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광고의 영향 및 배경
2) 광고 사례
① Gender Role
a. 2% 부족할 때
b. 교보생명
c. 광고 분석
② Eroticism
a. 삼성 마이젯
b. 시슬리
c. 광고 분석
3. 결론
2. 본론
1) 광고의 영향 및 배경
2) 광고 사례
① Gender Role
a. 2% 부족할 때
b. 교보생명
c. 광고 분석
② Eroticism
a. 삼성 마이젯
b. 시슬리
c. 광고 분석
3. 결론
본문내용
있다고 생각한다. 그 한계는 여성의 성적 해방이라는 주제로 국한되어 있기에 나타난다. 즉, 사진의 여성들의 표현은 성적인 것으로 국한되어 있다. 전통적 여성의 직업관이라든지 가부장적 사회 분위기 타파라든지 하는 여성의 본래적 사회 역할과는 좀 다른 성적 해방에 치우치다 여성들의 노골적인 성적 표현이 나오게 되고 그로 인해 또 다른 왜곡된 여성의 이미지가 만들어진다. 이렇게 왜곡된 여성의 이미지는 사회적 해방의 범위를 제한하고 그 밖의 더 시급한 과제들은 점점 달성되기 어려워질 수도 있다.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과감한 성적 표현들은 여성의 성적 해방을 상징할 수는 있겠지만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확대하는 데에는 한계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이는 또 한 번 여성을 눈요기감 정도로 전락시킬 수도 있다.
3. 결론
지금까지 미디어의 눈으로 본 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리가 주로 이야기한 것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여성의 성을 상업적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었다. 미디어에서 선정적인 여성의 성이 비치는 이유를 사회구조적인 분석에서 찾았다. 전통사회에서부터 남자와 여성의 성역할은 구분이 되었다. 물리적 힘이 앞서는 남자는 주도적인 역할을 부여받음과 동시에 힘과 권위를 얻었고 그 반면에 여성은 의존적이고 보조적인 입장에 설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상황의 전개는 남성 구매력의 압도적인 비중을 낳았고 이는 남성중심의 광고를 만들 수밖에 없는 이유가 되었다. 또한 복잡하지 않고 선정성을 갖는 것이 그만큼 전달의도를 달성하는데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둘째는 고정된 성역할을 광고에서 강화한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성역할에 대한 인식은 광고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광고에서 비춰지는 남성과 여성의 관계는 사뭇 대조적이다. 남성은 능력있고 자신감있는 모습, 여성은 의존적이고 남성을 잘 보조해야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광고를 만든다.이러한 광고의 반복은 사람들로 하여금 비판의식을 둔화하고 현실적인 성역할을 더욱 강화한다는데 문제가 있다. 남성이나 여성 자신이 하는 역할이 남성다운 것인가 여성다운 것인가에 대한 콤플렉스를 지속적으로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고정관념의 틀을 깨고 있는 것이 여성을 중심으로 한 광고인데 이러한 광고가 나타나게 된 배경은 여성의 사회적 위치가 올라갔고 이는 구매력 신장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이를 표적으로 한 광고가 생기기 시작했고 그 대표적인 예를 한 의류상표로 하였다. 하지만 이 또한 잘못된 고정관념을 줄 수도 있다. 여성해방이라는 전달의도를 가지고 있어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서는 선정적인 광고 이상 이하도 아닌 것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미디어를 통한 성에 대한 사례를 들었는데 이 말고도 거의 우리가 접하는 광고에 대부분은 이와 유사한 경우가 많을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일련의 상황들이 미디어의 문제점이다 아니다라는 논란은 일단 접기로 하고 하나의 문화적 흐름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미지의 홍수속에서 그것을 받아들이는 주체에 대해 더욱 생각해보았다. 미디어는 마치 빛을 여러 가지로 나누는 스펙트럼과 같다고 볼 수 있다. 미디어에 투과함으로써 그 내용은 일곱 가지 색을 가진 무지개와 같이 된다. 그리고 우리는 그 일곱 가지 색을 신기해하면서 바라보는 초등학생이라고 비유하면 적절할 것이다. 마냥 신기해하는 것에 치우친 다면 단지 현상을 파악하는 수준에 그칠 것이다. 미디어의 지배로부터 좀더 주체적이고 자유로워 질수 있는 방법은 왜 색이 나뉘는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그러한 생각의 변화가 우리에게 미디어가 내뿜은 자극에서 스스로 자유로워 질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줄 수 있지 않을까하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3. 결론
지금까지 미디어의 눈으로 본 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리가 주로 이야기한 것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여성의 성을 상업적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었다. 미디어에서 선정적인 여성의 성이 비치는 이유를 사회구조적인 분석에서 찾았다. 전통사회에서부터 남자와 여성의 성역할은 구분이 되었다. 물리적 힘이 앞서는 남자는 주도적인 역할을 부여받음과 동시에 힘과 권위를 얻었고 그 반면에 여성은 의존적이고 보조적인 입장에 설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상황의 전개는 남성 구매력의 압도적인 비중을 낳았고 이는 남성중심의 광고를 만들 수밖에 없는 이유가 되었다. 또한 복잡하지 않고 선정성을 갖는 것이 그만큼 전달의도를 달성하는데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둘째는 고정된 성역할을 광고에서 강화한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성역할에 대한 인식은 광고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광고에서 비춰지는 남성과 여성의 관계는 사뭇 대조적이다. 남성은 능력있고 자신감있는 모습, 여성은 의존적이고 남성을 잘 보조해야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광고를 만든다.이러한 광고의 반복은 사람들로 하여금 비판의식을 둔화하고 현실적인 성역할을 더욱 강화한다는데 문제가 있다. 남성이나 여성 자신이 하는 역할이 남성다운 것인가 여성다운 것인가에 대한 콤플렉스를 지속적으로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고정관념의 틀을 깨고 있는 것이 여성을 중심으로 한 광고인데 이러한 광고가 나타나게 된 배경은 여성의 사회적 위치가 올라갔고 이는 구매력 신장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이를 표적으로 한 광고가 생기기 시작했고 그 대표적인 예를 한 의류상표로 하였다. 하지만 이 또한 잘못된 고정관념을 줄 수도 있다. 여성해방이라는 전달의도를 가지고 있어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서는 선정적인 광고 이상 이하도 아닌 것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미디어를 통한 성에 대한 사례를 들었는데 이 말고도 거의 우리가 접하는 광고에 대부분은 이와 유사한 경우가 많을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일련의 상황들이 미디어의 문제점이다 아니다라는 논란은 일단 접기로 하고 하나의 문화적 흐름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미지의 홍수속에서 그것을 받아들이는 주체에 대해 더욱 생각해보았다. 미디어는 마치 빛을 여러 가지로 나누는 스펙트럼과 같다고 볼 수 있다. 미디어에 투과함으로써 그 내용은 일곱 가지 색을 가진 무지개와 같이 된다. 그리고 우리는 그 일곱 가지 색을 신기해하면서 바라보는 초등학생이라고 비유하면 적절할 것이다. 마냥 신기해하는 것에 치우친 다면 단지 현상을 파악하는 수준에 그칠 것이다. 미디어의 지배로부터 좀더 주체적이고 자유로워 질수 있는 방법은 왜 색이 나뉘는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그러한 생각의 변화가 우리에게 미디어가 내뿜은 자극에서 스스로 자유로워 질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줄 수 있지 않을까하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추천자료
대중매체(광고 영화)에서의 성상품화문제점과 해결방안
(광고전략) 국제광고전략 분석 및 사례연구- 잠뱅이 베네통 박카스
(광고와 여성) 광고에 나타난 여성의 성상품화
광고기획 및 매체전략의 실제- 동아음료 사례를 중심으로
삼성애니콜 마케팅 환경분석과 광고캠페인 사례분석
[여성차별][성차별][남녀평등][양성평등][성차별][매스미디어][영화][광고][소설]여성차별(성...
[유망직종][유망직업][직업][유망직종사례]직업의 사전적 의미, 직업의 의의, 유망직종 기계...
[외주제작][외주정책][외주프로그램]외주제작의 개념, 외주제작의 성과와 현황, 외주제작프로...
모방 및 키치 광고의 종류와 사례 비교 분석
광고표현기법 각 소구별 사례조사
[광고학]3주차 강의내용을 참조하여 국내외 기업의 광고전략 사례 분석
광고심리학,광고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
커피광고,광고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
스키틀즈의 광고캠페인 성공사례[Success stories from Skittles ad campaig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