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1-2장 (목적, 목적이 이끄는 교회)
3-5장 (찬양, 사귐, 성숙)
6-8장 (섬김, 전파, 함께 항해하다)
2부 1-4장 (만나라, 연결하라, 융합하라, 함께하라)
3-5장 (찬양, 사귐, 성숙)
6-8장 (섬김, 전파, 함께 항해하다)
2부 1-4장 (만나라, 연결하라, 융합하라, 함께하라)
본문내용
과 땅을 잇기 원하셨던 예수님의 성육신이야 말로 진정한 디지로그의 개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하늘의 디지털을 버리시고 땅의 아날로그를 끌어 안으시면서 디지로그로서의 구원 공간을 만드신 예수님이 그 본을 보시신 사건입니다’
하나님과 인간을 이어주는 미디어로서의 ‘최후의 만찬’
성만찬이란 하늘의 디지털을 버리시고 땅의 아날로그를 끌어 안으신 분이 이 사실을 오고 오는 세대에 기억시키기 위하여 만드신 사건으로
이어령 박사는 최후의 만찬과 디지로그의 연관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비록 십자가는 혼자 지고 가실 수 있었지만 최후의 식사만은 혼자 할 수 없었던 예수님의 모습을 통해 제자들로 하여금 지금까지 주님과 함께 하면서 보고, 듣고, 만지고, 냄새 맡던 천국의 메시지를 어금니로 깨물어 삼키는 법을 개닫게 해서 예수님과 구체적으로 하나 되도록 그 결과 제자들 서로가 하나가 되도록 한 사건입니다.’
싸이월드와 사이(間)월드
네티즌들은 자기들이 꾸미는 ‘싸이월드’를 ‘사이좋은 세상’ 이라고 표현하는 것을 보면, 영어로는 사이버 즉 “싸이(Cy)"가 되지만 한국말로는 ”사이(between)"가 됩니다. 한국 인구의 삼분의 일이 이미 싸이월드 안에서 인간띠를 만들어 내는 사회적, 문화적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이’ 문화가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만들어 놓은 ‘싸이월드’이것은 하나님 나라를 전파하는 사명을 수행하는 이 땅의 교회들에게 기회이다.
제 3 장 융합하라
‘이것이냐 저것이냐’에서 ‘이것도 저것도’로
좌우 중에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지면 기울어지고 결국에는 넘어지게 됩니다.
몸이나 사물이나 인간관계, 소그룹, 단체, 국가 등에서 ‘이것이냐 저것이냐’의 대립각이 아닌 ‘이것도 저것도 함께’의 조화와 균형이 필요하다.
크던지 작던지 어떤 단체의 리더가 되었다면 우로도 좌로도 치우침이 없고, 육체적, 사회적, 정신적, 영적인 면에 있어서 과함과 부족함이 없이 겸전되고 조화됨, 그런 균형 잡힌 인격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균형잡힌 인격을 가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목회에도 비빕밥 정신이 필요하다
모든 것을 쪼개어 분석하여 이해하던 환원주의의 20세기기 저물고, 모든 것을 연결하고 융합하는 통섭의 21세기가 열렸다. 섞어야 넓어지고, 섞어야 아름답고, 섞어야 강력하고, 섞어야 살아남는다. 교회의 5대 목적인 예배, 교제, 교육, 봉사, 전도에 따라 어느 한 가지 목적의 관점만 고집하지 말고 나머지 4가지 목적의 관점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제 4 장 함께하라
함께 항해하는 디지로그 교회
After(당신 다음에), You first (당신 먼저)가 아니라 Together(함께)가 더 중요하다.
상대방을 포용하지 않고는 존재할 수 없는 세상이 왔다. 물론 상대방도 나를 수용하지 않고는 존재할 수 없는 세상이다. 지금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우리’의 세상이요, 함께(with together)의 세상이다.
우리는 모두 한 언어로 통한다.
바벨탑 사건 이후 나누어진 언어가 예수님이 승천하신 후 오순절날 그렇게도 말이 통하지 않던 곳에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 일어났다. 그곳에 모인 사람들이 다함께 자기들의 말로 하나님의 새로운 역사를 말하는 자의 말을 똑똑해 들었다. 그동안 흩어졌던 언어가 성령님에 의해서 하나가 되었고 단절되었던 관계가 소통되는 관계로 변화되는 역사가 일어났다.
디지로그 속에 예수님을 모셔야
오늘 이 세대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은 단순히 ‘디지털+아날로그=디지로그’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디지로그 문화 속에서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신 예수 그리스도가 구체적으로 모셔질 때 이루어진다.
하나님과 인간을 이어주는 미디어로서의 ‘최후의 만찬’
성만찬이란 하늘의 디지털을 버리시고 땅의 아날로그를 끌어 안으신 분이 이 사실을 오고 오는 세대에 기억시키기 위하여 만드신 사건으로
이어령 박사는 최후의 만찬과 디지로그의 연관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비록 십자가는 혼자 지고 가실 수 있었지만 최후의 식사만은 혼자 할 수 없었던 예수님의 모습을 통해 제자들로 하여금 지금까지 주님과 함께 하면서 보고, 듣고, 만지고, 냄새 맡던 천국의 메시지를 어금니로 깨물어 삼키는 법을 개닫게 해서 예수님과 구체적으로 하나 되도록 그 결과 제자들 서로가 하나가 되도록 한 사건입니다.’
싸이월드와 사이(間)월드
네티즌들은 자기들이 꾸미는 ‘싸이월드’를 ‘사이좋은 세상’ 이라고 표현하는 것을 보면, 영어로는 사이버 즉 “싸이(Cy)"가 되지만 한국말로는 ”사이(between)"가 됩니다. 한국 인구의 삼분의 일이 이미 싸이월드 안에서 인간띠를 만들어 내는 사회적, 문화적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이’ 문화가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만들어 놓은 ‘싸이월드’이것은 하나님 나라를 전파하는 사명을 수행하는 이 땅의 교회들에게 기회이다.
제 3 장 융합하라
‘이것이냐 저것이냐’에서 ‘이것도 저것도’로
좌우 중에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지면 기울어지고 결국에는 넘어지게 됩니다.
몸이나 사물이나 인간관계, 소그룹, 단체, 국가 등에서 ‘이것이냐 저것이냐’의 대립각이 아닌 ‘이것도 저것도 함께’의 조화와 균형이 필요하다.
크던지 작던지 어떤 단체의 리더가 되었다면 우로도 좌로도 치우침이 없고, 육체적, 사회적, 정신적, 영적인 면에 있어서 과함과 부족함이 없이 겸전되고 조화됨, 그런 균형 잡힌 인격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균형잡힌 인격을 가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목회에도 비빕밥 정신이 필요하다
모든 것을 쪼개어 분석하여 이해하던 환원주의의 20세기기 저물고, 모든 것을 연결하고 융합하는 통섭의 21세기가 열렸다. 섞어야 넓어지고, 섞어야 아름답고, 섞어야 강력하고, 섞어야 살아남는다. 교회의 5대 목적인 예배, 교제, 교육, 봉사, 전도에 따라 어느 한 가지 목적의 관점만 고집하지 말고 나머지 4가지 목적의 관점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제 4 장 함께하라
함께 항해하는 디지로그 교회
After(당신 다음에), You first (당신 먼저)가 아니라 Together(함께)가 더 중요하다.
상대방을 포용하지 않고는 존재할 수 없는 세상이 왔다. 물론 상대방도 나를 수용하지 않고는 존재할 수 없는 세상이다. 지금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우리’의 세상이요, 함께(with together)의 세상이다.
우리는 모두 한 언어로 통한다.
바벨탑 사건 이후 나누어진 언어가 예수님이 승천하신 후 오순절날 그렇게도 말이 통하지 않던 곳에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 일어났다. 그곳에 모인 사람들이 다함께 자기들의 말로 하나님의 새로운 역사를 말하는 자의 말을 똑똑해 들었다. 그동안 흩어졌던 언어가 성령님에 의해서 하나가 되었고 단절되었던 관계가 소통되는 관계로 변화되는 역사가 일어났다.
디지로그 속에 예수님을 모셔야
오늘 이 세대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은 단순히 ‘디지털+아날로그=디지로그’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디지로그 문화 속에서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신 예수 그리스도가 구체적으로 모셔질 때 이루어진다.
추천자료
포스트모더니즘과 상생철학시대의 종교이해 =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나타난 신학고찰과 그에 따...
[종교다원주의]다원주의 이론, 다원주의의 특징, 종교다원주의의 의미와 배경, 종교다원주의...
[루터][마틴 루터][신학][루터의 생애][루터의 역할][루터의 교육사상][루터와 농민전쟁][이...
그리스도(예수그리스도, 예수)의 특징과 생애, 그리스도(예수그리스도, 예수) 사역과 죽음, ...
(교회의 역사를 바꾼)9가지 신학 논쟁-도널드 맥킴(Donald K. McKim) 저
지혜문학 - 지혜문학 연구를 위한 초석(성문서의 신학, 고대의 르네상스), 지혜문학 연구(욥...
어거스틴(Augusting)의 삼위일체론 - 어거스틴과 어거스틴의 삼위일체 신학
기독교 윤리학의 정의 - 전통적 이해(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론, 칸트의 정의론), 기독교 신학...
하나님의 존재 - 신론의 근거를 주장하는 논쟁들, 성경적 논증(하나님에 관한 지식, 특별계시...
시가서 79편 연구 (원문 번역 및 본문 비평, 양식 및 구조와 주석, 시편 79편의 최종형태 구...
[경건주의의 영향과 웨슬리 (웨슬레/John Wesley) 사회복지] 웨슬리 시대의 사회와 교회, 당...
[만남 안에 계시 된 하나님] 부제 ) 계시의 측면에서 바라본 바르트와 불트만 신학
[역사서소논문] 역대기(상하)의 구조와 신학을 논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