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척추란
Ⅱ. 척수신경
Ⅲ. 척수손상
Ⅸ. 척수 손상 환자의 간호
◀ 참고문헌 ▶
Ⅱ. 척수신경
Ⅲ. 척수손상
Ⅸ. 척수 손상 환자의 간호
◀ 참고문헌 ▶
본문내용
고통은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그렇다고 환자가 신경질을 자주 부린다면 환자 자신에게 돌아가는 고통만 가중된다. 그러므로, 환자 자신은 되도록 편안하고, 긍정적인 마음을 갖도록 노력 한다.
(11) 환자는 종교나 취미 등 작고 큰 일을 생각하고 실천해 보는 것이 고통을 덜 수 있다.
(12) 환자는 자신의 처지를 받아 들이고, 어렵겠지만 자기 생활에 충실하도록 도와준다.
(13) 환자의 억지와 잘못에 대해 부딪치기 전에 한발 물러서서 생각 할 시간과 여유를 주면, 환자도 자신의 잘못과 죄송한 마음을 갖게 된다.
(14) 환자도 그때 그때 잘못을 시인하는 사과에 인색하지 말아야 한다.
3. 신장, 배뇨, 방광 관리
(1) 신장이 하는 일
분해된 음식 찌꺼기의 혈액을 걸러 많은 양의 물을 끄집어 낸 다음 그 물을 다시 걸러서 좋은 것을 혈액속으로 되돌려 보내고 소변이 남아 두 개의 관을 통하여 방광으로 보내진다.
(2) 방광이 하는 일
신장에서 요관을 통해 소변이 모여 차게 되면 그 신호를 뇌에 보내게 되고 뇌는 방광이 소변을 밖으로 내보내도록 다시 신호를 보낸다. 그러나 척수를 다치게 되면 그 신호를 뇌로 전달할 수 없게 되어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3) 배뇨관리의 목적
방광의 기능을 유지 하고 요로계의 합병증을 예방하며, 사회생활에 지장없는 배뇨상태를 유지 하기 위함이다.
(4) 간염이 안되게 하려면
① 배뇨후 잔뇨량이 100cc미만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② 충분한 양의 수분을 마셔 신장과 방광을 바쁘게 하므로 염증이 생기지 않게 하여야 한다. 오렌지 쥬스, 자몽, 우유는 너무 많이 마시지 말고 의사지시나 처방된 약을 잘 지키고 복용한다.
③ 소변색이 맑고 밝은 노란색인지 확인하고 6개월 간격으로 방광, 신장 검사를 받는다.
(5) 감염의 증상
오한과 열이 나거나,소변이 탁하거나 찌꺼기가 있을 때,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거나, 색깔이 진하거나 나쁜 냄새가 날 때, 감염의 증상이 있으면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4. 배변관리
(1) 매일 같은 시간에 배변을 시도한다.(아침 식후 20-30분에 시도하는 것이 좋다)
(2) 배에 자극을 주어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시키며 하루 2000cc 이상의 수분을 섭취하며 식전 공복에 냉수 한 컵을 마신다.(찬물은 장의 연동운동을 자극하여 배변을 촉진하는 효과가있다.)
(3)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고, 규칙적인 식사와 적당량의 음식을 섭취한다.
★ 섬유질이 많은 식품 : 푸른잎 채소, 과일, 해초, 버섯, 콩, 고구마
★ 변비유발 음식 : 쵸콜릿, 감자, 치즈, 국수, 빵
5. 화상
(1) 수포를 터뜨리지 말고 그대로 둔다.
(2) 즉시 찬물에 담그거나 차가운 것을 20분 정도 그 부위에 댄다.
(3) 물로 깨긋이 씻고 화상 부위가 눌리지 않게 하고 의사에게 알린다.
(4) 화상 부위에 약이나 연고를 바르지 말고 소독된 마른거즈로 덮는다.
◀ 참고문헌 ▶
http://my.netian.com/~yaing/
인체해부학 /정담/ 노민희 외 2인/ P.385~407 제 7장 신경계
(11) 환자는 종교나 취미 등 작고 큰 일을 생각하고 실천해 보는 것이 고통을 덜 수 있다.
(12) 환자는 자신의 처지를 받아 들이고, 어렵겠지만 자기 생활에 충실하도록 도와준다.
(13) 환자의 억지와 잘못에 대해 부딪치기 전에 한발 물러서서 생각 할 시간과 여유를 주면, 환자도 자신의 잘못과 죄송한 마음을 갖게 된다.
(14) 환자도 그때 그때 잘못을 시인하는 사과에 인색하지 말아야 한다.
3. 신장, 배뇨, 방광 관리
(1) 신장이 하는 일
분해된 음식 찌꺼기의 혈액을 걸러 많은 양의 물을 끄집어 낸 다음 그 물을 다시 걸러서 좋은 것을 혈액속으로 되돌려 보내고 소변이 남아 두 개의 관을 통하여 방광으로 보내진다.
(2) 방광이 하는 일
신장에서 요관을 통해 소변이 모여 차게 되면 그 신호를 뇌에 보내게 되고 뇌는 방광이 소변을 밖으로 내보내도록 다시 신호를 보낸다. 그러나 척수를 다치게 되면 그 신호를 뇌로 전달할 수 없게 되어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3) 배뇨관리의 목적
방광의 기능을 유지 하고 요로계의 합병증을 예방하며, 사회생활에 지장없는 배뇨상태를 유지 하기 위함이다.
(4) 간염이 안되게 하려면
① 배뇨후 잔뇨량이 100cc미만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② 충분한 양의 수분을 마셔 신장과 방광을 바쁘게 하므로 염증이 생기지 않게 하여야 한다. 오렌지 쥬스, 자몽, 우유는 너무 많이 마시지 말고 의사지시나 처방된 약을 잘 지키고 복용한다.
③ 소변색이 맑고 밝은 노란색인지 확인하고 6개월 간격으로 방광, 신장 검사를 받는다.
(5) 감염의 증상
오한과 열이 나거나,소변이 탁하거나 찌꺼기가 있을 때,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거나, 색깔이 진하거나 나쁜 냄새가 날 때, 감염의 증상이 있으면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4. 배변관리
(1) 매일 같은 시간에 배변을 시도한다.(아침 식후 20-30분에 시도하는 것이 좋다)
(2) 배에 자극을 주어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시키며 하루 2000cc 이상의 수분을 섭취하며 식전 공복에 냉수 한 컵을 마신다.(찬물은 장의 연동운동을 자극하여 배변을 촉진하는 효과가있다.)
(3)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고, 규칙적인 식사와 적당량의 음식을 섭취한다.
★ 섬유질이 많은 식품 : 푸른잎 채소, 과일, 해초, 버섯, 콩, 고구마
★ 변비유발 음식 : 쵸콜릿, 감자, 치즈, 국수, 빵
5. 화상
(1) 수포를 터뜨리지 말고 그대로 둔다.
(2) 즉시 찬물에 담그거나 차가운 것을 20분 정도 그 부위에 댄다.
(3) 물로 깨긋이 씻고 화상 부위가 눌리지 않게 하고 의사에게 알린다.
(4) 화상 부위에 약이나 연고를 바르지 말고 소독된 마른거즈로 덮는다.
◀ 참고문헌 ▶
http://my.netian.com/~yaing/
인체해부학 /정담/ 노민희 외 2인/ P.385~407 제 7장 신경계
추천자료
중환자실보고서( 1. aspiration pneumonia 2. uncontrolled diabetes mellituse ( type Ⅱ)
심장수술 환자간호
경막하출혈환자간호
만성정신분열병 환자가 지각하는 가족기능 및 가족의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암 환자 간호
마취전 환자의 평가 방법 및 처치방법
무의식 환자 간호
신경외과 중환자실
중환자실 영양관리 정리 요약
중환자실 case study - SAH(지주막하 출혈) A+자료입니다.
중환자실 ICU LOC, GCS, RSS 사정 문헌고찰
간이식환자간호
화상환자 간호
치매환자를 위한 작업치료, 운동치료 및 기타치료에 관한 프로그램과 효과에 대해 서술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