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훈민정음 제자원리..........................................1
1)초성의 제자원리....................................1
2)중성의 제자원리........................................2
3)종성의 제자원리......................................3
2.훈민정음 제자기준........................................4
3.참고문헌...............................................5
1)초성의 제자원리....................................1
2)중성의 제자원리........................................2
3)종성의 제자원리......................................3
2.훈민정음 제자기준........................................4
3.참고문헌...............................................5
본문내용
고 있었으므로, 이를 바로잡고자 동국정운을 편찬하였으며, 새로 창제하게 된 신문자의 체계도 이 동국정음의 체계에 맞추려고 하였다. 그래서 훈민정음의 문자체계는, 특히 자음체계에 있어서 15세기 중세국어의 체계와 약간의 거리가 생기게 되었다. 더군다나 훈민정음의 자음(초성)체계는, 중국사람들의 당말 북송 때부터 한자음의 어두음을 분석하여 만든 36자모체계를 본받아 23자모체계로 한 것이었으므로, 체계상으로는 정비된 것이었으나 15세기의 실지 중세국어의 자음체계와는 거리가 생긴 것다.
그런데 모음에 관해서는 중국음운학에서 30자모표처럼 정비되어 있는 것이 없었고, 자음의 모음체계와 국어의 모음체계 사이에는 너무나도 큰 차이가 있었으므로, 15세기 중세국어의 모음체계를 독자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표기할 모음자를 마련하였다. 이것이 ㅡ ㅣ ㅗ ㅏ ㅜ ㅓ 7단모음 체계다. 다만 무슨 까닭인지 이중모음임이 분명한 ㅛ ㅑ ㅠ ㅕ 도 훈민정음의 중성체계에서는 단모음과 함께 다루어서, 중성범십일자라고 하였다.
3.참고문헌
강신항, 훈민정음 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7
박지홍,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4
장소원, 대세계 백과사전, 태극출판사, 1974
그런데 모음에 관해서는 중국음운학에서 30자모표처럼 정비되어 있는 것이 없었고, 자음의 모음체계와 국어의 모음체계 사이에는 너무나도 큰 차이가 있었으므로, 15세기 중세국어의 모음체계를 독자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표기할 모음자를 마련하였다. 이것이 ㅡ ㅣ ㅗ ㅏ ㅜ ㅓ 7단모음 체계다. 다만 무슨 까닭인지 이중모음임이 분명한 ㅛ ㅑ ㅠ ㅕ 도 훈민정음의 중성체계에서는 단모음과 함께 다루어서, 중성범십일자라고 하였다.
3.참고문헌
강신항, 훈민정음 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7
박지홍,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4
장소원, 대세계 백과사전, 태극출판사, 1974
추천자료
한글의 우수성
한글의 우수성
[국어교육]국어가 걸어온 길(국어 하 1단원) 수업지도안
국어학입문 제5장 문자론 용어정리사전 과제물
[한국어교육]한국어 국제화의 필요성 및 방안
한자의 이해 정리자료
철자교수법
한글의 모아쓰기 방식과 풀어쓰기 방식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중요성,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장점, 우리말(국어, 우...
한문과교육(수업, 학습)의 목적, 한문과교육(수업, 학습)의 중요성, 한문과교육(수업, 학습)...
[우리말 연구의 첫걸음] VI. 글자살이의 역사
2017년 2학기 국어국문학과 중세국어연습 기말시험 핵심체크
'역사저널 그날- 뿌리 깊은 나무, 한글 창제의 미스터리' 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