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과학과 기호학
2. 사회 과학에 대한 기호학의 기여
3. 기호학과 미디어 연구
4. 기호학과 다른 방법론과의 접목
5. 체험적 텍스트 분석
6. 포스트 모던 문화
7. 사회 기호학적 방법의 재등장
8. 맺는 말
2. 사회 과학에 대한 기호학의 기여
3. 기호학과 미디어 연구
4. 기호학과 다른 방법론과의 접목
5. 체험적 텍스트 분석
6. 포스트 모던 문화
7. 사회 기호학적 방법의 재등장
8. 맺는 말
본문내용
텍스트 분석이나 주체 구성에 그 관심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이런 이유로 해서 기호학은 '이념학' 이라는 별칭을 얻기도 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포스트 모던 문화는 체계적, 논리적 의미 구축을 회피 내지는 거부하는 문화이며 동시에 주체 구성을 통한 이념 작용의 메커니즘을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기호학 분석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밖에 없다.
포스트모던 텍스트의 기호학적 분석은 그러한 텍스트의 사회적 기능이나 수용자에 대한 작용의 문제를 진단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아 보이기 때문이다.
7. 사회 기호학적 방법의 재등장
지난 10여 년간 구미에서는 특히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포스트 모던 문화 분석이 상당히 유행했었다. 쇼핑몰, 테마파크, 패션, 공항, 마돈나 현상 등 그 대상도 다양했으며, 생산된 텍스트보다는 체험적 텍스트가 더 큰 관심의 대상이 되었던 점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해체주의적 문화 분석 방법이 주류를 이루면서 포스트 모던 문화에 대한 분석은 사회과학적 관심사의 측면에서 볼 때 상당히 퇴화한 면모를 보였다. 그것은 일상적 실천과 연계되지 않은 문화 현상에 대한 독립된 해석자의 해석적 비평에 지나지 않는 것들이었기 때문이다. (보드리야르와 프레데릭 제임슨의 분석)
이러한 현상에 대한 반성과 함께 사회기호학의 방법이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8. 맺는 말
오늘날 기호학 방법론은 70~80년대 텍스트 중심적 문화 연구가 번성하던 시기에 비하면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외형상으로는 그 중요성이 덜해진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왜냐하면 문화 연구 자체가 텍스트 중심축에서 해독자 혹은 수용자 축으로 그 무게 중심이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관점에서 보면 한때의 유행 사조나 방법론으로서의 화려한 위치에서 벗어나 오히려 저변으로 확산되면서 확고한 뿌리는 내리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호학이 다양한 사회과학적 방법론들과 접목되어 응용되고 있는 것이 그 좋은 예이다.
또한 오늘날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 상징, 기호, 언어 관련 사회과학적 연구들의 계보를 살펴보면 기호학의 변형 내지는 응용적인 것을 쉽사리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그 같은 응용, 혹은 변형 기호학 방법들이 자체의 엄밀성이 점차 상실되고 빈약해지는 경향이 보인다는 점이다. 따라서 사회과학 이외의 다양한 분야들과의 학제적 교류 같은 것이 이 같은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포스트모던 텍스트의 기호학적 분석은 그러한 텍스트의 사회적 기능이나 수용자에 대한 작용의 문제를 진단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아 보이기 때문이다.
7. 사회 기호학적 방법의 재등장
지난 10여 년간 구미에서는 특히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포스트 모던 문화 분석이 상당히 유행했었다. 쇼핑몰, 테마파크, 패션, 공항, 마돈나 현상 등 그 대상도 다양했으며, 생산된 텍스트보다는 체험적 텍스트가 더 큰 관심의 대상이 되었던 점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해체주의적 문화 분석 방법이 주류를 이루면서 포스트 모던 문화에 대한 분석은 사회과학적 관심사의 측면에서 볼 때 상당히 퇴화한 면모를 보였다. 그것은 일상적 실천과 연계되지 않은 문화 현상에 대한 독립된 해석자의 해석적 비평에 지나지 않는 것들이었기 때문이다. (보드리야르와 프레데릭 제임슨의 분석)
이러한 현상에 대한 반성과 함께 사회기호학의 방법이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8. 맺는 말
오늘날 기호학 방법론은 70~80년대 텍스트 중심적 문화 연구가 번성하던 시기에 비하면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외형상으로는 그 중요성이 덜해진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왜냐하면 문화 연구 자체가 텍스트 중심축에서 해독자 혹은 수용자 축으로 그 무게 중심이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관점에서 보면 한때의 유행 사조나 방법론으로서의 화려한 위치에서 벗어나 오히려 저변으로 확산되면서 확고한 뿌리는 내리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호학이 다양한 사회과학적 방법론들과 접목되어 응용되고 있는 것이 그 좋은 예이다.
또한 오늘날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 상징, 기호, 언어 관련 사회과학적 연구들의 계보를 살펴보면 기호학의 변형 내지는 응용적인 것을 쉽사리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그 같은 응용, 혹은 변형 기호학 방법들이 자체의 엄밀성이 점차 상실되고 빈약해지는 경향이 보인다는 점이다. 따라서 사회과학 이외의 다양한 분야들과의 학제적 교류 같은 것이 이 같은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추천자료
[PPT] KTF 광고의 기호마케팅과 브랜드 전략
퍼스의 기호이론과 한자의 구조
만화 '아키라'의 기호로 살펴보는 일본이라는 신화
기호와 이데올로기
광고의 기호성(예시)
[문화사회학] 또 다른 사회적 자아, 자동차 - 자동차 광고를 중심으로 (자동차광고와 기호)
2012년 2학기 언어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B(기호의특성과종류)
2012년 2학기 언어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D(언어기호의특성)
2013년 2학기 언어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D형(언어기호의특성)
2013년 2학기 언어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B형(기호의특성과종류)
영화 『피아노 (The Piano) 1993』에 나타난 기호 분석
영화 『피아노 (The Piano) 1993』 기호 분석 하기
[언어의 이해 D형] 언어기호의 특성을 설명하시오.
언어의 이해 D형) 언어기호의 특성을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