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인터넷청년봉사단 KIV (대한민국 정부 파견 IT봉사단 합격 서류)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외인터넷청년봉사단 KIV (대한민국 정부 파견 IT봉사단 합격 서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청을 인지하고 팀원 건강관리와 전염병 예방에 만전을 기한다.
1) 댕기열
댕기열은 바이러스에 의한 출혈열의 종류이며 주로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한다. 고열이 2-7일간 지속되며, 피부 표면에 붉은 반점과 두통, 근육, 관절, 눈 안쪽에 통증이 오며, 토하거나 혈변을 보기도 한다. 심한 경우 댕기 쇼크가 오며 24시간 이내에 사망하기도 한다.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데, 댕기 모기는 다른 모기보다 작고 검은색 몸통에 흰 점이 박혀 있으며, 집안이나 집 주위에서 서식하면서 아침과 낮에만 활동한다. 예방 주사가 없으므로 낮에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외출 시에는 모기 퇴치 로션을 바르거나 연고를 사용한다.
2) 세균성 이질
Shigella 세균 속에 의한 급성 염증성 결장염으로 감염력이 비교적 강한 대, 소장의 급성 세균성 감염으로 법정전염병 제1군이다. 환자나 보균자에 의한 직간접 접촉과 식수, 우유, 바퀴벌레, 파리에 의해 전파된다. 잠복기는 보통 1-3일, 전염기는 발병 후 4주 이내이다. 세균성이질은 고열, 구역질, 구토, 경련성 복통, 설사, 무기력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가벼운 묽은 설사만 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항상 흐르는 물에 비누로 손을 깨끗이 씻는 등 개인위생 관리를 철저히 한다. 또한 음식과 물은 반드시 익히거나 끓이도록 한다.
◎ 조치 방안
범죄사고 또는 안전사고 발생 시에는 즉시 현지 기관, 병원 등에 연락해서 응급조치를 취하고 대사관과 봉사단에 연락을 해서 차후 대처 방안을 논의한다. 또한 한인회, 파견기관에 요청해 도움을 받는다.
주요 비상 연락망 및 유용한 연락처
인도네시아 주재 한국 대사관
(62 21) 520 1915
(당직) 0811 852 446
인도네시아 주재 한국 대사관 영사과
0812 983 0537
영사 콜 센터 무료 연결
0018 0182 + 0 + 교환
KOICA 사무소
(62 21) 522 7771
한국 산업 인력 공단 인도네시아 주재원 (양성모)
(62 21) 527 2612
현지 경찰(일반 범죄)
110
화재 신고
113
앰블런스
118, 119
한인회
(62 21) 521 2515
외환은행
(62 21) 574 1030
대한항공
(62 21) 521 2180
한국 병원
(62 21) 5296 1522/24
서울 매디컬 센터
(62 21) 799 1333
◎ 봉사단 사무국과의 연락 방안( 평상시, 긴급 시)
(1) 평상시
인터넷이 가능한 장소를 미리 파악하여 매일 인터넷을 통한 ‘일일상황보고’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만약 현지 사정으로 일시적으로 인터넷 사용이 원활하지 않을 시는 팩스 혹은 무선 전화(로밍폰/대여폰)을 이용하여 ‘일일 상황 보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겠다. 최소한 일주일에 2회 이상 사무국에 안전 유무와 현지 상황을 로밍폰/대여폰으로 알리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무선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시는 현지 기관의 도움을 받아 유선 전화를 이용하겠다.
(2) 긴급 시
긴급 상황이란, 봉사 활동 일정 변경, 봉사 활동 중단, 팀원들의 건강과 신변 안전 문제, 자연 재해로 인한 국가적인 재난 사태 등을 말한다. 항상 우선시 되는 긴급 연락 수단은 지연 없이 빠른 연락이 가능한 로밍폰/대여폰이며, 이와 같은 무선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시 유선 통신, 팩스, 인터넷(홈페이지, 이메일)을 그 대안으로 한다. 자연 재해 등으로 인해 통신시설 파괴로 통신이 두절된 상황에서는 국가 기관으로서 긴급 연락망을 갖추고 있는 현지 한국 대사관과 한국 산업 인력공단 인도네시아 주재원의 협조를 받아 상황 보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 봉사단 활동 종류 후 지속적인 지원 및 교류 활동 방안
(1) 해외 인터넷 청년 봉사단(We can do IT) <-> 현지 피 교육생
교육 후에도 충분히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교육 기간 중 충분히 컴퓨터를 활용 할 수 있도록 교육 하는 것을 바탕으로 활동 종료 후에도 현지 교육생과 우리 팀원들 간의 친목 관계가 유지 될 수 있도록 E-Mail과 메신저 등을 통한 연락망을 유지한다. 연락 수단으로서의 컴퓨터 사용은 인터넷에 친숙 해 질 수 있도록 해, 지속적인 교육 효과를 기대 해 볼 수 있다. IT 교육 과정 중 완성된 개인 홈페이지(방명록, 게시판)를 적극 활용하여 업데이트를 돕고 상호 방문을 도모함으로서 팀의 교육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노력한다.
(2) 해외 인터넷 청년 봉사단(We can do IT) <-> 차기 봉사단
기 경험자로서 차기 봉사단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여러 가지 활동 결과 자료를 통한 조언과 현지 정보 공유 등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
(3) 해외 인터넷 청년 봉사단(We can do IT) <-> 한국 정보 문화 진흥원(KADO)
봉사 활동 종료 후, 우리 팀이 만족시키지 못한 현지 기관의 요구 사항을 자세히 파악하고, 만족 사항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KADO와 차기 봉사단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KADO는 효과적으로 차기 봉사단을 교육하고 차기 봉사단은 IT봉사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 효과적인 한국 홍보 방안
위에서 언급한 문화 교류 활동, 사회봉사 활동, U-KOREA 홍보 이외에도,
(1) 이미 현지 언론사와 많은 교류가 있는 한국 산업 인력 공단 주재원의 협조를 맺어 현지 언론사/기자와의 연락망을 확보하고, 수시로 KIV단원의 현지 활동(IT봉사, 문화 교류 활동, 고아원 봉사 활동)에 대한 취재를 요청하여 다양한 매체(TV, 라디오, 신문, 잡지)를 통해 KIV의 활동을 적극 홍보 할 수 있도록 한다.
(2) 이번 활동 계획의 하나로서 직접 다큐 형식의 동영상을 제작함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블로그와 UCC로 대변되는 인터넷 문화를 이용하여 홍보 효과를 노릴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해외 인터넷 청년 봉사단 활동 홍보는 팀원 개개인에게 큰 성취감과 자부심과 추억거리를 갖게 해주고, KADO 기관과 한국에게는 쉽게 활동과 성과를 널리 알릴 수 있다. 또한, 현지 활동을 담은 사진을 현지 교육생들과 함께 디지털 앨범으로 제작, 배포함으로서, 교육생들에게도 추억을 간직 할 수 있도록 한다.
  • 가격20,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0.01.22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70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