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평면표현의 발달
(1) 로웬펠드의 평면표현의 발달 단계
(2) 시릴버트의 평면표현의 발달 단계
(3) 케이츠 켈, 허위츠, 데이의 평면표현의 발달 단계
(4) 루께의 평면표현의 발달 단계
(5)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의 평면표현의 발달 단계
2) 입체표현의 발달
(1) 로웬펠드의 입체표현의 발달 단계
(2) 입체표현의 발달과정
3. 결론
2. 본론
1) 평면표현의 발달
(1) 로웬펠드의 평면표현의 발달 단계
(2) 시릴버트의 평면표현의 발달 단계
(3) 케이츠 켈, 허위츠, 데이의 평면표현의 발달 단계
(4) 루께의 평면표현의 발달 단계
(5)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의 평면표현의 발달 단계
2) 입체표현의 발달
(1) 로웬펠드의 입체표현의 발달 단계
(2) 입체표현의 발달과정
3. 결론
본문내용
대상은 사람이다.
- 사람의 형태는 만다라(중심에 핵심을 두고 주변사물들이 모여들거나, 중 심에서 밖으로 확산되어 가는 상징형태), 태양형, 두족류, 올챙이 인물 등 으로 나타내며, 원의 얼굴 안에 눈, 입, 코를 나타낸다.
- 인간 외에 동물, 건물, 식물 ,수송기관을 그리는데. 인간과 동물은 구분이 되지 않고 인간의 형태를 눕혀서 표현하거나 귀 모양을 붙여 동물의 표 현한다.
- 동물 머리는 대부분 정면을 보고 몸통과 다리는 옆모습이다.
- 건물 그림은 대부분 집으로 사각형 안에 작은 사각형을 몇 개 그리고 지 붕은 삼각형이나 사다리꼴로 표현한다.
- 나무는 긴 사각형 위에 원으로 나타내며, 수송기관은 자동차, 배, 비행기, 기차 등이 있으며 바퀴가 다 보이고 집을 그릴 때와 비슷하게 그린다.
- 이 시기의 표현은 대상의 존재에 대한 나름대로의 상징으로 표현하는데 자신의 인식에 따라 과장과 축소, 생략 등이 거침없이 나타난다.
- 이 시기의 어린이들은 동기부여를 하지 않아도 스스로 그림을 그리는 경 우가 많으나 틀에 박힌 그림이 되지 않도록 지도되어야 한다.
2) 입체표현의 발달
(1) 로웬펠드의 입체 표현의 발달 단계
- 유아기 -
가. 난화기 (亂畵期. The Scribbling Stage) (2-4세)
ㄱ. 무질서한 난화기 - 어떤 시각적인 목적이 없이 찰흙을 두드리고 주무르 는 행위
ㄴ. 조절하는 난화기 - 어떤 목적을 추구하지 않는 막대와 둥근 모양의 형태 나타남
ㄷ. 명명하는 난화기 - 찰흙 덩어리에 이름 붙여 논다.
- 학령전기 -
나. 전도식기 (前圖式期. The Preschematic Sage) (4-7세)
- 찰흙으로 표현하면서 끊임없이 표현양식을 변화시켜 나감
- 형태를 만들기 위해 찰흙 덩어리에서부터 모든 의미 있는 부분들을 끌어내 거나 부분들을 덧붙인다.
- 세부적인 표현을 하지 않는다.
(2) 입체표현의 발달과정
입체 표현의 발달과정은 계속 변화의 과정이다. 변화의 두 가지 흐름은 표현 형식의 변화 : 놀이적 표현→상징적 표현→사실적 표현으로 변하고, 차원의 변화로 : 평면적 표현→입체적 표현→공간적 표현으로 변한다.
- 유아기 -
가. 탐색적 유희기(4세 이하) : 입체 자료를 가지고 즐기면서 평면적으로 구체 적 형상을 탐색하는 단계
무의도적인 유희기 - 하나의 놀이기구 - 마구 그리는 난화기
규칙적인 유희기(3세) - 동일한 형태를 만들기 시작 - 규칙적인 난화기
이름 붙이는 유희기 - 형태에 이름을 붙여 이야기 - 이름 붙이는 난화기
* 초기 인물의 형태 세 유형
- 통통한 막대모양의 입체 형태
- 공 모양의 찰흙 두 개를 붙이거나 납작하게 누른 낮은 입체 형태
- 인물의 부분 부분을 평면적으로 배치하는 것
- 학령전기 -
나. 평면적 상징기(4-8세) : 입체 재료를 평면적으로 표현하면서 모든 대상을 상징적,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단계
- 평면적 표현이란 서있는 사람을 생각하면서 만들었지만 실지로는 눕혀져 있는 표현이다.
- 두족류의 인물표현이 두드러진다.
* 인물 표현 특징 - 평면적인 표현 (79.1%)
- 어린이 95%가 머리, 팔, 다리, 몸통은 표현.
- 부분적인 것에 대한 관심이 높다.
- 사실표현보다 상징표현이 많다.
- 움직임이 적은 표현
- 발달순서 : 머리 → 팔 → 다리 → 몸통 → 목
결론
유아기 미술 프로그램에서의 교사의 역할은 유아의 미술활동을 결정하고 행동을 지원하며, 칭찬과 비판을 해주고 계획된 작업에 배당할 시간을 결정하며, 유아 각자에게 개인적인 관심을 갖고, 자유롭고 다양한 활동을 위해 적절한 공간, 시간, 자료 경험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유아들에게는 일상생활 경험을 중심으로 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지도 내용 및 과정 방법이 단순해야 하고, 내용을 되풀이 강화시키는 반복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언어, 인지, 건강, 정서, 사회 등 통합적 지도가 뒤따라야 한다.
학령전기의 아동에게는 동기부여가 중요하고, 이것을 아동의 경험과 결부시켜 지도하는 것이 좋다. 특히 자신의 신체개념을 먼저 인식시킨 후 자신에게 직접 관련된 주제를 표현하게 한다. 사용재료는 너무 많은 것을 한꺼번에 경험시키는 것은 좋지 않다. 흡습력이 있는 종이나 거친 털이 있는 붓, 농도가 진한 물감 등 자유로운 매체가 좋다. 크레용과 찰흙, 색연필, 꼴라쥬 재료, 색종이 등도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이 시기는 색깔을 사용하는 것을 즐거워하므로 다양한 색깔을 사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 사람의 형태는 만다라(중심에 핵심을 두고 주변사물들이 모여들거나, 중 심에서 밖으로 확산되어 가는 상징형태), 태양형, 두족류, 올챙이 인물 등 으로 나타내며, 원의 얼굴 안에 눈, 입, 코를 나타낸다.
- 인간 외에 동물, 건물, 식물 ,수송기관을 그리는데. 인간과 동물은 구분이 되지 않고 인간의 형태를 눕혀서 표현하거나 귀 모양을 붙여 동물의 표 현한다.
- 동물 머리는 대부분 정면을 보고 몸통과 다리는 옆모습이다.
- 건물 그림은 대부분 집으로 사각형 안에 작은 사각형을 몇 개 그리고 지 붕은 삼각형이나 사다리꼴로 표현한다.
- 나무는 긴 사각형 위에 원으로 나타내며, 수송기관은 자동차, 배, 비행기, 기차 등이 있으며 바퀴가 다 보이고 집을 그릴 때와 비슷하게 그린다.
- 이 시기의 표현은 대상의 존재에 대한 나름대로의 상징으로 표현하는데 자신의 인식에 따라 과장과 축소, 생략 등이 거침없이 나타난다.
- 이 시기의 어린이들은 동기부여를 하지 않아도 스스로 그림을 그리는 경 우가 많으나 틀에 박힌 그림이 되지 않도록 지도되어야 한다.
2) 입체표현의 발달
(1) 로웬펠드의 입체 표현의 발달 단계
- 유아기 -
가. 난화기 (亂畵期. The Scribbling Stage) (2-4세)
ㄱ. 무질서한 난화기 - 어떤 시각적인 목적이 없이 찰흙을 두드리고 주무르 는 행위
ㄴ. 조절하는 난화기 - 어떤 목적을 추구하지 않는 막대와 둥근 모양의 형태 나타남
ㄷ. 명명하는 난화기 - 찰흙 덩어리에 이름 붙여 논다.
- 학령전기 -
나. 전도식기 (前圖式期. The Preschematic Sage) (4-7세)
- 찰흙으로 표현하면서 끊임없이 표현양식을 변화시켜 나감
- 형태를 만들기 위해 찰흙 덩어리에서부터 모든 의미 있는 부분들을 끌어내 거나 부분들을 덧붙인다.
- 세부적인 표현을 하지 않는다.
(2) 입체표현의 발달과정
입체 표현의 발달과정은 계속 변화의 과정이다. 변화의 두 가지 흐름은 표현 형식의 변화 : 놀이적 표현→상징적 표현→사실적 표현으로 변하고, 차원의 변화로 : 평면적 표현→입체적 표현→공간적 표현으로 변한다.
- 유아기 -
가. 탐색적 유희기(4세 이하) : 입체 자료를 가지고 즐기면서 평면적으로 구체 적 형상을 탐색하는 단계
무의도적인 유희기 - 하나의 놀이기구 - 마구 그리는 난화기
규칙적인 유희기(3세) - 동일한 형태를 만들기 시작 - 규칙적인 난화기
이름 붙이는 유희기 - 형태에 이름을 붙여 이야기 - 이름 붙이는 난화기
* 초기 인물의 형태 세 유형
- 통통한 막대모양의 입체 형태
- 공 모양의 찰흙 두 개를 붙이거나 납작하게 누른 낮은 입체 형태
- 인물의 부분 부분을 평면적으로 배치하는 것
- 학령전기 -
나. 평면적 상징기(4-8세) : 입체 재료를 평면적으로 표현하면서 모든 대상을 상징적,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단계
- 평면적 표현이란 서있는 사람을 생각하면서 만들었지만 실지로는 눕혀져 있는 표현이다.
- 두족류의 인물표현이 두드러진다.
* 인물 표현 특징 - 평면적인 표현 (79.1%)
- 어린이 95%가 머리, 팔, 다리, 몸통은 표현.
- 부분적인 것에 대한 관심이 높다.
- 사실표현보다 상징표현이 많다.
- 움직임이 적은 표현
- 발달순서 : 머리 → 팔 → 다리 → 몸통 → 목
결론
유아기 미술 프로그램에서의 교사의 역할은 유아의 미술활동을 결정하고 행동을 지원하며, 칭찬과 비판을 해주고 계획된 작업에 배당할 시간을 결정하며, 유아 각자에게 개인적인 관심을 갖고, 자유롭고 다양한 활동을 위해 적절한 공간, 시간, 자료 경험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유아들에게는 일상생활 경험을 중심으로 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지도 내용 및 과정 방법이 단순해야 하고, 내용을 되풀이 강화시키는 반복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언어, 인지, 건강, 정서, 사회 등 통합적 지도가 뒤따라야 한다.
학령전기의 아동에게는 동기부여가 중요하고, 이것을 아동의 경험과 결부시켜 지도하는 것이 좋다. 특히 자신의 신체개념을 먼저 인식시킨 후 자신에게 직접 관련된 주제를 표현하게 한다. 사용재료는 너무 많은 것을 한꺼번에 경험시키는 것은 좋지 않다. 흡습력이 있는 종이나 거친 털이 있는 붓, 농도가 진한 물감 등 자유로운 매체가 좋다. 크레용과 찰흙, 색연필, 꼴라쥬 재료, 색종이 등도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이 시기는 색깔을 사용하는 것을 즐거워하므로 다양한 색깔을 사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추천자료
[발달심리학]피아제 아동발달과 이론비판 및 현대교육의 시사점
[아동복지]아동발달-보울비와 아인스워드의 애착이론
[아동발달]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 이론 비교(공통점 차이점 비교 및 시사점 한계점 ...
(아동복지)복지환경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하고 복지환경의 중요성에 대해여
[아동복지]복지환경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복지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아동복지학(복지환경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및 복지환경의 중요성)
현대적 아동관에 가장 부합된다고 생각하는 아동발달이론을 제시하고 그 근거를 자신의 보육...
빈곤문제로 인하여 아동발달과 빈곤아동 지원서비스 현황 및 정책대안(개선방안)에 대
가족생활교육, 아동문학, 아동발달
아동문학을 통한 아동발달
[아동기의지각과지각발달]지각발달의 개념과 특징
보육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보육경험이 영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자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