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전을 위한 신기술 개발 동향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형 2단 Cyclone 용융소각로를 이용하여 건조 하수슬러지를 회용융 온도 이상에서 슬래그로 배출함으로써 분진발생 감소와 중금속 용출을 억제하며, 건조기에서 발생한 악취와 용융소각로에서 발생한 미연소가스를 2차 연소로에서 연소시켜 유해가스의 배출을 저감하는 기술
※공정구성 : 하수슬러지→건조기→분쇄기→건조슬러지 저장호퍼→용용소각로→2차 연소로→ 폐열보일러→공기예열기→싸이클론→건식반응탑→백필터→I.D.F→연돌
신기술의 범위
일반적인 Cyclone 연소방식을 개량한 동축형 2단 Cyclone 용융소각로를 이용하여 건조 하수슬러지를 처리할 수 있는 기술로서 하수 슬러지 자체 열량과 연소용 공기 및 보조연료를 사용하여 건조 하수슬러지를 처리하는 기술
하이브리드 포플러 및 토착 자생균주를 이용한 화약류(TNT계) 오염토양 처리기술
기술의 개요
본 기술은 TNT계 화약류 오염토양을 처리하기 위하여 국내 토착 자생균주를 분리·동정 확보하고 자생력이 강한 국내 식물종을 선별하여, 고효율 미생물만을 이용한 처리와 식물종 근권에 미생물을 접종함으로써 미생물과 포플러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처리효율을 향상시킨 기술
신기술의 범위
하이브리드 포플러 및 분리한 토착 자생균주를 동시에 이용한 화약류(TNT계) 제거 시스템
하수관거 이음부에서 퓨전소켓을 이용한
심레스관 융착 접합기술
기술의 개요
본 기술은 기존 하수관거의 누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심레스관과 새들분기관, 오수받이 및 맨홀 이음부를 퓨전소켓을 이용해 융착 접합하여 하수관거의 내구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킨 기술
신기술의 범위
하수관거에서 권선형 퓨전소켓을 이용한 PE심레스관, 오수받이, 가지관, 맨홀 등의 이음부 융착 접합기술 - 관 경 : D150mm~D300mm
섬유상활성탄을 이용한 모듈구조의 유기용매 농축장치 및 촉매연소장치를 결합하여 유기용매를 저감하는 기술
기술의 개요
흡탈착 성능이 개선된 섬유상 활성탄을 이용한 표준화된 모듈구조의 농축장치로 흡착한 후 150℃이상의 고온열풍으로 흡착된 유기용매를 탈착하여 흡착제를 재생시키고, 농축된 탈착가스는 촉매연소장치로 산화시켜 처리하는기술
※ 공정구성 :
VOC 배출원 → 전처리시설 → VOC 흡착장치 → 흡착송풍기 → 굴뚝
촉매연소장치 → 탈착송풍기
신기술의 범위
섬유상 활성탄을 이용하여 유기용매 가스의 흡착 및 탈착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규모를 축소시키며, 표준 모듈화하여 장치의 설계, 제작 및 설치 기간을 단축하고 장치의 확장, 축소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농축장치 제작기술
순환잔골재 생산공정에서 상향식 와류발생장치가 부착된 병력스크류 이송기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기술
기술의 개요
본 기술은 건설폐기물을 처리하는 순환잔골재 생산공정에서 회전식 분산기의 원심력과 2개의 상향식 와류 발생장치 등을 이용하여 잔골재에 함유된 이물질을 분산시키고 병렬식 이송 스크류 장치를 이용하는 이물질 제거기술
※ 공정 : 건설폐기물 → 조크러셔 → 스크린 → 부력선별장치 → 스크린 → 더블 조크러셔 → 콘크러셔 → 스크린 → 병렬식 이송 스크류 → 5mm 이하 잔골재
신기술의 범위
순환잔골재 생산공정에서 회전식 분산기, 2개의 상향식 와류 발생장치 등을 이용하여 이물질의 분산을 촉진하고 병렬식 이송 스크류 장치를 이용하는 이물질 제거기술
밀폐형 발효조에 팽연왕겨를 수분조절제로 사용한 돈분뇨폐수 무방류, 속성발효 및 퇴액비 생산 시스템
기술의 개요
- 본 기술은 돈분뇨를 열매체 보일러의 간접열로 건조시키고 밀폐형 발효조에서 팽연왕겨를 수분조절제로 사용하여 수분 및 C/N비를 조정한 후 복합미생물을 투입하여 속성발효 시키는 폐수의 무방류와 악취배출을 저감시켜 퇴비와 액체비료를 생산하는 기술
미생물투입

※공정구성 : 지하저장조(분뇨)→원통형건조기→발효조→숙성조→포장→고체비료

액비부숙조→액비저장탱크→포장→액체비료
신기술의 범위
-밀폐형 발효조에 팽연왕겨를 수분조절제로 사용한 돈분뇨폐수 무방류, 속성발효 및 퇴액비 생산 시스템
쑥과 토양개량제를 활용한 카드뮴 오염 표층 토양의 식물이용 정화기술
기술의 개요
본 기술은 쑥을 활용하여 카드뮴 오염 표층 토양을 정화하고 카드뮴 오염 표층 토양에 토양개량제를 적용하여 식물의 생장성과 카드뮴 축적능을 증진시키는 기술
신기술의 범위
쑥을 활용한 카드뮴 오염 표층 토양의 식물이용 정화기술
카드뮴 오염 표층 토양에 토양개량제를 적용하여 식물의 생장성과 카드뮴
축적능을 증진시키는 기술
균등 고팽창 구조의 보수기를 이용한 하수관로
비굴착 부분보수공법
기술의 개요
본 기술은 노후화된 하수관로를 부분적으로 보수보강하기위해 사용되는 공법으로, 균일팽창구조의 보수기에 섬유보강재를 감은 다음 보수지점으로 이동하여 가압팽창시켜 일정시간 거치 후 제거하는 하수관거의 비굴착 부분보수기술
신기술의 범위
균등 고팽창 구조의 보수기 적용으로 맨홀내부에서 별도의 조립 작업없이 대구경보수와 보수 폭 연장이 가능한 하수관로 비굴착 부분보수공법
-적용대상 : 흄관
-적용관경 : φ200~900mm
-보수폭 : 표준 400mm(최대 800mm)
고속싸이클론(YJ-CS) 및 미세용존공기부상기(MB-DAF)를 포함한
비상정수 처리기술
기술의 개요
본 기술은 고속싸이클론(YJ-CS)/응집침전장치/미세용존공기부상기(MB-DAF)/흡착조/소독공정이 package화된 시스템으로 비상급수 지역에서 단시간에 음용수를 생산하는 간이 및 비상정수 처리기술
신기술의 범위
고속싸이클론(YJ-CS)과 미세용존공기부상기(MB-DAF)를 포함한 물리ㆍ화학적 방법에 의해 수중의 부유입자와 유기물을 제거하여 현장에서 음용수를 생산하는 이동형(차량탑재형) 또는 고정형 비상정수 처리기술
위에서 언급한 몇 가지의 신기술 이외에도 셀 수없을 만큼의 환경보전을 위한 신기술들이 존재한다.
인간은 환경없이 살아 갈 수는 없다. 지금까지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환경파괴로 많은 자연재앙의 피해를 보았다. 지금부터라도 그 피해를 최소화하고 자연과 공존하며 살아가기 위해 친환경적 기술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에 따른 인간의 자연에 대한 인식변화도 환경보존의 큰 역할을 함을 알고 환경보전에 힘쓰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0.01.20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65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