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을 말하는 것이다. 그동안 앞서 기원설에서 살펴보았듯, ‘字倣고전’이나 ‘象形而字倣고전’에만 의하여 옛 글자나 다른 글자에서 기원을 찾고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를 밝히려 했던 논의나 훈민정음에 제시된 포괄적인 상형에 부합되지 않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 지식산업사
문효근(1993) ‘훈민정음 제자원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안병희(1990)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 태학사
이승재(1991) <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 한국언어학회
김봉태(2002) <훈민정음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리』 어문연구 통권 7, 8
♥안병희,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강신항교수 회갑기념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이환묵, 『훈민정음 제자원리』신상순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훈민정음 해례본
♥tigonmun@hanmail.net
h15usu@net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자원리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는 어떤 기원설을 인정할 것이냐에 따라 달라진다. 본고는 초성에 있어서는 발음기관 상형설, 중성에 있어서는 天地人 상형설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제자원리도 그에 입각하여 풀이해 보고자 한다.
“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리와 조직
훈민정음의 자음, 곧 초성은 발음기관(음성기관)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음은 《훈민정음》해례 제자해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초성은 무릇 열 일곱 글자인데, 어금닛소리 ㄱ 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꼴을 본뜬 것이요, 혓소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