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 3
Ⅱ. 자료 및 방법 ··············· 3
1. 입원기간
2. 병 동
3. 대 상
4. 연구방법
Ⅲ. 간 호 과 정 ··············· 3
1. 일반적 사항
2. Nursing note
3. 자료분석
4. 간호진단
5. 간호계획, 수행, 평가
Ⅴ. 결론 및 제언 ············· 14
※ 참 고 문 헌 ················ 14
Ⅱ. 자료 및 방법 ··············· 3
1. 입원기간
2. 병 동
3. 대 상
4. 연구방법
Ⅲ. 간 호 과 정 ··············· 3
1. 일반적 사항
2. Nursing note
3. 자료분석
4. 간호진단
5. 간호계획, 수행, 평가
Ⅴ. 결론 및 제언 ············· 14
※ 참 고 문 헌 ················ 14
본문내용
2. Foley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영양부족
* 주관적
ㆍ“속이 안 좋아요.”
ㆍ“물먹어도 이상해요.”
ㆍ“아무것도 못 먹겠어요..”
* 객관적
ㆍ11월 26일 속이 안 좋다고 말 함.
ㆍ물을 드신 후 귤을 드셨는데 구 토를 했다고 함.
ㆍ구토를 한 후 아무것도 드시지 못함.
오심, 구토
3. 오심, 구토와 관련된 영양부족
4. 간호진단
#1. PCN insert와 관련된 통증
#2. Foley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3. 오심, 구토와 관련된 영양부족
5. 간호계획, 수행, 평가
* 우선순위 *
#1 → #2 → #3
#1. PCN insert와 관련된 통증
사 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ㆍ“아.. 아.. 아..”
ㆍ“너무 아파..”
ㆍ“진통제 좀 놔줘.”
ㆍ11월 24일 OP - PCN
ㆍ인상을 찌푸리고 RUQ의 PCN site insert에 통증을 호소 한다.
진 단
#1. PCN insert와 관련된 통증
목 표
▷ 장기 목표 : 통증의 강도가 감소 한다.
▷ 단기 목표 : PCN insert 부위의 통증이 사라지고 대상자가 안정을 취한다.
계 획
및
수 행
계 획
수 행
①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하는 부위와 양상을 사정한다.
ㆍ통증호소 부위는 RUQ의 PCN 삽입 부위였고, 양상은 5분에 2회 정도로, 쿡쿡찌르는 듯한 통증이라고 호소 하 였다.
② 통증의 악화요인과 완화요인을 사 정한다.
ㆍ통증은 움직일 경우 악화된다고 하였 고 움직임이 없을 경우 약간 완화된 다고 하였다.
③ 대상자의 반응들을 기록한다.
ㆍ대상자는 통증이 있을시 PCN의 부위 를 손으로 가리켰고 간호사에게 알리 라고 했다.
④ PCN 주머니에 배액이 되는 분비 물의 양과 색을 관찰한다.
ㆍ분비물의 양은 380ml였고 색은 선홍 색이었다.
⑤ BR(bed rest)하게 한다.
ㆍ대상자를 몸을 일으키거나 몸을 함부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앙와위를 취하게 하였다.
평 가
ㆍ대상자의 통증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지만 오전보다 통증의 강도가 감소 했다고 말하였고 얼굴도 더욱 밝아졌다.
ㆍPCN insert 부위의 통증이 줄어들고 대상자가 안정을 취하였다.
#2. Foley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사 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ㆍ“소변줄이 불편해요.”
ㆍ“가려운 것 같기도 하고..”
ㆍ“소독해주면 괜찮은건가요??”
ㆍ11월 24일 OP - Foley keeping
ㆍ대상자가 Foley에 대해 상당히 불편 해함.
ㆍ반창고가 붙은 부분에 발적현상보임.
진 단
#2. Foley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목 표
▷ 장기 목표 : 대상자에게 감염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 단기 목표 : 반창고 부분의 발적 현상이 사라진다.
계 획
및
수 행
계 획
수 행
① Foley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ㆍUrine을 규칙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Foley를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② 규칙적으로 Dressing을 수행한다.
ㆍ하루에 두 번 Dressing을 했다.
③ 발열증상이 있는지 사정한다.
ㆍ대상자의 Fever는 11월 25일 36.9℃ 였고 그 후 더 이상 Fever가 높아지 지 않았다.
평 가
ㆍFoley의 필요성을 설명한 후 적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ㆍDressing 후에 간지럽거나 아픈 증상이 없다고 하셨다.
#3. 오심, 구토와 관련된 영양부족
사 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ㆍ“속이 안 좋아요.”
ㆍ“물먹어도 이상해요.”
ㆍ“아무것도 못 먹겠어요..”
ㆍ11월 26일 속이 안 좋다고 말함.
ㆍ물을 드신 후 귤을 드셨는데 2회 구 토를 했다고 함.
ㆍ구토를 한 후 아무것도 드시지 못함.
진 단
#3. 오심, 구토와 관련된 영양부족
목 표
▷ 장기 목표 : 대상자가 정상적으로 식사를 한다.
▷ 단기 목표 : 대상자의 오심, 구토 증상이 사라진다.
계 획
및
수 행
계 획
수 행
① 대상자의 V/S을 측정 한다.
ㆍV/S을 측정하였다.
14:00 - 110/70 36.7 78 20
17:00 - 120/80 36.5 76 20
20:00 - 120/70 36.5 76 20
ㆍ대상자의 V/S은 정상적이었다.
② 소량씩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ㆍ물부터 조금씩 마시도록 했고 서서히 유동식에서 고형식이로 변경했다.
③ 음식물 섭취 시 앉아서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ㆍ반좌위나 좌위 상태에서 음식물을 섭 취하도록 했다.
④ 수분섭취를 하도록 교육한다.
ㆍ오심 증상이 계속될 경우 수분 섭취 를 하도록 했다.
평 가
ㆍ대상자의 오심, 구토 증상이 사라졌다.
ㆍ수분섭취와 유동식을 소량씩 섭취하다가 정상식이로 변경했다.
Ⅴ. 결론 및 제언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비뇨기계 질환에 대해 많이 알게 되었고 실습을 하면서 많은 것을 느꼈다. 현대인들에게 비뇨기계 질환이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특히 신장에 질병이 생기는 경우 우리 몸의 노폐물 배출이 용이하지 않아 많은 합병증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선천적인 기형 등으로 수술을 받는 대상자들도 상당수 있어서 비뇨기계도 다른 인체의 기관들처럼 선천적후천적으로 많은 질병이 발생 할 수 있다는 것에 병이라는 것이 우리 몸의 어느 한곳 가리지 않고 발생한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되었다.
Renal stone이라는 질환을 연구하면서 한 번도 보지 못했던 검사들도 접할 수 있었고 새로운 질환에 대해 공부한다는 것이 기뻤다. 대상자분은 OP후 통증으로 힘들어 하셨지만 점차 회복을 하시고 일주일만에 퇴원하셨다. 대상자는 남은 통증이 조금 있었지만 어느 정도 활동을 하시게 되자 퇴원을 결정하셨다. 면담을 했을 당시에는 OP후 통증이 심하셔서 조금 예민하셨지만 퇴원 당시 대상자분은 환한 미소로 감사하다는 말씀을 해주셨다.
대상자 한분 한분께 필요한 간호를 조금이나마 해드리면서 항상 보람을 느끼고 회복해 가시는 모습에 기쁨을 느꼈다. 앞으로도 많은 대상자 분들께 한결같은 마음으로 좋은 간호를 제공해 드리고 싶다.
※ 참 고 문 헌
성인간호학IV/ 서문자 외/ 수문사/ 2004
개정판 진단적 검사와 간호/ 송미순 외/ 현문사/ 2002
성인간호학Ⅱ/ 김태진 외/ 정담미디어/ 2004
진담검사 가이드북/ 김태진 외/ 정담미디어/ 2004
http;//www.druginfo.co.kr 드러그인포
영양부족
* 주관적
ㆍ“속이 안 좋아요.”
ㆍ“물먹어도 이상해요.”
ㆍ“아무것도 못 먹겠어요..”
* 객관적
ㆍ11월 26일 속이 안 좋다고 말 함.
ㆍ물을 드신 후 귤을 드셨는데 구 토를 했다고 함.
ㆍ구토를 한 후 아무것도 드시지 못함.
오심, 구토
3. 오심, 구토와 관련된 영양부족
4. 간호진단
#1. PCN insert와 관련된 통증
#2. Foley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3. 오심, 구토와 관련된 영양부족
5. 간호계획, 수행, 평가
* 우선순위 *
#1 → #2 → #3
#1. PCN insert와 관련된 통증
사 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ㆍ“아.. 아.. 아..”
ㆍ“너무 아파..”
ㆍ“진통제 좀 놔줘.”
ㆍ11월 24일 OP - PCN
ㆍ인상을 찌푸리고 RUQ의 PCN site insert에 통증을 호소 한다.
진 단
#1. PCN insert와 관련된 통증
목 표
▷ 장기 목표 : 통증의 강도가 감소 한다.
▷ 단기 목표 : PCN insert 부위의 통증이 사라지고 대상자가 안정을 취한다.
계 획
및
수 행
계 획
수 행
①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하는 부위와 양상을 사정한다.
ㆍ통증호소 부위는 RUQ의 PCN 삽입 부위였고, 양상은 5분에 2회 정도로, 쿡쿡찌르는 듯한 통증이라고 호소 하 였다.
② 통증의 악화요인과 완화요인을 사 정한다.
ㆍ통증은 움직일 경우 악화된다고 하였 고 움직임이 없을 경우 약간 완화된 다고 하였다.
③ 대상자의 반응들을 기록한다.
ㆍ대상자는 통증이 있을시 PCN의 부위 를 손으로 가리켰고 간호사에게 알리 라고 했다.
④ PCN 주머니에 배액이 되는 분비 물의 양과 색을 관찰한다.
ㆍ분비물의 양은 380ml였고 색은 선홍 색이었다.
⑤ BR(bed rest)하게 한다.
ㆍ대상자를 몸을 일으키거나 몸을 함부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앙와위를 취하게 하였다.
평 가
ㆍ대상자의 통증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지만 오전보다 통증의 강도가 감소 했다고 말하였고 얼굴도 더욱 밝아졌다.
ㆍPCN insert 부위의 통증이 줄어들고 대상자가 안정을 취하였다.
#2. Foley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사 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ㆍ“소변줄이 불편해요.”
ㆍ“가려운 것 같기도 하고..”
ㆍ“소독해주면 괜찮은건가요??”
ㆍ11월 24일 OP - Foley keeping
ㆍ대상자가 Foley에 대해 상당히 불편 해함.
ㆍ반창고가 붙은 부분에 발적현상보임.
진 단
#2. Foley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목 표
▷ 장기 목표 : 대상자에게 감염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 단기 목표 : 반창고 부분의 발적 현상이 사라진다.
계 획
및
수 행
계 획
수 행
① Foley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ㆍUrine을 규칙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Foley를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② 규칙적으로 Dressing을 수행한다.
ㆍ하루에 두 번 Dressing을 했다.
③ 발열증상이 있는지 사정한다.
ㆍ대상자의 Fever는 11월 25일 36.9℃ 였고 그 후 더 이상 Fever가 높아지 지 않았다.
평 가
ㆍFoley의 필요성을 설명한 후 적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ㆍDressing 후에 간지럽거나 아픈 증상이 없다고 하셨다.
#3. 오심, 구토와 관련된 영양부족
사 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ㆍ“속이 안 좋아요.”
ㆍ“물먹어도 이상해요.”
ㆍ“아무것도 못 먹겠어요..”
ㆍ11월 26일 속이 안 좋다고 말함.
ㆍ물을 드신 후 귤을 드셨는데 2회 구 토를 했다고 함.
ㆍ구토를 한 후 아무것도 드시지 못함.
진 단
#3. 오심, 구토와 관련된 영양부족
목 표
▷ 장기 목표 : 대상자가 정상적으로 식사를 한다.
▷ 단기 목표 : 대상자의 오심, 구토 증상이 사라진다.
계 획
및
수 행
계 획
수 행
① 대상자의 V/S을 측정 한다.
ㆍV/S을 측정하였다.
14:00 - 110/70 36.7 78 20
17:00 - 120/80 36.5 76 20
20:00 - 120/70 36.5 76 20
ㆍ대상자의 V/S은 정상적이었다.
② 소량씩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ㆍ물부터 조금씩 마시도록 했고 서서히 유동식에서 고형식이로 변경했다.
③ 음식물 섭취 시 앉아서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ㆍ반좌위나 좌위 상태에서 음식물을 섭 취하도록 했다.
④ 수분섭취를 하도록 교육한다.
ㆍ오심 증상이 계속될 경우 수분 섭취 를 하도록 했다.
평 가
ㆍ대상자의 오심, 구토 증상이 사라졌다.
ㆍ수분섭취와 유동식을 소량씩 섭취하다가 정상식이로 변경했다.
Ⅴ. 결론 및 제언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비뇨기계 질환에 대해 많이 알게 되었고 실습을 하면서 많은 것을 느꼈다. 현대인들에게 비뇨기계 질환이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특히 신장에 질병이 생기는 경우 우리 몸의 노폐물 배출이 용이하지 않아 많은 합병증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선천적인 기형 등으로 수술을 받는 대상자들도 상당수 있어서 비뇨기계도 다른 인체의 기관들처럼 선천적후천적으로 많은 질병이 발생 할 수 있다는 것에 병이라는 것이 우리 몸의 어느 한곳 가리지 않고 발생한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되었다.
Renal stone이라는 질환을 연구하면서 한 번도 보지 못했던 검사들도 접할 수 있었고 새로운 질환에 대해 공부한다는 것이 기뻤다. 대상자분은 OP후 통증으로 힘들어 하셨지만 점차 회복을 하시고 일주일만에 퇴원하셨다. 대상자는 남은 통증이 조금 있었지만 어느 정도 활동을 하시게 되자 퇴원을 결정하셨다. 면담을 했을 당시에는 OP후 통증이 심하셔서 조금 예민하셨지만 퇴원 당시 대상자분은 환한 미소로 감사하다는 말씀을 해주셨다.
대상자 한분 한분께 필요한 간호를 조금이나마 해드리면서 항상 보람을 느끼고 회복해 가시는 모습에 기쁨을 느꼈다. 앞으로도 많은 대상자 분들께 한결같은 마음으로 좋은 간호를 제공해 드리고 싶다.
※ 참 고 문 헌
성인간호학IV/ 서문자 외/ 수문사/ 2004
개정판 진단적 검사와 간호/ 송미순 외/ 현문사/ 2002
성인간호학Ⅱ/ 김태진 외/ 정담미디어/ 2004
진담검사 가이드북/ 김태진 외/ 정담미디어/ 2004
http;//www.druginfo.co.kr 드러그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