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산욕기여성의 발달과업과 간호문제를 열거하고 간호과정을 적용한다.
2. 자가간호교육내용을 열거하고 간호과정을 적용한다.
3. 제왕절개술 및 회음절개술을 받은 여성의 간호문제를 열거하고 간호과정을 적용한다.
4.부인과치료(수술, 약물, 방사선)대상자의 건강문제에 대해 간호과정을 적용한다.
2. 자가간호교육내용을 열거하고 간호과정을 적용한다.
3. 제왕절개술 및 회음절개술을 받은 여성의 간호문제를 열거하고 간호과정을 적용한다.
4.부인과치료(수술, 약물, 방사선)대상자의 건강문제에 대해 간호과정을 적용한다.
본문내용
처음 2주간은 예상보다 더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1) 활동과 휴식 : 2주후 부터 가벼운 가사활동은 가능하나 무거운 물건 들어올리기, 빨래, 청소, 쇼핑, 운전 등 힘든 일은 4-6주까지는 삼간다.
가벼운 수영, 산책은 가능하다.
간호진단: 저하된 건강상태와 관련된 잠재성 활동내구성 장애/침상안정, 부동성과 관련된 잠재성 활동내구성 장애
간호수행: ① 대상자가 과거에 했던 자기간호, 운동, 여가활동등을 평가하고 어떻게 견디었는지 사정한다.(강도,기간,빈도)
② 활동시 대상자에게 어떤 변화가 있는가 관찰한다.
③ 독립적으로 활동하도록 도와준다.
④ 대상자가 견딜수 있는 운동, 여가활동을 하도록한다.
⑤ 활동과 휴식에 대해 환자와 가족, 친구들에게 알린다.
평 가: ① 대상자는 생리적 안정을 증진시키는 활동에 참여한다.
② 대상자는 활동-휴식의 패턴을 개발한다.
③ 대상자는 활동과 휴식을 만족시키기 위해 가족,친구,의료인에게 도움을 청한다.
2) 영양관리 : 균형 잡힌 식사를 하되, 폐경이후 Ca의 손실이 오므로 특히 Ca이 풍부한 음식(우유, 유제품, 뼈째먹는 생선 등)을 섭취하고, 콜레스테롤
로 인한 심장, 혈관계 질환의 예방을 위해 지방은 제한하며, 수술 후 빈혈이 있는 경우 철분 재제를 보충해 준다. 철분이 많이 함유된 식품(살코기,간, 시금치, 콩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고 철분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Vt C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한다.
간호진단 : 수술과 관련된 영양결핍
간호수행 : ① 대상자의 영양상태를 사정,기록한다.
② 음식일기를 쓰게 한다.
③ 영양지침, 위험요인등을 교육한다.
평 가 : ① 대상자는 영양결핍의 위험요인들을 설명한다.
② 자신의 대사요구에 맞는 음식들을 섭취한다.
3) 배변, 배뇨관리 : 변비가 있으면 우선 물을 충분히 마시고 신선한 야채, 과일, 곡류를 충분히 섭취하도록한다.
조절이 잘 되지 않으면 가벼운 완화제를 복용한다.
간호진단: 전신이나 척수마취와 관련된 요정체/ 보통의 배뇨자세를 취할수 없는 상태와 관련된 요정체/ 불충분한 신체적인 활동과 관련된 변비
간호수행: ① 배뇨할 때 이완을 증진시킨다(심호흡, 근육이완, 눈감기 등)
② 배뇨시 물 흐르게 하기/손을 물에 담그기, 회음부위에 물붓기 등을 실시하여 배뇨반사가 시작되도록 한다.
③ I/O CHECK
평 가: ① 대상자는 완전하게 방광을 비운다.
② 대상자는 여러 가지 배뇨요법들을 설명하고 실행한다.
4) 개인위생 : 샤워,샴푸는 봉합제거 2-3일 후에 가능하나 통목욕은 4주까지는 금하는 것이 좋다.(통목욕시 어지러움증,복부긴장감을 초래하기 때문)
간호진단: 외상이나 수술과 관련된 자기간호 결핍/ 신체에 부착된 치료장치와 관련된 자기간호 결핍
간호수행: ① 대상자가 혼자 할수 있는 행동을 사정한다.
② 가능한 대상자 스스로 행할 수 있도록 권한다.
③ 대상자와 함께 계획을 세우고 결과를 확인한다.
④ 자가간호활동을 관찰하여 수준을 평가한다.
⑤ 손상을 예방한다.
⑥ 호출벨을 가까이 배치해둔다.
⑦ 프라이버시, 자존감을 지켜준다.
평 가: ① 대상자는 자신의 행동을 조절한다
② 대상자는 자신의 상태를 수용하고 자존감을 유지한다.
③ 자신의 기능수준에 맞는 자기간호를 완수한다.
④ 합병증 없이 자기간호를 완수한다.
5) 수술부위의 불편감 관리 : 복부팽만으로 불편감이 증가할 수 있고, 이때는 휴식을 취하고 더운물주머니나 의사처방의 동통 완화제를 복용한다.
간호진단: 조직외상과 관련된 통증/ 통증조절법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통증/ 불안과 관련된 통증
간호수행: ① 대상자의 통증 및 통증경험의 특성을 사정한다.
② 현재 or 과거에 사용한 통증완화법의 효과를 평가한다.
③ 대상자와 함께 비약물 요법을 검토한다.
④ 통증완화법을 실시할 때 대상자를 지지한다.
⑤ 통증유발요인, 악화요인등을 확인한다.
평 가: ① 대상자는 통증을 감소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말할 수있다
② 대상자는 통증감소,제거를 위해 통증조절법을 적용한다.
③ 대상자는 통증을 유발하거나 심하게 하는 요인을 제거하거나 감소한다.
2. 부부관계
- 부부관계는 질에서 이루어지며 자궁과는 무관하므로 질 부위가 회복되는 4-6주 후부터는 정상 부부관계가 가능하다.
- 수술전과 달라지는 것은 부부 양자에게 아무 것도 없다는 확신을 갖는다.
간호진단: 성교에 의하여 유발되는 통증에 대한 공포와 관련된 성기능 장애/지식부족과 관련된 성기능 장애/
간호수행: ① 대상자의 기능장애에 대한 지식,이해의 수준을 사정한다.
② 인지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대상자에게 지식을 제공한다.
③ 부부에게 성에관한 느낌을 명백히 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④ 비밀을 보장해주고 신뢰를 유지한다.
⑤ 부부가 함께 치료에 참여하게 한다.
⑥ 정상이라는 것에 대한 대상자의 느낌을 확인해 준다.
평 가: ① 대상자는 자신이 경험하고 있는 기능장애와 관련된 요인들에 대해 설명하고 이해한다.
② 대상자는 좀 더 만족한 성생활을 할 수 있다.
③ 대상자는 자신의 성에 대한 염려가 감소된다.
3. 수술 후 심리변화에 대한 적응
- 부인과 수술로 인해 내분비선의 호르몬 분비를 자극하는 신경이 차단되므로 호르몬 분비의 변화가 초래되며 갑작스러운 성호르몬 분비의 감소로
우울, 상실감, 허탈감 등 심리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데 이것은 여성의 상징인 생식기관을 잃는 데에 대한 심리적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다.
간호진단: 신체적 손상과 관련된 자존감 저하
간호수행: ① 무비판적 태도를 유지한다.
② 대상자에게 관심을 표현한다.
③ 적극적으로 경청해 준다.
④ 여가활동을 촉진시킨다.
⑤ 가족에게 적절한 상호작용 기술을 교육한다.
평 가: ① 대상자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 현실적 감정,사고를 진술한다.
② 대상자는 자기에게 대하여 긍정적으로 말한다.
③ 대상자는 여가활동을 시작한다.
4. 추후 관리 : 추후관리는 주치의와 상의한다. 수술부위의 심한 통증, 질 출혈, 질 분비물의 악취, 발열 등의 이상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즉시 병원
에 연락한다.정기적인 진찰을 통해 암 발생이나 기타 질환을 예방한다.
1) 활동과 휴식 : 2주후 부터 가벼운 가사활동은 가능하나 무거운 물건 들어올리기, 빨래, 청소, 쇼핑, 운전 등 힘든 일은 4-6주까지는 삼간다.
가벼운 수영, 산책은 가능하다.
간호진단: 저하된 건강상태와 관련된 잠재성 활동내구성 장애/침상안정, 부동성과 관련된 잠재성 활동내구성 장애
간호수행: ① 대상자가 과거에 했던 자기간호, 운동, 여가활동등을 평가하고 어떻게 견디었는지 사정한다.(강도,기간,빈도)
② 활동시 대상자에게 어떤 변화가 있는가 관찰한다.
③ 독립적으로 활동하도록 도와준다.
④ 대상자가 견딜수 있는 운동, 여가활동을 하도록한다.
⑤ 활동과 휴식에 대해 환자와 가족, 친구들에게 알린다.
평 가: ① 대상자는 생리적 안정을 증진시키는 활동에 참여한다.
② 대상자는 활동-휴식의 패턴을 개발한다.
③ 대상자는 활동과 휴식을 만족시키기 위해 가족,친구,의료인에게 도움을 청한다.
2) 영양관리 : 균형 잡힌 식사를 하되, 폐경이후 Ca의 손실이 오므로 특히 Ca이 풍부한 음식(우유, 유제품, 뼈째먹는 생선 등)을 섭취하고, 콜레스테롤
로 인한 심장, 혈관계 질환의 예방을 위해 지방은 제한하며, 수술 후 빈혈이 있는 경우 철분 재제를 보충해 준다. 철분이 많이 함유된 식품(살코기,간, 시금치, 콩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고 철분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Vt C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한다.
간호진단 : 수술과 관련된 영양결핍
간호수행 : ① 대상자의 영양상태를 사정,기록한다.
② 음식일기를 쓰게 한다.
③ 영양지침, 위험요인등을 교육한다.
평 가 : ① 대상자는 영양결핍의 위험요인들을 설명한다.
② 자신의 대사요구에 맞는 음식들을 섭취한다.
3) 배변, 배뇨관리 : 변비가 있으면 우선 물을 충분히 마시고 신선한 야채, 과일, 곡류를 충분히 섭취하도록한다.
조절이 잘 되지 않으면 가벼운 완화제를 복용한다.
간호진단: 전신이나 척수마취와 관련된 요정체/ 보통의 배뇨자세를 취할수 없는 상태와 관련된 요정체/ 불충분한 신체적인 활동과 관련된 변비
간호수행: ① 배뇨할 때 이완을 증진시킨다(심호흡, 근육이완, 눈감기 등)
② 배뇨시 물 흐르게 하기/손을 물에 담그기, 회음부위에 물붓기 등을 실시하여 배뇨반사가 시작되도록 한다.
③ I/O CHECK
평 가: ① 대상자는 완전하게 방광을 비운다.
② 대상자는 여러 가지 배뇨요법들을 설명하고 실행한다.
4) 개인위생 : 샤워,샴푸는 봉합제거 2-3일 후에 가능하나 통목욕은 4주까지는 금하는 것이 좋다.(통목욕시 어지러움증,복부긴장감을 초래하기 때문)
간호진단: 외상이나 수술과 관련된 자기간호 결핍/ 신체에 부착된 치료장치와 관련된 자기간호 결핍
간호수행: ① 대상자가 혼자 할수 있는 행동을 사정한다.
② 가능한 대상자 스스로 행할 수 있도록 권한다.
③ 대상자와 함께 계획을 세우고 결과를 확인한다.
④ 자가간호활동을 관찰하여 수준을 평가한다.
⑤ 손상을 예방한다.
⑥ 호출벨을 가까이 배치해둔다.
⑦ 프라이버시, 자존감을 지켜준다.
평 가: ① 대상자는 자신의 행동을 조절한다
② 대상자는 자신의 상태를 수용하고 자존감을 유지한다.
③ 자신의 기능수준에 맞는 자기간호를 완수한다.
④ 합병증 없이 자기간호를 완수한다.
5) 수술부위의 불편감 관리 : 복부팽만으로 불편감이 증가할 수 있고, 이때는 휴식을 취하고 더운물주머니나 의사처방의 동통 완화제를 복용한다.
간호진단: 조직외상과 관련된 통증/ 통증조절법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통증/ 불안과 관련된 통증
간호수행: ① 대상자의 통증 및 통증경험의 특성을 사정한다.
② 현재 or 과거에 사용한 통증완화법의 효과를 평가한다.
③ 대상자와 함께 비약물 요법을 검토한다.
④ 통증완화법을 실시할 때 대상자를 지지한다.
⑤ 통증유발요인, 악화요인등을 확인한다.
평 가: ① 대상자는 통증을 감소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말할 수있다
② 대상자는 통증감소,제거를 위해 통증조절법을 적용한다.
③ 대상자는 통증을 유발하거나 심하게 하는 요인을 제거하거나 감소한다.
2. 부부관계
- 부부관계는 질에서 이루어지며 자궁과는 무관하므로 질 부위가 회복되는 4-6주 후부터는 정상 부부관계가 가능하다.
- 수술전과 달라지는 것은 부부 양자에게 아무 것도 없다는 확신을 갖는다.
간호진단: 성교에 의하여 유발되는 통증에 대한 공포와 관련된 성기능 장애/지식부족과 관련된 성기능 장애/
간호수행: ① 대상자의 기능장애에 대한 지식,이해의 수준을 사정한다.
② 인지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대상자에게 지식을 제공한다.
③ 부부에게 성에관한 느낌을 명백히 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④ 비밀을 보장해주고 신뢰를 유지한다.
⑤ 부부가 함께 치료에 참여하게 한다.
⑥ 정상이라는 것에 대한 대상자의 느낌을 확인해 준다.
평 가: ① 대상자는 자신이 경험하고 있는 기능장애와 관련된 요인들에 대해 설명하고 이해한다.
② 대상자는 좀 더 만족한 성생활을 할 수 있다.
③ 대상자는 자신의 성에 대한 염려가 감소된다.
3. 수술 후 심리변화에 대한 적응
- 부인과 수술로 인해 내분비선의 호르몬 분비를 자극하는 신경이 차단되므로 호르몬 분비의 변화가 초래되며 갑작스러운 성호르몬 분비의 감소로
우울, 상실감, 허탈감 등 심리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데 이것은 여성의 상징인 생식기관을 잃는 데에 대한 심리적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다.
간호진단: 신체적 손상과 관련된 자존감 저하
간호수행: ① 무비판적 태도를 유지한다.
② 대상자에게 관심을 표현한다.
③ 적극적으로 경청해 준다.
④ 여가활동을 촉진시킨다.
⑤ 가족에게 적절한 상호작용 기술을 교육한다.
평 가: ① 대상자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 현실적 감정,사고를 진술한다.
② 대상자는 자기에게 대하여 긍정적으로 말한다.
③ 대상자는 여가활동을 시작한다.
4. 추후 관리 : 추후관리는 주치의와 상의한다. 수술부위의 심한 통증, 질 출혈, 질 분비물의 악취, 발열 등의 이상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즉시 병원
에 연락한다.정기적인 진찰을 통해 암 발생이나 기타 질환을 예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