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호와 이데올로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호와 이데올로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데올로기의 정의

2. 이데올로기와 기호

본문내용

하고 있다. 그들 역시 이데올로기와 기호와의 긴밀성에 관해 언급하고 '이데올로기란 사물을 보고, 파악하는, 또 보고 듣고 읽는 것을 해석하는 방법인 개념과 이미지들의 체계이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르불(Reboul)은 집단 표상(담론)들이 모두다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거나 이데올로기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모든 표상이 다 이데올로기적이라면, 이데올로기는 더 이상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어 버리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는 자콥슨(Jakobson)이 전개시킨 기호의 여섯 가지 기능을 토대로, 이들 기능들의 <표면적 기능>과 <실제적 기능> 사이에서 이데올로기가 유발된다고 한다.
<표면적 기능과 실제적 기능>
지시적 기능: 정보를 전달하고, 설정하고, 가르치는 기능
②표현적 기능: 자신을 표현하는 기능
③선동적 기능: 다른 사람에게 행동하도록 만들기 위해 수행하는 기능
④시적 기능: 메시지의 목적이, 그 의미와 무관한, 물리적 실체로서의 메시지 그 자체를 표출하는 기능
⑤친교적 기능: 서로를 알리고 아는 기능
⑥메타언어적 기능: 의사소통을 가능케 해주는 기능
이러한 기능들은 표층구조와 심층구조로 분리되어, 표출되고 있는 <표면적 기능>과 그것이 담고 있는 <실제적 기능>이 서로 다르게 되면, 실제적 기능이 의미하는 바가 부각되는 상황으로 전이된다. 이것이 바로 심층구조의 돌출인데,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이데올로기적 의미'가 표출되게 되는 것이다.
표면적 기능
실제적
기능
지시적
표현적
선동적
시적
친교적
메타언어적
지시적
융합
거짓
수행문
범주의 오류
완곡 어법
객관화시키는 호칭
표현적
순화
권위적
논의
암호
자격박탈
고유어
선동적
정당화
충격어
금기어
주문
의례적인 표현
비의주의
시적
환치
전용
수사적 선동
빈정댐
수사적인
서두
어휘화
친교적
부인
대변
서두
반복, 단절
교차배어법
수용성
언어적 금기
메타언어적
의미적
변환
약호에
의한 통합
약호의상기
긴장:은유
반어,과장
상대에대한 반론
<도표>기호의 <실제적 기능>과 <표면적 기능>
예를 들면, '한국이여 깨어나라'라는 '거짓 수행문'의 경우('한국이라는 국가가 개인이 아닌데 어떻게 깨어날 수 있는가'라는 의미에서 거짓 수행문이라고 함), 이 담론은 겉보기엔 '선동적'이지만, 실제로는 '지시적'인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는 한국인들에게 특정상황에 대해 준비하고 대비하고 있으라고 하는 '이데올로기적 담론'으로 바뀌게 된다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2.24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96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