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화재료의 종류 및 특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립상, 응축 처리되지 않은 분말상, 슬러리 상태로 분류한다.
분말상 - 장점 : 높은포졸란 반응, 기술적 성능 및 효율성, 수송, 저장, 배합시의 온도보호 불필요.
단점 : 먼지와 습기에 민감, 높은 수송비, 제한된 수송거리.
과립상 - 장점 : 최저의 수송비, 최소의 저장 및 수송 부피, 먼지 감소.
단점 : 최소의 포졸란 반응성, 기능및 효율성, 습기에 민감.
슬러리 - 장점 : 먼지가 없음, 간편한 수송과 배합 체계, 혼합시 실리카흄의 혼합 및 분산이 용이.
단점 : 침전 때문에 실리카량이 부정확, 단위수량 조절 어려움, 동결 방지 위해 수송, 저장, 배합시의 온도조절 필요, 조속한 겔형성 방지위해 pH량 조절, 저장, 분배 탱크는 현탄액 속에 실리카흄 유지위해 일정 교반시켜야함.
1) 초기강도 발현은 완만하지만 장기강도 발현은 큼(잠재수경성).
2) 내화학 저항성 큼(산류, 해수, 하수 등).
3) 포졸란반응으로 공극충전효과 및 알칼리골재반응 억제효과.
4) 발열량이 적기 때문에 매스콘크리트에 활용가능
5) 수산화칼슘과 반응, 실리카질의 겔층 석출
6) 고성능 감수제와 병용 사용시 고강도 및 투수성이 작은 콘크리트.
7) 초미분이기 때문에 감수제를 사용치 않으면 단위수량이 증대.
8) 수화초기의 발열 저감, 포졸란 반응으로 알칼리 저감.
팽창재
팽창재는 철분의 발청, 침상결정의 생성, 석회의 팽창 작용 등을 일으켜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경화과정에서 팽창시키므로 교량의 지승을 설치할 때나 기계를 앉힐 때 기초 부위 등의 그라우트에 사용하며, 콘크리트 부재의 건조수축을 줄여 균열의 발생을 방지할 목적등으로 사용된다. 팽창재에는 산화조제를 혼합한 철분제, 석고를 주성분으로 하는 석고계 및 칼슘설포알미늄산염계 팽창재가 있다. 시멘트를 물로 비빌 경우 수화반응에 의해 에트린가이트 또는 수산화 칼슘등을 생성해 콘크리트를 팽창시킨다.
1) 팽창재 사용 콘크리트의 특징
- 수축보상 콘크리트 → 팽창에 의한 압축력이 건조수축에 의한 인장력을 상쇄시킴(팽창재 30㎏/㎥ 전후 사용)
- 캐미칼 프레스트레스 콘크리트 → 팽창에 의한 압축응력을 발생시켜 건조수축후에도 여분의 압축응력이 존재 (팽창재 60㎏/㎥ 전후 사용)
2) 물과 반응하여 경화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가 팽창하는 성질
3)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균열이 작다
4) 균열보수, 그라우팅 재료
5) 사용상의 주의사항
- 풍화되기 쉬운 결점이 있으니, 검사후 사용.
- 충분히 혼합 할 것.
- 초기의 살수양생
- 여름철 메스콘크리트는 수화열 억제형 팽창제 사용
- 건조수축의 감소에는 도움이 되나, 장기간의 건조수축에 대응하기는 어렵다.
착색재
1) 콘크리트와 모르타르에 색을 입히는 재료
2) 콘크리트 마무리 재료로 사용
<참고 문헌>
김성수 외 3명, “토목재료학”, 구미서관
네이버 백과 사전
http://www.encyber.com
http://www.google.com
http://blog.naver.com/leekimchi.do
http://www.daum.net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1.19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67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