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성장 정책의 MSD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녹색성장 정책의 MSD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현재 에너지문제점
2.녹색정책이란?
3.Logic Tree
4.5Why 분석
5.FMEA 분석
6.결론

본문내용

#. 대한민국은 세계 10대 에너지 소비국이다.
세계13위의 경제대국인 대한민국은 전세계 에너지 소비량의 약 2.1%를 차지하는 10대 에너지 소비국이다.1960년대 이후로 급격한 개발로인한 에너지 소비는 현재 1인당 에너지 소비량이 최근 20년간 3배가 늘어날 정도의 에너지소비국가가 되었다
#. 인류는 에너지 고갈의 위기를 맞고 있다.
무한의 존재로 여겨지던 에너지 자원이 경고음을 보내고 있다. 현대 인류 문명은 지난 200년간 석유, 석탄,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 연료에서 번영의 에너지를 얻었다. 그러나 이제 인류는 지구 온난화에 의한 환경재앙과 자원의 고갈이라는 두 가지 재앙에 진면하고 있다.
#. 에너지 자원의 97%를 해외에서 수입한다.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고있다. 현재와 같은 고유가상황이 지속되면 지속되는 국민경제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은 에너지 안보, 효율, 환경 등 국가에너지 정책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마련한 최상위 국가에너지 전략이다.
2008년 8월에 확정된 국가 에너지기본계획은 새로운 국정비전인 ‘저탄소 녹색성장’을 에너지 부문에서 뒷받침하며, 석유 이후의 시대를 고려한 장기 에너지 비전을 담고있다. 계획기간은 2008년부터 2030년까지다.
#Logic Tree정리
#5Why 정리
#FMEA 정리
#결론
녹색정책 문제점을 FMEA로 중요성을 따져본 결과 크게 두가지를 들 수 있겠다.
첫번째, 원자력발전소를 증대할 경우 폐연료 처리 문제와 신설시 주민들과의 마찰이다. 우리나라는 한미 비핵화 협정에 의해 폐연료를 재처리하지 못하고 보관하게 되는데 2016년이면 그 시설이 가득차게 된다. 폐연료에는 플로토늄과 일정량은 우라늄이 존재하는데 재처리를 하게되면 우라늄을 통해 다시 발전기를 돌릴수 있어 우라늄 수입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신설 전 주민들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원자력의 안정성과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설치지역에 많은 혜택을 제공하여 주민들과의 협의로 빠른시일내에 재처리장확보를 해야할 것이다.
두번째, 신재생에너지개발자금 대비 효율성의 문제다. 우리나라는 지리적 요건으로 인하여 신재생에너지의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 또한 기술과 인력의 부재로 개발을 하기에는 많은 자금이 시간이 필요하다. 선진국들은 현재 신재생에너지 개발뿐만 아니라 정부의 주도하에 거대한 에너지회사를 설립해 화석연료의 거점지역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우리 정부도 신재생에너지의 개발만 추구할 것이 아니라 어느 것이 더 경제적이고 이익이 되는지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이 녹색정책은 다가올 미래에 대한 꼭 필요한 정책이라고 생각된다. 앞으로 이런 문제점들을 하나하나 해결해 나가면서 2030년까지 계획되로 실행되어야만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1.17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5751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