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제 사회과 수업 수행평가 항목 중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태도’가 들어가 있음에 놀랐다. 많든 적든 이른바‘ 태도 점수’라고 하여 평소 수업에 임하는 태도, 준비물 점검 등이 평가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태도 점수가 수행평가 항목 중 중요한 구성요소로 들어가 있는 것은 수행평가의 취지를 제대로 살린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실제 태도 점수는 학생들 간의 점수,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지필평가와 수행평가가 합산된 총점의 격차를 줄이는 데 역설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이처럼 개인의 성취 점수 차이를 줄인다는 면에서 수행평가가 교육적 평등, 특히 결과적인 면에서의 평등에 기여한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다른 한편으로 평가의 타당성이나 변별력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