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나에게 다가오는 것을 학습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지난번에 했던 행동의 마지막 부분을 반복한 것이라고 Guthrie는 말한다. 하지만 모든 이론에는 난제가 있기 마련이고 과제를 준비하던 우리 조원들 역시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었는데 Guthrie의 이론 중 옳은 행위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성공과 실패에 대한 관심이 결여된 점이 없지 않아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사람들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다름 아닌 성공과 실패에 대한 경험들인데 이러한 경험들은 다음번의 행동의 일정 부분들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또한 학습이란 정의 자체에서도 어찌 보면 성공에 대한 갈망이 묻어 나오기 마련인데 지난번에 했던 행동의 마지막 부분을 반복한 것은 조금은 아이러니하지 않나 라는 생각들을 하게 되었다.
추천자료
학습이론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대한 비교 고찰
[행동주의 학습이론][파블로프][스키너][거스리][손다이크][헐][반두라]행동주의 학습이론(파...
파블로프, 손다이크, 스키너의 학습이론을 비교, 설명하시오
파블로브, 스키너, 손다이크 학습이론의 비교 설명 및 교수이론의 특징에 관한 논의(교수학습...
파블로브와 스키너, 손다이크의 학습이론을 비교 설명 및 교수이론의 특징
학습이론 중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대한 비교 논의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과 스키너행동주의이론
파블로브와 스키너, 손다이크의 행동주의 학습이론에 대한 비교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