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간관계 이론과 적용기법
1. 일반적 개념으로서의 인간관계
2. 학문적 개념으로서의 인간관계
(1) 인간관계의 과학
(2) 산업상 인간관계
3. 인간관계 이론
▷ 인간관계의 일반적 특성
4. 인간관계를 이해하는 여러 가지 관점
▶ 사회교환 이론(social exchange theory)
▶ 역할이론
▶ 게임이론
5. 인간관계와 직업적 성공
6. 생산적인 인간관계를 위한 기법
▶ 관심 기울이기
▶ 확인하기
▶ 공감하기
▶ 맞추기와 이끌기
▶ 개방형 질문
▶ 자기개방(self-disclosure)
▶ 피드백
1. 일반적 개념으로서의 인간관계
2. 학문적 개념으로서의 인간관계
(1) 인간관계의 과학
(2) 산업상 인간관계
3. 인간관계 이론
▷ 인간관계의 일반적 특성
4. 인간관계를 이해하는 여러 가지 관점
▶ 사회교환 이론(social exchange theory)
▶ 역할이론
▶ 게임이론
5. 인간관계와 직업적 성공
6. 생산적인 인간관계를 위한 기법
▶ 관심 기울이기
▶ 확인하기
▶ 공감하기
▶ 맞추기와 이끌기
▶ 개방형 질문
▶ 자기개방(self-disclosure)
▶ 피드백
본문내용
질문형태이다.
ㆍ간접질문 - 위협을 주지 않고 답변을 요구하는 형태로, 추궁당한다는 기분이 약하고 대체로 부담없이 대답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지게 하므로 관심이 기울어지는 질문형태이다.
ex)A: “어느 부서에 근무합니까?”(직접질문)
“어느 부서에 근무하는지 궁금합니다.” (간접질문)
“어느 부서에 근무하는지 물어봐도 될까요?” (간접질문)
B: “전공과목 리포트는 다 작성했습니까?” (직접질문)
“전공과목 리포트는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하군요.” (간접질문)
“전공과목 리포트가 어떻게 되어가는지 아고 싶군요.” (간접질문)
▷이중질문과 단일질문 - 이중질문은 한꺼번에 두 가지를 동시에 묻는 것으로, 상대방에게 양자택일을 강요하는 특성을 가진다. 상대방은 어느 쪽에 대답을 해야할지 몰라 당황하거나 제삼의 대답을 갖고 있는 경우 대답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렇므로 가급적이면 단일질문을 해야한다.
ex) “여름을 좋아합니까, 겨울을 좋아합니까?”, “인문계를 전공합니까, 자연계를 전공합니까?”
▷질문공세 - 한꺼번에 여러 가지의 질문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상대방으로 하여금 대답을 할 수 있는 여유를 별로 주지 않는다는 데 문제가 있다. 상대방이 여유있게 자기에 관한 정보를 노출할 수 있도록 질문을 해야 한다.
ex) “어제는 왜 결석을 했지? 무슨 일이라도 있었어? 건강 때문이니? 아니면 무슨 일로 결석을 했어? 담임 선생님께는 말씀드렸니?”
▷‘왜’라는 질문 - ‘왜’라는 질문은 상대방에게 따지는 것 같은 인상을 주거나 무엇인가 그와 동의하지 않는다는 불쾌감 또는 비판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 같은 느낌을 줄 때도 있다. ‘왜’라는 질문에 대한 대안으로서 ‘어떻게’, ‘무엇“과 같은 간접질문의 형태로 질문하는 것이 좋다.
ex) “당신은 왜 그 전공을 택했어요?”
“당신은 어떤 이유로 그 전공을 택하게 되었지요?”
“당신은 그 전공을 택하게 된 동기가 무엇입니까?”
“당신이 그 전공을 택하게 된 동기에 대해서 궁금하군요.”
▶ 자기개방(self-disclosure)
자기개방 또는 자기노출은 자신의 생각, 감정, 경험, 관심사 등 즉 자기에 대한 정보와 면모를 솔직하게 남에게 드러내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 자신의 인지적, 사적인 생각, 감정, 경험, 관심, 정보 등을 드러내 친밀한 관계를 촉진한다.
ex) “나는 오늘 아침에 부부싸움을 하고 출근했는데 그래서 그런지 영 일할 기분이 안나는군요.”
“요즈음 가을을 타나봐요. 괜히 멀리 여행을 가고 싶고 옛날 애인생각도 나고 그래요.”
▷ 상대방과 공통된 생각, 감정, 기분, 경험, 관심, 종보 등을 털어놓는 것을 말한다.
ex) “사실은 나도 입사 초기에는 실수를 여러 번 해서 고생을 많이 했어요.”
“나도 술을 잘 못마시는데 그래서 그런지 사실 술자리를 함께 할 때마다 신경이 많이 쓰여요.”
▶ 피드백
피드백(feedback)은 타인의 행동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상호간에 솔직하게 이야기해주는 과정을 말한다. 피드백은 긍정적이기도 하고 부정적인 것일 수도 있다.
▷ 피드백을 주고 받을
ㆍ간접질문 - 위협을 주지 않고 답변을 요구하는 형태로, 추궁당한다는 기분이 약하고 대체로 부담없이 대답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지게 하므로 관심이 기울어지는 질문형태이다.
ex)A: “어느 부서에 근무합니까?”(직접질문)
“어느 부서에 근무하는지 궁금합니다.” (간접질문)
“어느 부서에 근무하는지 물어봐도 될까요?” (간접질문)
B: “전공과목 리포트는 다 작성했습니까?” (직접질문)
“전공과목 리포트는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하군요.” (간접질문)
“전공과목 리포트가 어떻게 되어가는지 아고 싶군요.” (간접질문)
▷이중질문과 단일질문 - 이중질문은 한꺼번에 두 가지를 동시에 묻는 것으로, 상대방에게 양자택일을 강요하는 특성을 가진다. 상대방은 어느 쪽에 대답을 해야할지 몰라 당황하거나 제삼의 대답을 갖고 있는 경우 대답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렇므로 가급적이면 단일질문을 해야한다.
ex) “여름을 좋아합니까, 겨울을 좋아합니까?”, “인문계를 전공합니까, 자연계를 전공합니까?”
▷질문공세 - 한꺼번에 여러 가지의 질문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상대방으로 하여금 대답을 할 수 있는 여유를 별로 주지 않는다는 데 문제가 있다. 상대방이 여유있게 자기에 관한 정보를 노출할 수 있도록 질문을 해야 한다.
ex) “어제는 왜 결석을 했지? 무슨 일이라도 있었어? 건강 때문이니? 아니면 무슨 일로 결석을 했어? 담임 선생님께는 말씀드렸니?”
▷‘왜’라는 질문 - ‘왜’라는 질문은 상대방에게 따지는 것 같은 인상을 주거나 무엇인가 그와 동의하지 않는다는 불쾌감 또는 비판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 같은 느낌을 줄 때도 있다. ‘왜’라는 질문에 대한 대안으로서 ‘어떻게’, ‘무엇“과 같은 간접질문의 형태로 질문하는 것이 좋다.
ex) “당신은 왜 그 전공을 택했어요?”
“당신은 어떤 이유로 그 전공을 택하게 되었지요?”
“당신은 그 전공을 택하게 된 동기가 무엇입니까?”
“당신이 그 전공을 택하게 된 동기에 대해서 궁금하군요.”
▶ 자기개방(self-disclosure)
자기개방 또는 자기노출은 자신의 생각, 감정, 경험, 관심사 등 즉 자기에 대한 정보와 면모를 솔직하게 남에게 드러내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 자신의 인지적, 사적인 생각, 감정, 경험, 관심, 정보 등을 드러내 친밀한 관계를 촉진한다.
ex) “나는 오늘 아침에 부부싸움을 하고 출근했는데 그래서 그런지 영 일할 기분이 안나는군요.”
“요즈음 가을을 타나봐요. 괜히 멀리 여행을 가고 싶고 옛날 애인생각도 나고 그래요.”
▷ 상대방과 공통된 생각, 감정, 기분, 경험, 관심, 종보 등을 털어놓는 것을 말한다.
ex) “사실은 나도 입사 초기에는 실수를 여러 번 해서 고생을 많이 했어요.”
“나도 술을 잘 못마시는데 그래서 그런지 사실 술자리를 함께 할 때마다 신경이 많이 쓰여요.”
▶ 피드백
피드백(feedback)은 타인의 행동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상호간에 솔직하게 이야기해주는 과정을 말한다. 피드백은 긍정적이기도 하고 부정적인 것일 수도 있다.
▷ 피드백을 주고 받을
키워드
추천자료
과학적관리론과 인간관계론에 대한 고찰 및 오늘날의 적용
로널드 페어베언(W. Ronald D. Fairbairn)의 대상관계이론에 대한 연구 - 핵심개념, 정신구조...
[인간관계론] 의사소통의 의미와 기능, 의사소통의 단계, 의사소통의 기술, 대화기술, 의사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인본주의 이론과 사회사업 실천과의 관계
[간호이론A] 가즈다(Gazda)의 대인관계이론과 관련해 작성.(대인관계이론의 주요 개념, 만성...
대상관계이론과 인본주의 이론을 요약하고 각 이론들의 장점과 단점을 활용한 아동복지기관에...
(아동복지론) 대상관계이론과 인본주의 이론을 요약하고 각 이론들의 장점과 단점을 활용한 ...
부모자녀관계이론 중 하나를 선택하여 우리나라 특성을 고려, 적용하세요 [가족생활주기]
[인간관계론]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탄생배경 및 핵심기법
친밀한 인간관계 혹은 밀접한 인간관계의 심리학적 특징에 대해서 조사하고 조사한 내용을 자...
[대상관계상담이론] 대상관계상담이론의 주요개념, 대상관계상담의 목표 및 기법
친밀한 인간관계 혹은 밀접한 인간관계의 심리학적 특징에 대해서 조사하고 조사한 내용을 자...
가족관계이론의 가족연구에의 적용(갈등론, 교환론, 여권론, 가족생태학이론의 가족연구 적용)
[가족관계의 이론적 접근] 가족관계이론의 적용(상징적 상호작용론, 구조기능론, 가족발달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