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데올로기의 정의
2. 이데올로기와 기호
2. 이데올로기와 기호
본문내용
하고 있다. 그들 역시 이데올로기와 기호와의 긴밀성에 관해 언급하고 '이데올로기란 사물을 보고, 파악하는, 또 보고 듣고 읽는 것을 해석하는 방법인 개념과 이미지들의 체계이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르불(Reboul)은 집단 표상(담론)들이 모두다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거나 이데올로기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모든 표상이 다 이데올로기적이라면, 이데올로기는 더 이상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어 버리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는 자콥슨(Jakobson)이 전개시킨 기호의 여섯 가지 기능을 토대로, 이들 기능들의 <표면적 기능>과 <실제적 기능> 사이에서 이데올로기가 유발된다고 한다.
<표면적 기능과 실제적 기능>
지시적 기능: 정보를 전달하고, 설정하고, 가르치는 기능
②표현적 기능: 자신을 표현하는 기능
③선동적 기능: 다른 사람에게 행동하도록 만들기 위해 수행하는 기능
④시적 기능: 메시지의 목적이, 그 의미와 무관한, 물리적 실체로서의 메시지 그 자체를 표출하는 기능
⑤친교적 기능: 서로를 알리고 아는 기능
⑥메타언어적 기능: 의사소통을 가능케 해주는 기능
이러한 기능들은 표층구조와 심층구조로 분리되어, 표출되고 있는 <표면적 기능>과 그것이 담고 있는 <실제적 기능>이 서로 다르게 되면, 실제적 기능이 의미하는 바가 부각되는 상황으로 전이된다. 이것이 바로 심층구조의 돌출인데,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이데올로기적 의미'가 표출되게 되는 것이다.
표면적 기능
실제적
기능
지시적
표현적
선동적
시적
친교적
메타언어적
지시적
융합
거짓
수행문
범주의 오류
완곡 어법
객관화시키는 호칭
표현적
순화
권위적
논의
암호
자격박탈
고유어
선동적
정당화
충격어
금기어
주문
의례적인 표현
비의주의
시적
환치
전용
수사적 선동
빈정댐
수사적인
서두
어휘화
친교적
부인
대변
서두
반복, 단절
교차배어법
수용성
언어적 금기
메타언어적
의미적
변환
약호에
의한 통합
약호의상기
긴장:은유
반어,과장
상대에대한 반론
<도표>기호의 <실제적 기능>과 <표면적 기능>
예를 들면, '한국이여 깨어나라'라는 '거짓 수행문'의 경우('한국이라는 국가가 개인이 아닌데 어떻게 깨어날 수 있는가'라는 의미에서 거짓 수행문이라고 함), 이 담론은 겉보기엔 '선동적'이지만, 실제로는 '지시적'인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는 한국인들에게 특정상황에 대해 준비하고 대비하고 있으라고 하는 '이데올로기적 담론'으로 바뀌게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르불(Reboul)은 집단 표상(담론)들이 모두다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거나 이데올로기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모든 표상이 다 이데올로기적이라면, 이데올로기는 더 이상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어 버리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는 자콥슨(Jakobson)이 전개시킨 기호의 여섯 가지 기능을 토대로, 이들 기능들의 <표면적 기능>과 <실제적 기능> 사이에서 이데올로기가 유발된다고 한다.
<표면적 기능과 실제적 기능>
지시적 기능: 정보를 전달하고, 설정하고, 가르치는 기능
②표현적 기능: 자신을 표현하는 기능
③선동적 기능: 다른 사람에게 행동하도록 만들기 위해 수행하는 기능
④시적 기능: 메시지의 목적이, 그 의미와 무관한, 물리적 실체로서의 메시지 그 자체를 표출하는 기능
⑤친교적 기능: 서로를 알리고 아는 기능
⑥메타언어적 기능: 의사소통을 가능케 해주는 기능
이러한 기능들은 표층구조와 심층구조로 분리되어, 표출되고 있는 <표면적 기능>과 그것이 담고 있는 <실제적 기능>이 서로 다르게 되면, 실제적 기능이 의미하는 바가 부각되는 상황으로 전이된다. 이것이 바로 심층구조의 돌출인데,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이데올로기적 의미'가 표출되게 되는 것이다.
표면적 기능
실제적
기능
지시적
표현적
선동적
시적
친교적
메타언어적
지시적
융합
거짓
수행문
범주의 오류
완곡 어법
객관화시키는 호칭
표현적
순화
권위적
논의
암호
자격박탈
고유어
선동적
정당화
충격어
금기어
주문
의례적인 표현
비의주의
시적
환치
전용
수사적 선동
빈정댐
수사적인
서두
어휘화
친교적
부인
대변
서두
반복, 단절
교차배어법
수용성
언어적 금기
메타언어적
의미적
변환
약호에
의한 통합
약호의상기
긴장:은유
반어,과장
상대에대한 반론
<도표>기호의 <실제적 기능>과 <표면적 기능>
예를 들면, '한국이여 깨어나라'라는 '거짓 수행문'의 경우('한국이라는 국가가 개인이 아닌데 어떻게 깨어날 수 있는가'라는 의미에서 거짓 수행문이라고 함), 이 담론은 겉보기엔 '선동적'이지만, 실제로는 '지시적'인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는 한국인들에게 특정상황에 대해 준비하고 대비하고 있으라고 하는 '이데올로기적 담론'으로 바뀌게 된다는 것이다.
추천자료
대중매체 언어의 특징과 대중매체 속 언어 사용의 실태
록 음악의 저항문화
애니메이션 < 이누야샤 >가 미치는 일본문화 인지효과에 대한 사례 분석
토탈디자인(Total Design)시대에서 실내디자인 방향성
1980년대 비판적 지식인의 해체시 - 황지우
William Carlos Williams
현대소설의 개념과 유형
[공영방송][공영방송 원칙][공영방송 역할][공영방송 편성]공영방송의 원칙, 공영방송의 역할...
중세 수서본 권두화의 의미와 역할
대학생 과잠바유행 현상으로 본 같음과 다름, 구별짓기
1930년대 중 후반의 우리 문학 - 모더니즘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