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화의 정의 및 역사
●전화의 기본원칙
●한국의 전화
●종류
●통화의 종류
●전화의 현재와 미래
●전화의 기본원칙
●한국의 전화
●종류
●통화의 종류
●전화의 현재와 미래
본문내용
리고 1975년에는 100만 회선을 유지하게 되었으나, 날로 늘어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1982년 정부조직으로부터 통신사업을 분리, 한국전기통신공사를 발족시켰다. 그 결과 1983년 500만 회선을 넘었고, 1987년 전국 전화 자동화의 완성으로 1,000만 회선이 되었으며, 1990년 10월 1500만 회선을 돌파하는 세계적인 수준의 통신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교환시설의 전전자화(全電子化)에 따라 장거리 전송시설의 고품질화를 추진하기 위해 최첨단 광통신 디지털 M/W를 대량공급함으로써, 장거리 전송시설의 디지털화율을 향상시켜, 1989년 4만 3500여 회선을 더하여 총 26만 5632회선으로 늘어났으며, 전송시설의 수명유지와 대용량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1982년부터 지하관로 시설공사를 추진해 오고 있다.
광관로는 1988년에 235km를 연장하여 1,926km를 건설하였고, 광케이블은 1988년 945km를 연장함으로써 국내 광통신망은 광관로 및 광케이블건설, 총연장 5,186km를 완성하였다. 국제통신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1988년 말 현재 국제위성전송시설 2,410회선, 해저광케이블 및 스캣타 1,704회선으로 총 4,114회선에 달하는 고품질설비를 확충하였다.
가입전화시설의 대량공급과 더불어 시설의 현대화를 위해, 1987년말 이미 전화자동화율 100%를 달성하였고, 전화보급률은 1981년 9%에서 1988년 말 72%로 발전하였다. 현재 전기통신 요금체제는 거리에 따라 차등요금을 부과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대용량 고속전송 시스템의 발달로 거리에 따른 원가차이가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교환시설의 전전자화(全電子化)에 따라 장거리 전송시설의 고품질화를 추진하기 위해 최첨단 광통신 디지털 M/W를 대량공급함으로써, 장거리 전송시설의 디지털화율을 향상시켜, 1989년 4만 3500여 회선을 더하여 총 26만 5632회선으로 늘어났으며, 전송시설의 수명유지와 대용량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1982년부터 지하관로 시설공사를 추진해 오고 있다.
광관로는 1988년에 235km를 연장하여 1,926km를 건설하였고, 광케이블은 1988년 945km를 연장함으로써 국내 광통신망은 광관로 및 광케이블건설, 총연장 5,186km를 완성하였다. 국제통신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1988년 말 현재 국제위성전송시설 2,410회선, 해저광케이블 및 스캣타 1,704회선으로 총 4,114회선에 달하는 고품질설비를 확충하였다.
가입전화시설의 대량공급과 더불어 시설의 현대화를 위해, 1987년말 이미 전화자동화율 100%를 달성하였고, 전화보급률은 1981년 9%에서 1988년 말 72%로 발전하였다. 현재 전기통신 요금체제는 거리에 따라 차등요금을 부과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대용량 고속전송 시스템의 발달로 거리에 따른 원가차이가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