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편 그는 ‘개념’이란 용어 대신 ‘시니피에’를 ‘청각영상’ 대신에 ‘시니피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언어기호란 시니피에와 시니피앙의 결합이라고 주장한다.
소쉬르는 언어기호를 구성하는 이 두 요소의 결합은 자의적이라고 한다. 여기서 ‘자의적’이라는 말은 시니피앙이 화자의 자유선택에 달려 있다는 뜻이 아니라 무연적이라는 말을 의미한다. 즉 시니피에와 시니피앙의 관계가 무연적이라는 것인데, 시니피앙은 시니피에와 아무련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시니피앙과 시니피에 사이에 자연적인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말이다.
본인은 언어학자가 아니기 때문에 소쉬르의 언어기호 이론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며 언어학개론이라는 수업을 통해 소쉬르에 대해 공부한 것이 전부이며 이 과제를 하기위해 여러 학위논문이나 교재들을 참고하였다. 때문에 소쉬르의 언어기호 이론을 축약하는데 부족한 점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과제를 하면서 수업시간에 배웠던 언어기호 이론에 대해 이해를 높이게 되었고 우리가 쓰는 언어에 이러한 이론들이 숨어 있었다는 것에 놀라웠다.
언어학이라는 것이 나의 전공과는 무관한 것이지만 본 수업과 과제를 함으로써 언어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양을 넓히게 되었다는 점에 나의 강의선택에 감사할 따름이다. 항상 ‘언어학개론’ 수업에서 학생들을 위해 열정적으로 수업하시는 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참고문헌
이금실(1992). 소쉬르 언어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권영옥(1997). 소쉬르 기호이론에 관란 고찰. 목원대학교 출판부.
김석근(2004). 언어학개론. 경상대학교 출판부.
소쉬르는 언어기호를 구성하는 이 두 요소의 결합은 자의적이라고 한다. 여기서 ‘자의적’이라는 말은 시니피앙이 화자의 자유선택에 달려 있다는 뜻이 아니라 무연적이라는 말을 의미한다. 즉 시니피에와 시니피앙의 관계가 무연적이라는 것인데, 시니피앙은 시니피에와 아무련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시니피앙과 시니피에 사이에 자연적인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말이다.
본인은 언어학자가 아니기 때문에 소쉬르의 언어기호 이론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며 언어학개론이라는 수업을 통해 소쉬르에 대해 공부한 것이 전부이며 이 과제를 하기위해 여러 학위논문이나 교재들을 참고하였다. 때문에 소쉬르의 언어기호 이론을 축약하는데 부족한 점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과제를 하면서 수업시간에 배웠던 언어기호 이론에 대해 이해를 높이게 되었고 우리가 쓰는 언어에 이러한 이론들이 숨어 있었다는 것에 놀라웠다.
언어학이라는 것이 나의 전공과는 무관한 것이지만 본 수업과 과제를 함으로써 언어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양을 넓히게 되었다는 점에 나의 강의선택에 감사할 따름이다. 항상 ‘언어학개론’ 수업에서 학생들을 위해 열정적으로 수업하시는 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참고문헌
이금실(1992). 소쉬르 언어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권영옥(1997). 소쉬르 기호이론에 관란 고찰. 목원대학교 출판부.
김석근(2004). 언어학개론. 경상대학교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