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례문화
1) 제례란?
2) 진설법
3) 제사순서
4) 제사상 차림법
1) 제례란?
2) 진설법
3) 제사순서
4) 제사상 차림법
본문내용
위해 상에 3번 두드림
④ 첨작 -> 술잔 3번 채움
⑤ 헌다 -> 숭늉에 메를 3번 떠서 넣음
** ‘술’
* 관례에서는 -> 어른이 됨을 알림
* 제례에서는 -> 신과 내가 하나가 됨
-> 죽은 자와 산자를 연결해주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는 것
밥(뫼)
갱(국)
밥
국
떡
초
육전
육적
소적
채전
어적
초
육탕
소탕
어탕
포
숙채
-숙주,시금치
건채
-고사리
수채
-조름나물
청장
(간장)
백김치
동치미
혜
숙채 : 불에삶거나 쪄서 익힌 나물
건채 : 말려두었다가 쓰는 나물
침채
조
율
시
이
사과
산자
당과
약과
망과류
조과류
* 제례상 차림
5열 : 밥,갱 - 좌반우갱
4열 : 적과 전 - 어동육서, 두동이서
3열 : 탕 - 어동육서
2열 : 반찬 - 좌포우혜, 생동숙서
1열 : 조율시이, 홍동백서
④ 첨작 -> 술잔 3번 채움
⑤ 헌다 -> 숭늉에 메를 3번 떠서 넣음
** ‘술’
* 관례에서는 -> 어른이 됨을 알림
* 제례에서는 -> 신과 내가 하나가 됨
-> 죽은 자와 산자를 연결해주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는 것
밥(뫼)
갱(국)
밥
국
떡
초
육전
육적
소적
채전
어적
초
육탕
소탕
어탕
포
숙채
-숙주,시금치
건채
-고사리
수채
-조름나물
청장
(간장)
백김치
동치미
혜
숙채 : 불에삶거나 쪄서 익힌 나물
건채 : 말려두었다가 쓰는 나물
침채
조
율
시
이
사과
산자
당과
약과
망과류
조과류
* 제례상 차림
5열 : 밥,갱 - 좌반우갱
4열 : 적과 전 - 어동육서, 두동이서
3열 : 탕 - 어동육서
2열 : 반찬 - 좌포우혜, 생동숙서
1열 : 조율시이, 홍동백서
추천자료
조선중기의 관례와 혼례
관혼상제의 성경적 의의
현대적 시각에서 관혼상제례의 의미에 대한 재분석
[한문] 관혼상제(冠婚喪祭)의 어제와 오늘
일본의 관혼상제
[관례][혼례][호주의 혼례 사례][상례][현대식 상례][제례][관혼상제의 문제점][인사예절]관...
[관혼상제][관례][혼례][상례][제례][전통혼례][전통상례][북한 관혼상제]관혼상제(관례, 혼...
[관혼상제][관례][혼례][상례][제례]관혼상제-관례, 혼례(혼례 의의, 혼례의 절차, 혼례 진행...
[관례][혼례][상례][제례][관혼상제]관례, 혼례(전통혼례 의의, 전통혼례 절차, 외국 혼례), ...
[가정의례][통과의례]가정의례(통과의례)의 개념, 가정의례(통과의례) 백일, 가정의례(통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