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호모 에코노미쿠스’로서의 로빈슨 크루소
1-1. ‘탈출호’ 건조
1-2. 농업과 목축업
1-3. 항해일지 기록
1-4. 법 제정
2. ‘호모 루덴스’로서의 로빈슨 크루소
2-1. 동굴의 폭발
2-2. 하프와 연
Ⅲ. 결론
Ⅰ. 서론
Ⅱ. 본론
1. ‘호모 에코노미쿠스’로서의 로빈슨 크루소
1-1. ‘탈출호’ 건조
1-2. 농업과 목축업
1-3. 항해일지 기록
1-4. 법 제정
2. ‘호모 루덴스’로서의 로빈슨 크루소
2-1. 동굴의 폭발
2-2. 하프와 연
Ⅲ. 결론
본문내용
극한점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는 이 영원한 순간으로부터 몸을 빼내어 피폐와 먼지와 폐허의 세계 속으로 추락할 생각은 추호도 없었던 것이다!
이렇게 로빈슨 크루소는 그가 만난 낯선 세계에서 새로운 인간으로 태어나게 된다. 그렇다면 이 소설에서 로빈슨 크루소에게 이런 변화를 갖게 한 작가의 의도는 무엇이었을까? 작가는 대니얼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에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고 말한다. 하나는 프라이데이가 있으나마나 한 존재로 취급되어 있다는 것과 나머지 다른 하나는 모든 것이 회고적인 시각에서 처리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말은 즉, 로빈슨은 새로운 것을 만들려고 시도하지 않고 섬 안에 자신이 살았던 영국이란 나라의 작은 식민지를 세우려고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그는 이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이라는 책에서는 방드르디에게 핵심적인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로빈슨 크루소라는 한 인간을 변화시킨 것이다. 로빈슨은 어린아이들이 아빠,
* 호모 루덴스³: 유희하는 인간.
3
엄마의 놀이를 하듯 문명의 놀이를 해왔다. 하지만 이제 놀이는 끝났다. 그리고 지금 애벌레가 허물을 벗고 나비가 되어 대 자연의 심장부에서 최초의 고독과 통일로 복귀하려고 하고 있다.
4
이렇게 로빈슨 크루소는 그가 만난 낯선 세계에서 새로운 인간으로 태어나게 된다. 그렇다면 이 소설에서 로빈슨 크루소에게 이런 변화를 갖게 한 작가의 의도는 무엇이었을까? 작가는 대니얼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에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고 말한다. 하나는 프라이데이가 있으나마나 한 존재로 취급되어 있다는 것과 나머지 다른 하나는 모든 것이 회고적인 시각에서 처리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말은 즉, 로빈슨은 새로운 것을 만들려고 시도하지 않고 섬 안에 자신이 살았던 영국이란 나라의 작은 식민지를 세우려고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그는 이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이라는 책에서는 방드르디에게 핵심적인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로빈슨 크루소라는 한 인간을 변화시킨 것이다. 로빈슨은 어린아이들이 아빠,
* 호모 루덴스³: 유희하는 인간.
3
엄마의 놀이를 하듯 문명의 놀이를 해왔다. 하지만 이제 놀이는 끝났다. 그리고 지금 애벌레가 허물을 벗고 나비가 되어 대 자연의 심장부에서 최초의 고독과 통일로 복귀하려고 하고 있다.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