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작업환경 유해요인의 종류
2. 유해물질 허용기준
3. 유해성 영향요소
4. 침입경로별 유해물질관리
5. 작업환경 측정관리
6. 유해화학 물질관리
7. 작업환경 관리의 기본 원칙
2. 유해물질 허용기준
3. 유해성 영향요소
4. 침입경로별 유해물질관리
5. 작업환경 측정관리
6. 유해화학 물질관리
7. 작업환경 관리의 기본 원칙
본문내용
급시키고자 하는 경우.
- 신규 채용하여 대상화학물질 취급작업에 종사시키고자 하는 경우.
- 작업전환하여 대상화학물질에 노출될 수 있는 작업에 종사시키고자하는 경우.
- 대상화학물질을 운반 쪼는 저장시키고자 하는 경우.
- 기타 대상화학물질로 인한 사고발생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7. 작업환경 관리의 기본 원칙
1) 대치(Substitution)
① 공정의 변경 : 페인트 분무 → 페인트에 담그거나 전기를 이용한 흡착식 분무.
금속을 두들겨 자름 → 톱으로 자름(소음 감소)
② 시설의 변경 : 가연성 물질 저장시 유리병 대신 철제통 사용.
흄을 배출하기 위한 통풍장치의 창을 안전유리로 바꾸는 것.
③ 물질의 변경 : 성냥 제조시 황인 대신 적인 사용.
드라이 크리닝 시에 석유 대신 perchloroethylen을 사용.
세탁시 사염화탄소 대신 염화 탄산수소나 불화탄화수소,
벤젠 대신 톨루엔 사용.
석면사용 → 섬유유리나 식물성섬유 사용.
2) 격리(Isolation)
흡입독성이 강하거나 인화성이 높은 물질 등은 격리하여 저장.
예) 방사선 동위원소 취급시 격리와 밀폐, 원격장치 이용.
개인용 보호구 사용(가장 소극적인 방법).
3) 환기(Ventilation) : 유해증기를 포착하여 배출시키기 위하여 또는 쾌적한 온열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
① 국소환기 : 유해물질의 발생원 가까이에 유해물질을 빨아들여서 밖으로 배출시키는 장치를 설치하여 근로자가 유해물질을 흡입하지 않도록 하는 것.
예) 분진, 가스, 흄 등의 발생 공정시 국소배기장치.
② 전체 환기(희석 환기) : 작업환경의 유해물을 희석.
예) 고온, 다습 조절.
4) 교육(Education)
작업환경 관리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관리자에게 작업환경 관리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기술자는 안전보건 문제에 대한 계획과 처리를 할 수 있게 하고, 감독자는 작업감독뿐 아니라 환경이나 공정에 대한 감독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는 자신 이 다루고 있는 시설이나 기구 물질에 대해 이해하고 대처 가능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 도록 한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김정남 외(2008). 지역사회간호학. 서울: 수문사.
유호신 외(2008). 지역사회간호학2.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전문위원회(2009). 보건관리대행사업가이드북. 보건관리대행기관협의회.
대한산업보건협회(http://www.kiha21.or.kr/index.asp).
- 신규 채용하여 대상화학물질 취급작업에 종사시키고자 하는 경우.
- 작업전환하여 대상화학물질에 노출될 수 있는 작업에 종사시키고자하는 경우.
- 대상화학물질을 운반 쪼는 저장시키고자 하는 경우.
- 기타 대상화학물질로 인한 사고발생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7. 작업환경 관리의 기본 원칙
1) 대치(Substitution)
① 공정의 변경 : 페인트 분무 → 페인트에 담그거나 전기를 이용한 흡착식 분무.
금속을 두들겨 자름 → 톱으로 자름(소음 감소)
② 시설의 변경 : 가연성 물질 저장시 유리병 대신 철제통 사용.
흄을 배출하기 위한 통풍장치의 창을 안전유리로 바꾸는 것.
③ 물질의 변경 : 성냥 제조시 황인 대신 적인 사용.
드라이 크리닝 시에 석유 대신 perchloroethylen을 사용.
세탁시 사염화탄소 대신 염화 탄산수소나 불화탄화수소,
벤젠 대신 톨루엔 사용.
석면사용 → 섬유유리나 식물성섬유 사용.
2) 격리(Isolation)
흡입독성이 강하거나 인화성이 높은 물질 등은 격리하여 저장.
예) 방사선 동위원소 취급시 격리와 밀폐, 원격장치 이용.
개인용 보호구 사용(가장 소극적인 방법).
3) 환기(Ventilation) : 유해증기를 포착하여 배출시키기 위하여 또는 쾌적한 온열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
① 국소환기 : 유해물질의 발생원 가까이에 유해물질을 빨아들여서 밖으로 배출시키는 장치를 설치하여 근로자가 유해물질을 흡입하지 않도록 하는 것.
예) 분진, 가스, 흄 등의 발생 공정시 국소배기장치.
② 전체 환기(희석 환기) : 작업환경의 유해물을 희석.
예) 고온, 다습 조절.
4) 교육(Education)
작업환경 관리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관리자에게 작업환경 관리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기술자는 안전보건 문제에 대한 계획과 처리를 할 수 있게 하고, 감독자는 작업감독뿐 아니라 환경이나 공정에 대한 감독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는 자신 이 다루고 있는 시설이나 기구 물질에 대해 이해하고 대처 가능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 도록 한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김정남 외(2008). 지역사회간호학. 서울: 수문사.
유호신 외(2008). 지역사회간호학2.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전문위원회(2009). 보건관리대행사업가이드북. 보건관리대행기관협의회.
대한산업보건협회(http://www.kiha21.or.kr/index.asp).
추천자료
환경 변화로 인한 인적자원관리의 변화
환경 변화에 따른 인적자원관리(A+받았슴다)
산지농업환경의 특성과 환경지속성을 위한 최적 영농관리 방안
환경독성물 관리와 위해성평가
실내환경의 안전관리
[인적자원관리론] 경쟁적 환경에 대한 기업 전략 PPT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4A)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환경 구성 원리와 효율적인 관리 방안
[쓰레기]쓰레기(폐기물)의 분류, 쓰레기(폐기물)의 봉투, 쓰레기(폐기물)의 수거작업, 쓰레기...
미국 정보자원관리(IRM)의 법과 규칙, 미국 정보자원관리(IRM)의 정책, 미국 정보자원관리(IR...
[기업 경영][기업 경영관리][기업 경영환경][기업 경영성과평가][기업 경영효율화][기업 경영...
[작업측정-표준시간] 표준시간의 조건과 활용
[경영성과][경영][관광개발사업자][생산자서비스][농업][기업조직]관광개발사업자 경영성과,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친환경 정책방향 - 팔당상수원 관리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