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진에 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지진

●지진의 원인

●진원(震源)·진원역(震源域)·진앙(震央)

●세계의 지진

●지진으로 인한 피해와 대책

●지진과 화산

●지진파 / 지진동

●진도계 / 지진계

●터키 대지진

●대만(타이완)대지진

●지진에 따르는 여러가지 현상

본문내용

서 시작돼 1분 가량 수도 타이베이(臺北) 등 중북부 전역을 강타했으며 뒤이어 18시간 동안 1,000여 차례의 여진이 계속됐다. 지진으로 송전탑 등이 부서져 대만의 절반을 넘는 650만 가구 이상에 전력공급이 끊겼고 산사태와 교량분괴로 상당수 지역이 외부와 단절됐다. 대만은 세계에서 지진활동이 가장 활발한 환태평양 지진대에 속해 있어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대만 남부 동중국해는 지표판 중 유라시아판과 필리핀판이 만나는 지진대이다. 비교적 규모가 작은 필리핀판 밖에는 태평양판이 있어 태평양판과 필리핀판 유라시아판 등이 서로 부딪치면서 지진 등 갖가지 지질활동이 계속 일어난다. 특히 필리핀판과 유라시아판이 만나는 지진대의 경우 두 지표판이 엇갈려 있는데다 만나는 깊이가 200km 이하여서 지진이 잦을 뿐만 아니라 지진이 발생할 때마다 피해가 크다. 다만 지금까지 대만 주변 지진대에서 발생한 지진은 진앙이 이번처럼 대만 섬 내부가 아니고 대부분 해저여서 지진 규모에 비해 피해가 적었다. 대만에서는 1935년 리히터 규모 7.4의 강진으로 3,276명의 희생자가 발생했으며 1964년에도 강진으로 106명이 사망하고 650명이 다쳤다. 통계에 따르면 대만에서는 매년 10여 차례의 크고 작은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 남북아메리카의 서해안에서 알류샨열도·캄차카반도·쿠릴열도·일본을 거쳐 대만동부 해안·필리핀·뉴질랜드로 이어지는 환태평양지진대에서는 해마다 지구 지진에너지의 80%가 방출되고 있다.
●지진에 따르는 여러가지 현상
대지진은 대재해를 가져오지만, 지학적으로도 몇 가지 특수 현상을 수반하는 일이 많다. 지진 전후에 샘물의 탁한 정도와 샘물의 양이 변했다거나, 온천물이 나오는 모양이 변했다고 하는 따위는 흔히 있는 일이다. 그러나 가장 현저한 현상은 지각(地殼)변동이다. 지진에 수반하여 생긴 단층(斷層)을 지진단층이라 하며, 지진단층 중에는 그 상하·수평 방향으로 어긋난 것을 보아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예가 흔히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목격할 수 있는 지각변동 이외에, 수준 측량(水準測量)이라고 하여 토지의 높이를 결정하는 측량을 되풀이함으로써 비로소 판명되는 근소한 변화도 있다. 뿐만 아니라 토지는 수평방향으로도 변화한다. 오랫동안의 연구에 의하여 이들 지각의 이상변화는 실은 대지진에 앞서서도 일어나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이는 지진을 예측하는 데 하나의 유력한 방법이 되어 있다. 그리고 해저에 지진이 있어서 급격한 토지 변동이 일어나면 그 영향은 해일(海溢)이라는 아주 파장이 긴 파도가 되어서 해안에 밀려오고, 해안에 가까워지면 파고(波高)가 증대하여 특히 만(灣) 안쪽에서는 고조(高潮)가 되어 육지를 휩쓸고 큰 피해를 준다. 그러나 해일은 지진이 일어난 뒤 30분∼1시간 가량 있다가 밀어닥치기 때문에, 주의만 하면 충분한 대책을 강구하여 피난할 수 있다. 또한 지진에 따라 지자기(地磁氣)가 변한다는 설이 예부터 있다. 그와 같은 예가 보고 되어 있기는 하나, 반드시 언제나 지진에 따라 지자기에 변화가 생긴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 같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12.22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92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