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V결과 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UV결과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목적
2. 이론
3. 실험 장치 및 방법
4. 결과
5. 토의
6. 결론
7.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피펫을 이용해 바이얼에 넣는다.
미지시료 B 30%를 만들기 위해 미지시료 B 3ml, 미지시료 A 7ml를 피펫을 이용해 바이얼에 넣는다.
미지시료 B 50%를 만들기 위해 미지시료 B 5ml 미지시료 A 5ml를 피펫을 이용해 바이얼에 넣는다.
미지시료 B 70%를 만들기 위해 미지시료 B 7ml 미지시료 A 3ml를 피펫을 이용해 바이알에 넣는다.
나) Standard의 파장, 면적 찾기
빈 cell을 먼저 UV에 넣고 측정한뒤, Standard 시료들의 파장을 찾고 그에 따 른 면적을 구한다.
다) 미지시료 a. e의 파장, 면적 찾기
빈 cell을 먼저 UV에 넣고 측정한뒤, 미지시료 a.e의 파장을 찾고 그에 따른 면적을 구한다.
라) 검량선 작성
실험순서 나)에서 찾아낸 파장을 이용하여 미지시료 A.B의 검량선을 작성한 다.
마) 미지시료정량
미지시료 a.e 용액 2가지를 정량한다.
3-3 S/W setting
가) UV를 on한 후 WinASPECT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Measurement 창에 Initialize Device를 클릭한 후 램프에 불이 들어 오는 것을 확인한다.
나) Measurement 창에 Set Parameters를 클릭한다.
다) General 항목에서 Title을 정하고 Operator를 기록한다. 이때 Display는 Absorbance로 선택한다.
라) Device 항목에 interface가 USB인 것을 확인한다.
마) mode 항목에서 spectrum을 선택하여 파장 범위를 설정한다.
바) interval 항목에 None 인 것을 확인한다.
사) Accessories 항목에 none 인 것을 확인한다.
아) Save 한 후 OK를 클릭한다.
자) Reference를 클릭한다.
차) 측정을 시작한다.
주의 사항
1. 큐벳에 시료를 옮겨 닮을 때 지문을 묻히지 않도록 한다.
2. 깨끗이 씻은 다음 담으려는 용액으로 세번이상 행군다.
3. 바깥 벽에 묻은 물은 부드러운 종이로 닦아낸 다음 사용한다.
4. UV는 절대로 끄지 않는다.
4. 결과
1) 표준용액으로 검량선을 작성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시오.( 흡광도 vs 농도)
2) 1번의 검량선을 이용하여 혼합 미지시료에서의 미지시료 각각의 함량을 구하시 오.
따라서 a. 시료 A일때 미지시료 a의 농도는 64.14%이며, e의 농도는 65.96% 이다.
b. 시료 B일때 미지시료 a의 농도는 32.56%이며, e의 농도는 35.06%이다.
5. 토의
이번실험의 목적은 UV/Vis spectrophotometer을 이용하여 미지시료의 흡광도를 구 하여 미지시료의 함량이 얼마인지를 알아보는 것 이었다. UV/Vis의 원리는 시료 용액을 cell에 담아 그 cell에 UV/Vis의 빛을 통과시키면 처음에 광원에서 방출된 빛의 세기와 시료용액을 통과한 후의 빛의 세기차이를 검출기에서 비교하여 빛이 어느정도 흡수 되었는가를 알아내는데, 이때 설정한 파장 범위 내에서 순차적으로 각 파장별로 빛을 연속으로 쏘아 보낸다. 그렇게 해서 얻어진 데이터를 그래프화해 흡광도 그래프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체 스펙트럼에서 적절한 파장을 선정, 고정 시키고 그때의 흡광도와 농도 변수를 연 관시켜야 한다. 흡광도가 최대인 파장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의 물질이 대략 어떠한 것인지를 짐작할 수 있게 한 다. 이때의 흡광도를 이용해서 량이 얼마나 많이 들어있는가를 알게 된다. 191.9nm의 파장을 가진 시료 A의 검량선 그래프 에는 비례하는 모습을 보였다. 210.4nm의 파장을 가진 시료 B의 검량선 그래프는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UV/Vis는 자외-가시부 에서의 흡광도 측정과 물질의 농도에 비례하는 특성이 있고, 넓은 농도 범위에서 선형성뿐만 아 니라 흡수양상이 띠의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작은 파장 변화에 따른 흡광 오차가 적다. 검량선은 보통 cell을 이용하여 아는 여러 농도의 표준 흡광도를 측정하여 농도에 대한 흡광도를 도시하여 작성한다. 우리가 구한 농도에 따른 면적을 보면 검량선을 그릴 수 있었다. 그로 인해 미지시료의 함량을 구할 수 있었다. UV/Vis의 빛을 통과 시킬 때 빛이 흡수되는 이유는 시료용액속의 특정 물질이 바닥상태에 있다가 에너지를 받아 들뜬 상태 가되기 위해서는 정확하게 들뜬 상태 에너지준위와 바닥상태 에너지 준위와의 차 이에 일치하는 에너지 량을 가진 파장범위 빛만을 흡수하여 들뜬 상태가 된다. 그렇게 때문에 특정성분물질은 특정 파장의 빛만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빈 Blank를 분석하는 이유 는 분석하고자 하는 미지의 시료 중 특정 성분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표준 용액을 다양한 농도로 제작을 하여 흡광도를 측정 하여야 하며 미지 시료 또한 표준 용액 범위 안에 들어가도록 희석 시키는 처리 과정이 수반된다. 그 과정에서 미지 시료나 표준 용액을 제작할 때 사용된 특정 성분이 들어있는 시약 외에 증류수라든가 경우에 따라 다른 시약을 첨가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 시약외의 요인에 의해서 흡광도가 증가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시료 만 없고 나머지 조건은 똑같이 맞추어준 빈 Blank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Blank에서 나타나는 특정 파장에서의 흡광도 값을 제조된 용액의 측정된 흡광도에서 빼주어서 정확한 시료의 흡광도 값으로 보정을 했다.
6. 결론
미지시료의 흡광도는 191.9nm와 210.4nm이다.
이에 따른 미지시료의 함량을 농도 퍼센트로 나타내면
A의 흡광도 191.9nm 일때 미지시료 a의 농도는 64.14%이며, e의농도는 65.96% 이다.
B의 흡광도 210.4nm 일때 미지시료 a의 농도는 32.56%이며, e의농도는 35.06%이다.
7. 참고문헌
1) 기기분석방법, Hovart H. Willard 외 3명, 도서출판 대웅, 1991.8.31, p128-210
2) Visible and Ultraviolet spectroscopy, RONALD C DENNEY. ROY SINCLAIR, ACOL thames polytechnic London, 1993, p31-49,
  • 가격1,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12.31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08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