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신앙의 정의
-신앙을 중요시한 학자와 견해
-신앙만을 고집했을 때의 장단점
-이성의 정의
-이성을 중요시한 학자와 견해
-이성만을 고집했을 때의 장단점
3.결론
2.본론
-신앙의 정의
-신앙을 중요시한 학자와 견해
-신앙만을 고집했을 때의 장단점
-이성의 정의
-이성을 중요시한 학자와 견해
-이성만을 고집했을 때의 장단점
3.결론
본문내용
타락 이후에도 남아있다. 하지만 타락 이후 이성은 그 깊이를 잃고 왜곡된 채로 모호성을 지니게 되었다. 이러한 이성의 모호함과 왜곡됨으로 인하여서 우리의 신앙 없이는 진리 인식이 불가능하지만 신앙 이후에 하나님께 도달하는 것은 이성의 힘이다.
따라서 우리는 신앙과 이성, 어느 한 쪽만을 강조하여서는 안 되고 그럴 수도 없다. 신앙과 이성의 밀접한 관계를 이해하여서 신앙 속에 이성이 포함하여서 타락 이후 부패한 이성을 변화시키고 변화된 이성으로 인해 하나님께 나아가는 균형 있는 그리스도인이 되어야 할 것이다.
Ⅳ. 참고 문헌
양명수. 「어거스틴의 인식론」. 서울 : 한들 출판사. 1999.
한철하. 「고대기독교사상」.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8.
천영숙. 「우주의 신비」. 인천 : 보혜사. 2003.
안광복. 「철학, 역사를 만나다」. 서울 : 웅진지식하우스. 2005.
황성룡. 「신학서론」. 서울 : 한국장로교출판사. 2003
편집부. 「世界思想大全集 4.고백(아우구스티누스)」. 춘천 : 대양 출판사. 1978.
김영철. 「안셀무스」 파주 : 살림. 2006.
전성용. 「기독교신학개론」. 서울 :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94.
편집부. 「세계대백과사전11」. 서울 : 학원사. 1962.
편집부. 「세계대백과사전13」. 서울 : 학원사. 1962
James Collins. 「합리론」. 서울 : 백의. 1999.
Francis A. Schaeffer. 「기독교와 현대사상」. 서울 : 성광문화사. 1992.
Peter Eicher. 「신학의 길잡이」.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2.
따라서 우리는 신앙과 이성, 어느 한 쪽만을 강조하여서는 안 되고 그럴 수도 없다. 신앙과 이성의 밀접한 관계를 이해하여서 신앙 속에 이성이 포함하여서 타락 이후 부패한 이성을 변화시키고 변화된 이성으로 인해 하나님께 나아가는 균형 있는 그리스도인이 되어야 할 것이다.
Ⅳ. 참고 문헌
양명수. 「어거스틴의 인식론」. 서울 : 한들 출판사. 1999.
한철하. 「고대기독교사상」.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8.
천영숙. 「우주의 신비」. 인천 : 보혜사. 2003.
안광복. 「철학, 역사를 만나다」. 서울 : 웅진지식하우스. 2005.
황성룡. 「신학서론」. 서울 : 한국장로교출판사. 2003
편집부. 「世界思想大全集 4.고백(아우구스티누스)」. 춘천 : 대양 출판사. 1978.
김영철. 「안셀무스」 파주 : 살림. 2006.
전성용. 「기독교신학개론」. 서울 :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94.
편집부. 「세계대백과사전11」. 서울 : 학원사. 1962.
편집부. 「세계대백과사전13」. 서울 : 학원사. 1962
James Collins. 「합리론」. 서울 : 백의. 1999.
Francis A. Schaeffer. 「기독교와 현대사상」. 서울 : 성광문화사. 1992.
Peter Eicher. 「신학의 길잡이」.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