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목차
감사의 글 ⅰ
국문요지 ⅱ
목차 ⅳ
Ⅰ. 서론 1
Ⅱ. 대상자 및 방법 4
1. 시기능 훈련 대상자 4
2. 시기능 훈련 방식 선호도 조사 대상자 5
3. 관찰 대상자 그룹별 관찰기간 및 방법 6
4. 굴절검사와 양안시 검사 방법 6
가. 하웰 사위 카드를 이용한 사위측정 방법 8
나. 토링톤 검사를 응용한 사위측정 방법 8
다. 차폐 프리즘 검사 9
라. 융합여력검사 9
마. Worth 4 dot 검사 10
바. 적색 렌즈 융합속도 검사 11
사. 입체시 검사 12
아. 응용 CLRS 그룹 증상 질문서 설문 조사 12
자. 개인별 지각 편위빈도 13
5. 시기능 훈련 방법 14
가. 시기능 훈련 방식 14
나. 시기능 훈련 성공기준 19
6. 방문율 및 충실도 조사 20
7. 선호도 조사 21
8. 통계 방법 21
Ⅲ. 결과 및 고찰 23
1. 전체 시기능 훈련 대상자에 대한 연구조사 23
가. 시기능 훈련 대상자의 방문율 23
나. 시기능 훈련 대상자의 충실도 25
다. 방문율이 높은 대상자(n=52) 양안시 이상 비율 26
라. 방문횟수와 성공기준 포함률의 관계 28
마. 연령대별 6회 이상 방문 대상자 조사 29
바. 연령대별 성공기준 포함률 조사 30
사. 방문율이 높은 폭주부족(n=41)대상자의 개선량과 성공기준 포함률 31
아. 시기능 훈련 후 훈련 대상자의 개선자와 성공기준에 포함된 자 42
2. 훈련방식별 시기능 훈련 대상자에 대한 연구조사 44
가. 훈련방식에 따른 기능적, 감각적 변화 추적관찰 44
나. 훈련방식과 방문횟수 관계 64
다. 훈련방식별 양안시 개선자, 성공기준 포함자 및 실패자 조사 66
라. 훈련방식에 따른 성공 여부 조사 68
마. 훈련방식별 선호도 조사 71
Ⅳ. 결 론 73
Abstract 75
References 77
국문요지 ⅱ
목차 ⅳ
Ⅰ. 서론 1
Ⅱ. 대상자 및 방법 4
1. 시기능 훈련 대상자 4
2. 시기능 훈련 방식 선호도 조사 대상자 5
3. 관찰 대상자 그룹별 관찰기간 및 방법 6
4. 굴절검사와 양안시 검사 방법 6
가. 하웰 사위 카드를 이용한 사위측정 방법 8
나. 토링톤 검사를 응용한 사위측정 방법 8
다. 차폐 프리즘 검사 9
라. 융합여력검사 9
마. Worth 4 dot 검사 10
바. 적색 렌즈 융합속도 검사 11
사. 입체시 검사 12
아. 응용 CLRS 그룹 증상 질문서 설문 조사 12
자. 개인별 지각 편위빈도 13
5. 시기능 훈련 방법 14
가. 시기능 훈련 방식 14
나. 시기능 훈련 성공기준 19
6. 방문율 및 충실도 조사 20
7. 선호도 조사 21
8. 통계 방법 21
Ⅲ. 결과 및 고찰 23
1. 전체 시기능 훈련 대상자에 대한 연구조사 23
가. 시기능 훈련 대상자의 방문율 23
나. 시기능 훈련 대상자의 충실도 25
다. 방문율이 높은 대상자(n=52) 양안시 이상 비율 26
라. 방문횟수와 성공기준 포함률의 관계 28
마. 연령대별 6회 이상 방문 대상자 조사 29
바. 연령대별 성공기준 포함률 조사 30
사. 방문율이 높은 폭주부족(n=41)대상자의 개선량과 성공기준 포함률 31
아. 시기능 훈련 후 훈련 대상자의 개선자와 성공기준에 포함된 자 42
2. 훈련방식별 시기능 훈련 대상자에 대한 연구조사 44
가. 훈련방식에 따른 기능적, 감각적 변화 추적관찰 44
나. 훈련방식과 방문횟수 관계 64
다. 훈련방식별 양안시 개선자, 성공기준 포함자 및 실패자 조사 66
라. 훈련방식에 따른 성공 여부 조사 68
마. 훈련방식별 선호도 조사 71
Ⅳ. 결 론 73
Abstract 75
References 77
본문내용
chell scheiman, Bruce Wick,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th Ed, Lippincott-Raven, USA, pp147-163 (2002).
31. Erik M, Weissberg, “Essentials of clinical binocular vision" 1th Ed, Butterworth heinemann, USA pp201-213 (2004).
32. Scott B.steinman, Barbara A.steinman, Ralph philip garzia, “Foundations of binocular vision: a clinical perspective" McGraw-Hi, USA, pp 1 (2000).
33. 이창선, “양안 운동성 융합 훈련용 이미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훈련방법”, 특허출원 제 105595 (2007).
34. William j. Benjamin, “Borish's clinical refraction" 2th Ed, Butterworth heinemann ,USA, pp 914-915 (2006).
35. 김재도, “안경사를 위한 임상검안과 시기능 처방" 2판 신광출판사, 서울특별시, 한국, pp 204-207 (2006).
36. 김재도, “안경사를 위한 임상검안과 시기능 처방" 2판 신광출판사, 서울특별시, 한국, pp 177-178 (2006).
37. 김재도, “안경사를 위한 임상검안과 시기능 처방" 2판 신광출판사, 서울특별시, 한국, pp 182-185 (2006).
38. Mitchell scheiman, Bruce Wick,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th Ed, Lippincott-Raven, USA, pp 235 (2002).
39. Rouse MW, Borsting E, Hyman L, Hussein M, Cotter SA, Flynn M, Scheiman M, Gallaway M, De Land PN. “Frequency of convergence insufficiency among fifth and sixth graders. The Convergence Insufficiency and Reading Study (CIRS) group." Optom Vis Sci, 76(9): 643-649 (1999).
40. Mitchell scheiman, Bruce Wick,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th Ed, Lippincott-Raven, USA, pp 147-163 (2002).
41. Cooper J, Duckman R, "Convergence insufficiency: incidence, diagnosis, and treatmen t" J Am Optom Assoc, 49(6): 73-80 (1978).
42. Grisham JD, “Visual therapy results for convergence insufficiency: aliterature review" Am J Optom Physiol Opt, 65(6): 448-454 (1988).
43. Birnbaum MH, Soden R, Cohen AH. “Efficacy of vision therapy for convergence insufficiency in an adult male population.” J Am Optom Assoc, 70(2): 25-32 (1999).
44. 김재도, “안경사를 위한 임상검안과 시기능 처방" 2판, 신광출판사, 서울특별시, 한국, pp 211-216 (2006).
45. Mitchell scheiman, Bruce Wick,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th Ed, Lippincott-Raven, USA, pp 106-108 (2002).
46. 홍동균, 정한섭, 박상안, “검사방법에 따른 원·근거리 수평사위의 분석” 한국안광학회지 , 9(2): 423-430 (2004).
47. 신진아, “안기능 검사” 2판, 한미의학, 서울특별시, 한국, pp 50-53 (2003).
48. 김재도, “안경사를 위한 임상검안과 시기능 처방" 2판 신광출판사, 서울특별시, 한국, pp 226-231 (2006).
49. Mitchell scheiman, Bruce Wick,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th Ed, Lippincott-Raven, USA, pp 58 (2002).
50. Mitchell scheiman, Bruce Wick,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th Ed, Lippincott-Raven, USA, pp 147-153 (2002).
51. Mitchell scheiman, Bruce Wick,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th Ed, Lippincott-Raven, USA, pp 136 (2002).
52. 박기호, 김영진, 조한무, 신성철, 황수관, “시력 회복을 위한 안구운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30(1): 1117-1128 (1991).
53. 이원택, 박경아, “의학신경해부학” 2판, 고려의학, 서울, 한국, pp 608-617 (2008).
54. Jae Il Kim, “Saccadic Eye Movement” Journal of the Korean Balance Society, 3(2): 275-280 (2004).
55. William j. Benjamin,“Borish's clinical refraction" 2th Ed. Butterworth heinemann ,USA, pp 113 (2006).
56. William j. Benjamin,“Borish's clinical refraction" 2th Ed. Butterworth heinemann ,USA, pp 108-110 (2006).
31. Erik M, Weissberg, “Essentials of clinical binocular vision" 1th Ed, Butterworth heinemann, USA pp201-213 (2004).
32. Scott B.steinman, Barbara A.steinman, Ralph philip garzia, “Foundations of binocular vision: a clinical perspective" McGraw-Hi, USA, pp 1 (2000).
33. 이창선, “양안 운동성 융합 훈련용 이미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훈련방법”, 특허출원 제 105595 (2007).
34. William j. Benjamin, “Borish's clinical refraction" 2th Ed, Butterworth heinemann ,USA, pp 914-915 (2006).
35. 김재도, “안경사를 위한 임상검안과 시기능 처방" 2판 신광출판사, 서울특별시, 한국, pp 204-207 (2006).
36. 김재도, “안경사를 위한 임상검안과 시기능 처방" 2판 신광출판사, 서울특별시, 한국, pp 177-178 (2006).
37. 김재도, “안경사를 위한 임상검안과 시기능 처방" 2판 신광출판사, 서울특별시, 한국, pp 182-185 (2006).
38. Mitchell scheiman, Bruce Wick,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th Ed, Lippincott-Raven, USA, pp 235 (2002).
39. Rouse MW, Borsting E, Hyman L, Hussein M, Cotter SA, Flynn M, Scheiman M, Gallaway M, De Land PN. “Frequency of convergence insufficiency among fifth and sixth graders. The Convergence Insufficiency and Reading Study (CIRS) group." Optom Vis Sci, 76(9): 643-649 (1999).
40. Mitchell scheiman, Bruce Wick,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th Ed, Lippincott-Raven, USA, pp 147-163 (2002).
41. Cooper J, Duckman R, "Convergence insufficiency: incidence, diagnosis, and treatmen t" J Am Optom Assoc, 49(6): 73-80 (1978).
42. Grisham JD, “Visual therapy results for convergence insufficiency: aliterature review" Am J Optom Physiol Opt, 65(6): 448-454 (1988).
43. Birnbaum MH, Soden R, Cohen AH. “Efficacy of vision therapy for convergence insufficiency in an adult male population.” J Am Optom Assoc, 70(2): 25-32 (1999).
44. 김재도, “안경사를 위한 임상검안과 시기능 처방" 2판, 신광출판사, 서울특별시, 한국, pp 211-216 (2006).
45. Mitchell scheiman, Bruce Wick,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th Ed, Lippincott-Raven, USA, pp 106-108 (2002).
46. 홍동균, 정한섭, 박상안, “검사방법에 따른 원·근거리 수평사위의 분석” 한국안광학회지 , 9(2): 423-430 (2004).
47. 신진아, “안기능 검사” 2판, 한미의학, 서울특별시, 한국, pp 50-53 (2003).
48. 김재도, “안경사를 위한 임상검안과 시기능 처방" 2판 신광출판사, 서울특별시, 한국, pp 226-231 (2006).
49. Mitchell scheiman, Bruce Wick,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th Ed, Lippincott-Raven, USA, pp 58 (2002).
50. Mitchell scheiman, Bruce Wick,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th Ed, Lippincott-Raven, USA, pp 147-153 (2002).
51. Mitchell scheiman, Bruce Wick,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th Ed, Lippincott-Raven, USA, pp 136 (2002).
52. 박기호, 김영진, 조한무, 신성철, 황수관, “시력 회복을 위한 안구운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30(1): 1117-1128 (1991).
53. 이원택, 박경아, “의학신경해부학” 2판, 고려의학, 서울, 한국, pp 608-617 (2008).
54. Jae Il Kim, “Saccadic Eye Movement” Journal of the Korean Balance Society, 3(2): 275-280 (2004).
55. William j. Benjamin,“Borish's clinical refraction" 2th Ed. Butterworth heinemann ,USA, pp 113 (2006).
56. William j. Benjamin,“Borish's clinical refraction" 2th Ed. Butterworth heinemann ,USA, pp 108-110 (20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