.
  • 가격6,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9.09.24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39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