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징계의 의의
2. 부당징계 구제의 절차
3. 징계의 정당성 판단
4. 구제의 내용
2. 부당징계 구제의 절차
3. 징계의 정당성 판단
4. 구제의 내용
본문내용
념이나 사회상규에서 용인될 수 없는 경우, 위법하게 근로자에게 정신적인 고통을 가한 것으로 사용자는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책임도 진다(判). ④이 밖에 2007년 1월 개정근기법 이전에는 사용자가 근기법30①에 위반하여 근로자를 부당하게 징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과해졌으나(구근110) 개정근기법에서는 삭제되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단체교섭에 있어서 노동조합의 공정대표의무법리
解雇의 效力을 다투는 者의 組合員 資格에 대하여 論하라.
공기업의 비효율성과 그에 대한 대안-대한주택공사
직장 내 성희롱을 중심으로 살펴본 피해자 보호의 문제 및 해결 방안
[직장내 성희롱]직장내 성희롱의 개념, 직장내 성희롱의 유형과 요건 및 제도 개선 방안 분석...
노동법상 배치전환 관련 검토
노조법상 해고의 효력을 다투는 근로자와 관련 판례 검토
노조법상 정당한 조합활동으로 인정되지 않은 경우의 주요 판례 연구
[서강대]경제와 소비자, 노동자에 관한 법률개관
인권과 정의 개별 리포트
상법에 의한 경업금지
청소년과 가출개입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