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언어와 인접학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광고언어와 인접학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의적으로 자기기준에 의한 만족을 얻고자하는 욕구, 위계상 최상.
예시) - 이 세상 최고의 브랜드는 당신입니다.
<파브 / 삼성전자>
3. 광고언어와 경영학
(1) 마케팅 전략
마케팅이라는 것은 단순한 판매, 유통, 광고 등을 의미하지 않는다. 생산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유통시키는 데 관련된 모든 체계적인 경영활동을 일컫는다.
마케팅에 대한 정의는 1960년 미국 마케팅 학회에서 처음 규정된 이후 1965년에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마케팅 교수진에 의해서 사회적 차원으로 그 영역이 확대될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시장의 정의를 내리고 이를 관리하는 과정’으로 함축시켜 정의를 내릴 수 있다.
즉 표적 시장과 표적 소비자로 나누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시장과 소비자가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 고유판매제안 (로서 리브즈 / Reality in Adversing) / USP
가. 어떤 광고에서든지 반드시 소비자에 대해 약속하는 것이 있어야 한다. 단지 언어의
나열만이 아닌, 또 단순히 제품의 장점을 열거하는 쇼 위도식의 광고가 아닌 것으로서,
독자에게 이렇게 호소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제품을 사십시오. 그러면 이러이러한
특별한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나. 그 제안은 반드시 경쟁상대가 제창하지 않은 것이나, 또는 하려고 해도 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즉 브랜드 자체가 독특하거나, 특정분야의 광고에서 모방할 수 없는
소구 방법을 쓴다든가, 어쨌든 유일하지 않으면 안 된다.
다. 그 주장은 매우 강력하여, 수백만의 사람들을 움직일 수 있어야 하고 새로운
소비자를 자기 제품 쪽으로 끌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것은 소비자의 욕구와 제품의 효용을 잘 이용해야 합당한 광고가 나온다는 말이다.
(2) 시장 세분화 전략
- 소비자층을 구분하여 타깃을 정하고 그에 맞는 물건을 만들고 판매하는 것.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이나 라이프스타일도 파악해야 한다. 조사분석 된 제품의 특성, 소비자의 욕구, 표적 시장의 변화, 경쟁사의 동향등이 파악되면, 비로소 카피라이터와 영상 담당자는 광고 제작에 들어가게 된다. 최근 소비자 지향으로 바뀌는 추세라 더욱 중요시 되고 있는 점이다.
Arens에 따르면 새로운 매체 및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기업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비용으로부터 더욱 많은 효과를 얻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찾고 있다고 한다.
가. 대중매체 광고의 효율성이 예전 같지 않다.
나. 소비자들은 전보다 더욱 세심하고 냉소적이며 잘 믿지 않는다.
다. 광고에서 기업이 말하고 있는 것과 실제로 기업이 하는 것들 사이에 매우 큰 차이가
존재한다.
라. 장기적으로 봤을 때, 훌륭한 고객관계를 지향하는 것이 단순한 교환을 이루는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
이렇게 등장한 것이 바로 통합 커뮤니케이션이다. 광고에서 판매에 이르는 접근 방법이 아닌 이것을 통합적이며 일관된 방향으로 활용하며 소비자에게 접근하는 것이다. IMC(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가 나온 것은 매체시장의 다변화와 세분화된 소비자층의 등장이 주요 원인일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9.30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60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