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본서를 선택한 이유와 읽기 전에 가졌던 기대감(예상)에 대해서 설명하라.
2.본서에서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이며 읽고 나서 본인의 느낌(또는 새로이 가지게된 생각)을 설명하라.
3.본 서를 통해서 저자의 관점과 자신의 관점과의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해서 설명하라. (차이점 또는 공통점만 존재한다면 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4.본 서를 국방부에서 불온서적으로 지정한 이유를 찾아 설명하라.
2.본서에서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이며 읽고 나서 본인의 느낌(또는 새로이 가지게된 생각)을 설명하라.
3.본 서를 통해서 저자의 관점과 자신의 관점과의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해서 설명하라. (차이점 또는 공통점만 존재한다면 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4.본 서를 국방부에서 불온서적으로 지정한 이유를 찾아 설명하라.
본문내용
사람이 살고 있고 동네
처럼 보이는 무언가에 뚫어지게 쳐다보았다. 통일 전망대에서 북한을 느끼는게 아니라 이제는
실제 북한을 알고 싶고 이 책을 통해서 북한과 통일에 대해 생각하게 되어 좋은 기회를 가진
느낌이 든다. 통일에 대한 생각을 여기에 끝낼것이 아니라 시사 쪽으로 더 관심을 가져서 좀더
많은 통일 상식을 가져야겠다고 다짐을 했다.
4. 본 서를 국방부에서 불온서적으로 지정한 이유를 찾아 설명하라.
아마 내 생각에는 국가 보안법 때문인 것 같다. 물론 북한에 대해서 쓴 책들도 많다고 생각이
든다. 허나 내가 보기엔 이 책에서 마지막에 군사 분야를 중심으로 분단 체제에 대해서 말한
것이 문제가 되지 않았나 싶다. 그 부분은 지금도 조금 민감한 부분이다. 공동 JSA에서 남한
병사와 북한 병사가 서로 마주 보고 있는 상황만 봐도 영화를 통해서 보긴 했지만 긴장감이
있어 보인다. 그만큼 건들기가 민감한 부분이라는 생각이 든다. 현제 우리나라는 북한이 넘어
올지 모르는 상황에 병사를 대기 시키고 지키고 있다. 아마 이 책에서 군사 분야를 중심으로
하는 내용을 수정하거나 좀더 완화 시키거나 삭제를 한다면 아마 국가에서 불온 서적으로 지
정하진 않았을 것 같다. 이 책은 군대에서는 보면 안되는 책인 이유 중 하나가 우리가 지켜야
하는 남한이 북한에 대한 생각으로 군인들이 본다면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는 국가의
생각이 들어간 것 같다. 나 또한 군사 분야를 나오는 부분은 지루했지만 이 책에서 특별히 재
미 있다고는 생각이 안들었다. 어찌되었건 내가 생각하기엔 그 부분이 지정 이유인 것 같다.
처럼 보이는 무언가에 뚫어지게 쳐다보았다. 통일 전망대에서 북한을 느끼는게 아니라 이제는
실제 북한을 알고 싶고 이 책을 통해서 북한과 통일에 대해 생각하게 되어 좋은 기회를 가진
느낌이 든다. 통일에 대한 생각을 여기에 끝낼것이 아니라 시사 쪽으로 더 관심을 가져서 좀더
많은 통일 상식을 가져야겠다고 다짐을 했다.
4. 본 서를 국방부에서 불온서적으로 지정한 이유를 찾아 설명하라.
아마 내 생각에는 국가 보안법 때문인 것 같다. 물론 북한에 대해서 쓴 책들도 많다고 생각이
든다. 허나 내가 보기엔 이 책에서 마지막에 군사 분야를 중심으로 분단 체제에 대해서 말한
것이 문제가 되지 않았나 싶다. 그 부분은 지금도 조금 민감한 부분이다. 공동 JSA에서 남한
병사와 북한 병사가 서로 마주 보고 있는 상황만 봐도 영화를 통해서 보긴 했지만 긴장감이
있어 보인다. 그만큼 건들기가 민감한 부분이라는 생각이 든다. 현제 우리나라는 북한이 넘어
올지 모르는 상황에 병사를 대기 시키고 지키고 있다. 아마 이 책에서 군사 분야를 중심으로
하는 내용을 수정하거나 좀더 완화 시키거나 삭제를 한다면 아마 국가에서 불온 서적으로 지
정하진 않았을 것 같다. 이 책은 군대에서는 보면 안되는 책인 이유 중 하나가 우리가 지켜야
하는 남한이 북한에 대한 생각으로 군인들이 본다면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는 국가의
생각이 들어간 것 같다. 나 또한 군사 분야를 나오는 부분은 지루했지만 이 책에서 특별히 재
미 있다고는 생각이 안들었다. 어찌되었건 내가 생각하기엔 그 부분이 지정 이유인 것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