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장 Hernia(서혜부탈장, 제대탈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탈장 Hernia(서혜부탈장, 제대탈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Ⅱ. 탈장 Hernia
[ 서혜부 탈장 Inguinal hernia ]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치료
5. 관리
[ 제대탈장 Umbrical hernia ]
1. 정의 및 원인
2. 증상
3. 치료

본문내용

힘, 즉 복강내 압력을 조금도 주지 않고 가만히 있을 때는 배꼽 헤르니아가 없는 것과 같이 보이거나 아주 작아진다. 그렇지만 심하게 줄거나 배에 힘을 많이 줄 때는 복막이나 창자의 일부가 배꼽 헤르니아의 륜을 통과해서 배꼽의 피부를 불쑥 밀기 때문에 배꼽 헤르니아가 위로 불쑥 솟아 나오게 되고 아주 크게 보일 수 있다. 배꼽 위로 불쑥 솟아 나온 배꼽 해르니아의 내용물을 손으로 만져 보면 뽀드득 뽀드득 소리가 날 수 있다. 헤르니아의 내용물을 손가락 끝으로 복강 속으로 밀어 넣으면 헤르니아 륜을 통과해서 복강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대부분의 배꼽 헤르니아는 자연히 낫는다.
3. 치료
대부분의 배꼽 헤르니아는 4~5세가 될 때까지 저절로 낫는다. 그대로 두고 관찰치료하는 것이 치료의 전부이다. 그렇지만 헤르니아 륜이 동전 하나가 쉽게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클 때나 장의 일부가 헤르니아 륜을 통하여 쉽게 빠져나올 수 있을만큼 클 때, 또 복강내 장기의 일부가 배꼽 헤르니아 속으로 빠져 나온 후 다시 들어가지 않을 때는 수술로 치료해야 한다. 그러나 이런 이유로 배꼽 헤르니아를 수술로 치료받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4~5세가 될 때까지 배꼽 헤르니아가 저절로 없어지지도 않고 보기에 흉하게 계속 남아 있거나 아이가 학교에서 놀림거리가 되거나 그 아이 자신이 걱정을 많이 할 때에는 학교에 입학하기 바로 전에 의사와 상의하여 수술로 치료해 줄 수도 있다. 그러나 되도록 수술보다는 자연히 없어지도록 5~6세까지 기다리는 것이 더 좋다. 수술치료를 할 때 배꼽을 절대로 잘라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1.04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12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