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의 생물학[ocu]남성,여성호르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의 생물학[ocu]남성,여성호르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성 호르몬

2. 남성과 여성의 호르몬 관계

3. 내분비계 구조와 기능
- 뇌하수체
- 고환
- 난소
- 부신

4. 남성호르몬
- 남성 호르몬의 대사 작용
- 테스토스테론
- 인히빈
- 호르몬 작용

5.여성호르몬
- 여성 호르몬계
- GTH
- 에스트로겐
- 프로게스테론
- 인히빈
- 호르몬 작용

본문내용

이 과정은 뇌하수체의 생식선 자극호르몬인 여포자극호르몬(여포자극호르몬)의 증가에 의하여 시작되는데, 여포자극호르몬이 난소에 작용하여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이 생성되고, 에스트로겐은 여성의 2차 성징의 발달을 촉진한다.
난은 일정 성숙단계가 되면 난소로부터 난세포가 배출되는데 난자가 난소를 이탈하는 이 과정을 배란이라 하고 이는 빛, 온도, 외부요인과 호르몬 등 체내요인이 서로 작용하여 조절된다. 또한, 사춘기에 이르면 난소의 호르몬 분비량이 28일을 주기로 변화하며 자궁내막구조가 변화하게 된다. 이처럼 매주기마다 혈액과 자궁내막구조가 외부로 분비되는 현상을 ‘월경'이라 한다.
황체호르몬 프로게스트론은 코너 알렌이 돼지 황체에서 처음 분리한 것으로 난소에서 분비되며 월경 후반기 동안에는 황체에서 분비된다. 이것은 배란 직전부터 출산 때까지 다량으로 분비되며 임신 시에 농도가 증가하여 자궁수축력을 억제한다. 또한 발열작용을 하여 월경주기 중간쯤 체온을 상승시키고 에스트로겐 작용을 억제하며 피부에 색소를 침착시킨다. 그리고 결합조직을 연화시키므로 여성의 피부는 부드러우나 황체호르몬이 없는 남성은 여성에 비해 부드럽지 못한 것이다.
또한 에스트로겐과 복합하여 피임제로 사용되는데 전 세계 5천5백만 여성이 경구피임제로 이용하고 있다. 시중 약국에 경구피임제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트론 복합제가 있는데 이것은 99~100 % 효과가 있다. 또한 항에스트로겐으로서 배란을 촉진하는 약인 클로미펜 싸이트레이트는 월경주기 5일째부터 초기 50mg을 5일간 투여하고 배란이나 수정이 안 된 때에는 100-150mg까지 증량하여 투여한다.
프로게스테론은 자궁에 작용하여 수정란을 받아들이도록 자궁내막에 영양물질의 공급을 담당한다. 그리고 유선에 작용하여 유즙분비를 시작하게 하며, 자궁 수축을 억제하여 착상된 수정란이나 태아의 배출 즉, 유산 방지작용을 한다. 또한 에스트로겐과 함께 사용하면 자궁 내막암이나 유방암 발현의 위험성이 감소된다.
5) 인히빈 (inhibin)
항체는 인히빈을 분비하는데 이는 뇌하수체 전엽에서 여포자극호르몬의 분비와 시상하부에서의 여포자극호르몬 유리호르몬의 분비를 억제시키는 작용을 한다.
6) 호르몬 작용
○ 임신과정에서의 여성호르몬
임신 유지에 필요한 자궁구조와 기능의 변화는 분비량이 증가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작용으로써 이루어진다. 처음 2개월 동안 이들 호르몬은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황체로부터 공급되어진다. 임신 후 황체가 쇠퇴하지 않고 10~12주간 기능을 발휘하는 것은 태반에서 분비된 hCG가 황체를 계속자극하기 때문이다. 착상 직후 포배의 영양막 세포는 모체 혈액으로 hCG를 분비하기 시작하여 황체를 유지시킨다. 임신 초기에 hCG 분비는 급증하여 10주경에 최고도에 달하고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3개월 말부터는 낮은 상태로 임신기간 동안 일정히 유지된다. 태반에서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는데 태반이 발달함에 따라 그 분비량이 증가하여 황체가 기능을 잃는 10~12주경 임신 유지에 필요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충분히 공급할 정도가 된다. 따라서 임신 후반 6개월 동안에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공급은 거의 전적으로 태반에 의존한다. 태반에서는 hCG,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이외에도 태반성 락토젠(human placental lactogen, hPL; human chorionic somatomammotropin, hCS)이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은 태아측에는 작용하지 않고 모체측에서만 유즙분비 촉진작용과 성장촉진 작용을 가지고 있다.
○ 분만에서의 호르몬작용
분만은 대략 수정 후 38주에 일어난다. 임신기간 동안 자궁경부는 태아의 보호를 위해 굳게 닫혀 있으나 분만 시기가 가까워지면 relaxin이라는 호르몬의 작용으로 자궁경부를 비롯한 산도(birth canal)가 부드러워진다. 출산 시점이 되면 자궁경부가 열리면서 규칙적인 자궁의 수축이 발생하고 그 빈도가 강도와 증가하여 분만이 시작된다. 분만을 일으키는 요인은 자궁 내에 있던 prostaglandin F2(PGF2)의 작용이다. PGF2는 임신기간 동안에 유지되던 프로게스테론의 자궁근 수축 억제작용을 제거시켜 자궁근의 수축을 시작하게 한다. 한편 자궁근 수축이 개시되어 태아의 머리가 자궁경부를 압박하면, 신경내분비 반사에 의하여 신경하수체로부터 oxytocin이 분비되어 분만 후기의 자궁수축을 주도하게 된다. 태아분만 후 수분 이내 제대혈관과 태반혈관들이 완전수축을 이루면서 태반으로의 혈류의 공급이 끊기고 태반 전체가 자궁벽으로부터 분리된다.
○ 호르몬에 작용에 따른 피임억제
황체호르몬은 배란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이것을 약으로 사용하면 배란이 억제되어 피임효과가 있다. 프로게스테론은 경구적으로 투여하면 효력이 없으나, 프로게스테론과 비슷한 작용을 나타내는 화학적 합성물질에는 경구투여가 가능한 것이 있어, 경구용 피임제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난소에서는 제3의 호르몬으로서 릴랙신이 분비된다는 학설도 있다. 이 호르몬은 골반과 치골결합을 느슨하게 한다. 또 자궁근육을 이완시키는 작용이 있으므로 황체호르몬과 마찬가지로 임신 유지와 분만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충분한 작용은 밝혀지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50세 전후가 되면 여성의 난소 기능이 소실되면서 생리가 없어지고 폐경이 되며 이로 인해서 난소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이라는 여성호르몬의 결핍이 일어나 장기적으로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최근,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폐경기여성이 상대적으로 늘어나고 또한 난소 호르몬의 결핍 상태에서 오랜 세월을 지내야하기 때문에 폐경기 여성들의 건강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호르몬을 이용한 호르몬 대체 요법이 이런 폐경기 여성들에게 결핍된 여성호르몬을 복용하게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시키는데 한 몫을 하고 있다. 이것도 호르몬 연구 성과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여성호르몬의 그 기능을 좀 더 심층 연구함으로써 여성의 건강유지와 여성의 삶의 질이 한층 더 나아질 것이다.
- 끝 -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1.15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48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