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상동맥경화증 케이스 스터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죽상동맥경화증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관계 문헌의 개요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검사
6) 치료
7) 경과/합병증
8) 예방

Ⅱ. 본론
1. 간호사정
1) 주관적 사정
2) 객관적 사정
2. 문제목록(Problem list) :
3. 간호진단 :
4. 간호 과정 적용

본문내용

)
▲ 간질환, 폐쇄성 황달 등 용혈성질환, 비효과적인 적혈구
생성, 수혈, Gilbert's disease, Crigler-najjar 증후군
▼ 용혈성 빈혈
Albumin
2.8
3.8~5.1(g/dl)
▲ 급성탈수증
▼ 선천성 저알부민혈증, 염증성질환, 간질환, 요로배설항 진, 영양불량
Glucose
148
70~110(mg/dl)
▲ 당뇨, Cushing 증후군, 급성췌장염, 갈색세포종
▼ 고인슐린혈증, 부신피질기능저하
c. 요검사
검사명
결과
정상치
임상적 의의
Leucocyte
(++++)
(-
감염
Erythrocyte
(++++)
(-
감염
RBC
Many(30이상)
0-2
▲ 요로 감염, 신장 및 요로계의 화농성 및 염증 성 질환
WBC
1-3
0-2
Epi.cell
Few Squamous cell
Bacteria
Few
적혈구 형태
DysmorpRBC<20%
(-
② 방사선 검사
a. 흉부 X-선 검사
- 목적 : 폐나 심장, 늑골, 늑막, 쇄골, 종격동 등 여러 기관의 질환 여부 확인
촬영부위
판독결과
Chest PA
1. Lungs are Essentially clear, heart is slighlty increased in size.
2. Old empyema pleural calcifications mainly along right lateral thoracic wall.
3. r/o Chronic bronchitis pattern
b. CT
- 목적 : 대동맥의 죽상동맥경화반이나 혈전 형성, 대동맥 확장 확인
촬영부위
판독결과
Leg
Symmetric normal appearance diameters and flow signals form both iliac -femoral atery- popliteal ateries
But from 5cm(RT)-10cm(LT) distal to bifurcation level of both Anterior tibialis arteries from prpliteal ateries
almost absence of flow signals from Both Anterior Tibialis Arteries and left posterior tibialis arery
(3) 의학적 치료요법
① 내과적 치료
a. 식이요법 : 포화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높은 음식을 제한하고 불포화지방이 함유 된 음식의 섭취를 늘린다. 과일, 채소 등의 점액성(수용성) 섬유질을 충분히 섭취하고 주로 복합탄수화물이 많은 곡류, 과일 및 채소를 통해 섭취한다.
b. 약물요법 :
목 적
약명
투여방법
주 작용
핵심부작용
강력이뇨제
Laxis
IVs
각종질환의 부종에 사용
체내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
말초혈관확장제
Eglandin
IV
폐쇄성 동맥경화증, 만성동맥 폐
색증에 사용
종창, 발열, 위출혈, 간기능 악화, 안면홍조
교감신경 흥분약
Dobutamin
IV
심박동수에 증가없이 심박출량의 증가가 필요한 경우
심계항진, 부정맥, 심박동수 및 혈압증가,
급성 순환부전 치료제
Dopamine
IV
수술 후 신장애, 핍뇨, 무뇨증, 심박출량감소로인한 저혈압
부정맥, 심실성기외수축, 협심증, 호흡곤란
진통제
Tridol
IM
진단이나 수술 후 동통완화
발작, 호흡억제
알부민 상
실에 대한 치료제
Albumin
IV
알부민 수치가 떨어진 경우
발열, 두드러기, 오한, 요통
② 외과적 처치 : 경골동맥 우회술
2. 문제목록(Problem list) :
1) 배뇨곤란
2) 수술 후 통증
3) 저알부민수치
3. 간호진단 :
1) 배뇨곤란과 관련된 배뇨장애
2) 수술 후 통증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3) 저알부민수치와 관련된 체액 불균형 위험
일시 :
날짜
&
시간
간 호 사 정
간 호
진 단
간 호
목 표
간 호
계 획
간 호
수 행
간호평가
및 재계획
2009/
07/18
주관적 자료:
“수술 후 다리에 통증이 심하고 힘주면 통증이 더 심해져요.”
객관적 자료:
가만히 있어도 다리에 통증이 있다고 하심.
수술 후 통증과 관련된 신체적 기동성 장애
단기목표 :
대상자는 2009/07/21까지 안
위관리와
투약으로
통증조절 이 잘되며 편안감을
표현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2009/08/15까지 통증
없으며 도
움 없이
복도 끝까
지 걷는다.
7/18활력징후를 측정한
다.
7/18체위변경
을 해준다.
7/18처방된 약 물을 투약 하고 효과 및 부작용 여부를 관
찰한다.
7/18매 시간 활력징후를 측정한
다.
7/18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올려
준다.
7/18진통제 Tridol을 IM으로 투여한다.
병동으로 올라감
주관적 자료:
“소변보기가 너무 힘들어요.”
객관적 자료:
BUN 30.6mg/dl
(정상수치:
5~25)
Creatinine 2.7mg/dl
(정상수치 : 0.6~1.2)
소변량 500cc
배뇨곤란과 관련된 배뇨장애
단기목표 :
대상자는 2009/07/21까지 간
호사의 지
지만으로
소변을 본
다.
장기목표:대상자는 2009/08/15까지 스
스로 소변
을 본다.
7/18활력징후를 측정한
다.
7/18수분 흡수
를 늘려준
다.
7/18매 시간 활력징후를 측정한
다.
7/181일 수분
섭취량을
2L로 늘
려준다.
병동으로 올라감
주관적 자료 :
“자꾸 다리가 부어요.”
객관적 자료 :
pitting edema 는 없지만 다 리에 부종이 있음.
Albumin
2.8g/dl
(정상수치:3.5
~5.0)
저알부민수치와 관련된 체액 불균형 위험
단기목표 :
대상자는 2009/07/21까지 알
부민이 정
상수치를 유지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2009/08/15까지 부종감이 완화되거나 없어졌 다고 말한 다.
7/18활력징후를 측정한
다.
7/18체위변경을 해준다.
7/18수액을 보충해준다.
7/18처방된 약 물을 투약 하고 효과 및 부작용 여부를 관
찰한다.
7/18식이요법을 시행한
다.
7/18매 시간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7/18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올려준다.
7/18알부민을 수액으로 보충해준다.
7/18처방된 강력 이뇨
제 Laxis를 투여한다.
7/18저염식이를
섭취하게 한다.
병동으로 올라감
4. 간호 과정 적용
  • 가격4,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12.28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01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