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계
●역사
1. 원리
2. 수정진동자
3. 표시방법
●한국의 시계역사
1. 앙부일구
2. 자격루
●시계의 종류
●역사
1. 원리
2. 수정진동자
3. 표시방법
●한국의 시계역사
1. 앙부일구
2. 자격루
●시계의 종류
본문내용
계, 자명(自鳴)이 있는 자명손목시계, 시침·분침·초침 이외에도 날짜와 요일이 표시되는 캘린더 시계도 있다. 그리고 자기(磁氣)의 영향을 방지하는 내자(耐磁)시계, 시계를 떨어뜨려도 기계가 상하지 않도록 내진장치(耐震裝置)가 된 것, 물 속에서도 물이 들어가지 않게 만든 방수시계와 전자시계, 문자판이 있는 아날로그 전자시계와 글자로 시간을 표시하는 디지털 시계, 또 수정발진기로 구동되는 전자손목시계 등이 있다.
고정밀도 시계 중 표준시계, 탑시계 및 상자 모양의 대형 시계에는 추가 사용된다. 이 밖에 일반적으로 벽시계·좌종시계·휴대시계 등에는 태엽 또는 전지가 사용된다.
태엽과 전기 등의 동력은 초침·분침·시침에까지 전달하려면 각기 기어 윤열을 통하는데, 먼저 이스케이프휠(escape wheel)에 전달하고 동시에 조속기로 규정된 회전속도가 초침·분침에 전달된다. 동력쪽의 큰바퀴부터 1번바퀴·2번바퀴·3번바퀴·4번바퀴·이스케이프휠이라고 하며, 이들과 맞물리는 작은 바퀴를 작은기어라고 한다. 그것들을 수직으로 유지하고 있는 기둥을 줏대라 하고, 위아래에 이것들을 지지하는 판이 있다.
손목시계에서는 지판(地板)·압판(押板)이라고 한다. 문자판과 바늘로써 시간을 판독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구성은 문자판·초침·분침·시침과 이면장치(裏面裝置)로 되어 있다. 중심바퀴 줏대는 분침을 장치하는 줏대로 1시간에 1회전하고, 여기에 전달바퀴를 연결시켜 시침바퀴를 1/12회전의 비율로 돌아가게 한다. 캘린더 장치도 여기에 연결된다.
템포바퀴·앵커·이스케이프휠이 시계의 조속기(調速機)이고 이들의 작용으로 바늘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 태엽을 감아 두면 태엽이 풀리려는 힘에 의하여 1번바퀴가 회전하여 2번바퀴를 회전시킨다. 2번바퀴는 3번바퀴를 돌려 3번바퀴를 회전하게 하는 순서로 회전이 전달된다.
기어가 자유롭게 회전하게 놓아두면 회전속도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조속장치를 이용한다.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탈진작용으로 일정한 회전속도를 얻게 되므로 템포바퀴의 진동수를 계산하고 그것을 표시하여 바늘을 돌리면 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시계가 된다. 템포바퀴의 진동을 계속하게 하는 것은 태엽의 동력이다.
조속기는 규칙적인 주기운동을 할 필요가 있으므로 온도보정장치·기압보정장치 등이 설치된다. 또 시계를 항온실이나 기밀감압용기 속에 넣는 경우도 있다. 휴대용 시계에서는 보정템포바퀴 또는 자기조정 템포바퀴태엽 등을 사용한다.
고정밀도 시계 중 표준시계, 탑시계 및 상자 모양의 대형 시계에는 추가 사용된다. 이 밖에 일반적으로 벽시계·좌종시계·휴대시계 등에는 태엽 또는 전지가 사용된다.
태엽과 전기 등의 동력은 초침·분침·시침에까지 전달하려면 각기 기어 윤열을 통하는데, 먼저 이스케이프휠(escape wheel)에 전달하고 동시에 조속기로 규정된 회전속도가 초침·분침에 전달된다. 동력쪽의 큰바퀴부터 1번바퀴·2번바퀴·3번바퀴·4번바퀴·이스케이프휠이라고 하며, 이들과 맞물리는 작은 바퀴를 작은기어라고 한다. 그것들을 수직으로 유지하고 있는 기둥을 줏대라 하고, 위아래에 이것들을 지지하는 판이 있다.
손목시계에서는 지판(地板)·압판(押板)이라고 한다. 문자판과 바늘로써 시간을 판독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구성은 문자판·초침·분침·시침과 이면장치(裏面裝置)로 되어 있다. 중심바퀴 줏대는 분침을 장치하는 줏대로 1시간에 1회전하고, 여기에 전달바퀴를 연결시켜 시침바퀴를 1/12회전의 비율로 돌아가게 한다. 캘린더 장치도 여기에 연결된다.
템포바퀴·앵커·이스케이프휠이 시계의 조속기(調速機)이고 이들의 작용으로 바늘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 태엽을 감아 두면 태엽이 풀리려는 힘에 의하여 1번바퀴가 회전하여 2번바퀴를 회전시킨다. 2번바퀴는 3번바퀴를 돌려 3번바퀴를 회전하게 하는 순서로 회전이 전달된다.
기어가 자유롭게 회전하게 놓아두면 회전속도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조속장치를 이용한다.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탈진작용으로 일정한 회전속도를 얻게 되므로 템포바퀴의 진동수를 계산하고 그것을 표시하여 바늘을 돌리면 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시계가 된다. 템포바퀴의 진동을 계속하게 하는 것은 태엽의 동력이다.
조속기는 규칙적인 주기운동을 할 필요가 있으므로 온도보정장치·기압보정장치 등이 설치된다. 또 시계를 항온실이나 기밀감압용기 속에 넣는 경우도 있다. 휴대용 시계에서는 보정템포바퀴 또는 자기조정 템포바퀴태엽 등을 사용한다.
추천자료
GPS의 개요
테일러리즘(Taylorism)
기독교 세계관과 현대사상
지속가능한 발전과 에너지 산업
프라하의 명소
내고향 중랑구 소개
삼성전자 반도체의 성장 과정에 대하여
경복궁 답사
[르꼬르뷔제][건축][르꼬르뷔제 건축]르꼬르뷔제의 건축적 배경, 르꼬르뷔제의 건축구성, 르...
'한국사에도 과학은 있는가' 독후감입니다.
보험론에 관한 자료
코메니우스, 오웬, 루소의 교육사상 및 이념 (장단점)
[이랜드중국시장진출]중국시장성공사례,이랜드경영,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
「세종대왕(世宗大王)과 한글창제」 훈민정음 창제 과정, 훈민정음 반포 과정, 문자 창제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