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등에 의한 심부전이나 심장이 쇠약해 있을 때 일시에 다량의 수액 투여시 발생.
증상 - 호흡곤란 나타남,누워 있을 때보다 잠깐 일어났다가 앉을 때 편함. 천명, 다량의 장액성 가래, 기침, 가슴 답답함, 식은땀, 불안감, 빈맥, 부정맥 등 있음.
치료 - 산소흡입을 실시, 강심제 특히 디기탈리스제,이뇨제를 투여. 필요시 혈액을 뽑아 심장의 부담을 가볍게 함.
* Pulmonary infarction(폐경색증)
혈액공급이 부족하여 폐조직의 일부 또는 여러 부분이 죽는 것. 혈액공급이 차단되거나 감소하는 것은 대개 폐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혈관이 막히는 것은 병든 심장에서 생성된 혈병)이 다른 혈액과 함께 폐로 들어오거나 혈액에 기포가 생기거나(2가지 경우 모두 색전증임), 폐에 있는 혈관 자체에서 생성된 응고물이 그 자리에 남아 있을 때(응고물을 혈전이라고 함)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폐가 건강할 때는 혈관이 막혀도 혈액이 다른 통로를 찾아 흐르므로 조직이 죽는 경우는 없다. 만일 폐충혈이나 폐에 염증이 있는 경우 또는 공기가 폐에 적당히 공급되지 않을 때 혈관이 막히면 폐경색증이 일어난다. 폐조직이나 폐를 둘러싸고 있는 흉막낭에는 신경종말이 없기 때문에 폐 깊숙한 곳에서 일어나는 경색은 통증이 없고, 바깥 표면까지 경색이 확대되면 폐와 흉막낭 사이의 공간에 액체와 혈액이 스며들게 된다. 흉막낭이 과도한 액체로 인해 팽창하면 폐를 부풀리기가 어렵게 된다. 통증을 느낄 정도가 되면 흉막에도 문제가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증은 갈비뼈 주변, 어깨, 목 등에 국소적으로 올 수도 있고, 혹은 흉부와 복부를 분리하는 횡격막 근처처럼 아랫부분에 올 수도 있다. 통증은 가슴 내막에 분포된 민감한 신경종말에 가해지는 긴장이 원인이며, 숨을 들이쉴 때 통증이 가장 심하다. 폐경색증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객혈, 기침, 발열, 호흡곤란, 맥박수 증가, 늑막의 마찰감, 미약한 숨소리, 흉부 타진시 들리는 둔탁한 소리 등이다. 혈중 백혈구수와 침강률(적혈구의 침강속도)이 증가한다. 2~3일 내에 치료되지 않는 폐경색증은 보통 치유되는 데 2~3주 걸린다. 괴사조직은 반혼조직으로 대체된다.
* Pul. Paragonimiasis (폐흡충증=폐 디스토마)
폐흡충인 Paragonimus westermani가 기생하는 상태로 게, 가제, 방게 등 민물 게를 생식하여 발생. 유충이 침입한 후 1~3개월 사이에 유충의 자극에 의한 염증성 병변으로 나타남.
흡충이 폐내에 들어가서 충낭을 만들면 화농성 객담,혈담 나옴, 기침. 흉통,호흡곤란 있음.
피내반응검사-보조진단범으로 중요, 방법과 찬정이 간편, 즉시 결과 알수 있고 신뢰도 높음. 치료-bithionol 30mg/kg를 1일 3~4회, 15일간 복용함.
* Open Pneumothorax(개방성 기흉)
흉벽 상처로 인해 대기의 공기가 흉곽 안으로 빨려들어가 발생한 기흉임. 호흡 운동에 따라 공기가 상처를 통해 흉곽 안과 밖으로 들어갔다 나왔다 함.
소독된 거즈를 찾기 위해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처치자의 손과 손수건,타올,스카프 등으로 막음. 구조를 요청하는 동안 계속 상처를 압박하고 적합한 드레싱 기구가 준비됐을 때 단단히 드레싱 한 후 넓은 테이프로 고정. 의사 올때까지 환자 곁에서 긴장성 기흉 증상이나 종격동 변위 증상을 관찰. 호흡할때마다 공기가 흉벽상처를 통해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것(개방성기흉)도 위험하지만 흉막강내로 들어가기만하고 나가지 못하는 것(긴장성 기흉) 더 위험. 흉벽에 드레싱 한 후 긴장서 기흉이 발생시 즉시 드레싱을 떼냄.
* Rib Fx. (.늑골 골절)
골절 시 흉곽이 팽창, 수축할 때 통증 있음. 골편이 흉막이나 폐를 찔러 폐기능을 손상시킴. 통증으로 숨을 얕게 쉬고 기침을 하지 않고 분비물은 정체되어 무기폐나 폐렴 일어나기 쉬움.
심호흡과 기침을 자주 하도록 하고 체위를 자주 변경시키기, 통증을 없애고 기침 할때나 심호흡 할 때 가슴을 지지하여 더 편히 호흡하도록 도와줌. 통증 완화시키기 위해 골절 부위의 늑간신경을 procaine으로 차단하기도 함.
* Chronic bronchitis
기관기에 염증이 일어나서 기도의 점액 분비선이 붓고, 기관기가 좁아지며, 세기관지와 폐포주위가 손상되고 섬유화가 나타나는 상태
원인 - 잦은 급성 기관지염의 발생, 심한흡연, 심한공기오염, 선천적으로 기관지 약화,알러지
증상 - 기침,천명음. 점액성객담,고열,부종,청색증
추운곳이나 자극성 물질, 냄새 먼지가 많은 곳에 노출 되는 것을 방지. 휴식&정서적긴장 완화, 충분한 영양분과 수분섭취, 항생제, 기관지 확장제, 거담제 등 약물투여. 금연, 체 위배액과 물리요법을 통한 객담 배출.
* Tension pneumothorax (긴장성 기흉)
손상된 폐조직(기관지,폐포 등의 파열)을 통해 흡기시 매번 흉막강 내로 공기가 들어가지만 호기시에는 나오지 못한 매우 심한 기흉. 숨쉴때마다 흉막강내 포획되는 공기양은 늘어나 압력이 계속 증가.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흉막강내 압력이 증가하여 병소쪽 폐는 허탈되고 종격동 변위는 건강한 폐를 누르고 대혈관을 눌러서 심장으로 돌아오는 혈류장애 받음.
증상 - 청색증,심한 호흡곤란,후두와 기관의 변위 등 나타남.
치료 - 밀봉배액을 해서 공기를 제거하여 폐를 재팽창 시킴. 농흉이 되기 쉬우므로 항생제를 투여.
* Mediastinal flutter(심장압전)
심낭에 혈액이나 체액이 축적되어 심장을 압박하는 상태. 심장 초음파 검사와 심낭천자를 시행
* Empyema(농흉)
흉막강 내에 화농성 액체가 고인 상태로 폐렴,폐결핵,폐농양,흉부외상의 감염으로 발생.
진단 - 신체검진과 흉곽천자를 하여 천자액를 검사한 후 진단.
치료 - 밀봉배액을 배농시키고, 항생제 요법을 함. 흉막 섬유증이 초래되어 폐호나기를 억제하 면 유착된 흉막을 분리하는 수술인 흉막박리술을 함.
간호 - 호흡운도을 권장. 동맥혈 가스분석을 하여 저산소혈증이 있음 산소 투여. 밀봉배액간호 함. 개방배농 튜브나 개방성 상처에 드레싱 한 상태로 퇴원하는 경우 통목욕을 금지. 샤 워기를 세척.드레싱방법 교육.
증상 - 호흡곤란 나타남,누워 있을 때보다 잠깐 일어났다가 앉을 때 편함. 천명, 다량의 장액성 가래, 기침, 가슴 답답함, 식은땀, 불안감, 빈맥, 부정맥 등 있음.
치료 - 산소흡입을 실시, 강심제 특히 디기탈리스제,이뇨제를 투여. 필요시 혈액을 뽑아 심장의 부담을 가볍게 함.
* Pulmonary infarction(폐경색증)
혈액공급이 부족하여 폐조직의 일부 또는 여러 부분이 죽는 것. 혈액공급이 차단되거나 감소하는 것은 대개 폐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혈관이 막히는 것은 병든 심장에서 생성된 혈병)이 다른 혈액과 함께 폐로 들어오거나 혈액에 기포가 생기거나(2가지 경우 모두 색전증임), 폐에 있는 혈관 자체에서 생성된 응고물이 그 자리에 남아 있을 때(응고물을 혈전이라고 함)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폐가 건강할 때는 혈관이 막혀도 혈액이 다른 통로를 찾아 흐르므로 조직이 죽는 경우는 없다. 만일 폐충혈이나 폐에 염증이 있는 경우 또는 공기가 폐에 적당히 공급되지 않을 때 혈관이 막히면 폐경색증이 일어난다. 폐조직이나 폐를 둘러싸고 있는 흉막낭에는 신경종말이 없기 때문에 폐 깊숙한 곳에서 일어나는 경색은 통증이 없고, 바깥 표면까지 경색이 확대되면 폐와 흉막낭 사이의 공간에 액체와 혈액이 스며들게 된다. 흉막낭이 과도한 액체로 인해 팽창하면 폐를 부풀리기가 어렵게 된다. 통증을 느낄 정도가 되면 흉막에도 문제가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증은 갈비뼈 주변, 어깨, 목 등에 국소적으로 올 수도 있고, 혹은 흉부와 복부를 분리하는 횡격막 근처처럼 아랫부분에 올 수도 있다. 통증은 가슴 내막에 분포된 민감한 신경종말에 가해지는 긴장이 원인이며, 숨을 들이쉴 때 통증이 가장 심하다. 폐경색증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객혈, 기침, 발열, 호흡곤란, 맥박수 증가, 늑막의 마찰감, 미약한 숨소리, 흉부 타진시 들리는 둔탁한 소리 등이다. 혈중 백혈구수와 침강률(적혈구의 침강속도)이 증가한다. 2~3일 내에 치료되지 않는 폐경색증은 보통 치유되는 데 2~3주 걸린다. 괴사조직은 반혼조직으로 대체된다.
* Pul. Paragonimiasis (폐흡충증=폐 디스토마)
폐흡충인 Paragonimus westermani가 기생하는 상태로 게, 가제, 방게 등 민물 게를 생식하여 발생. 유충이 침입한 후 1~3개월 사이에 유충의 자극에 의한 염증성 병변으로 나타남.
흡충이 폐내에 들어가서 충낭을 만들면 화농성 객담,혈담 나옴, 기침. 흉통,호흡곤란 있음.
피내반응검사-보조진단범으로 중요, 방법과 찬정이 간편, 즉시 결과 알수 있고 신뢰도 높음. 치료-bithionol 30mg/kg를 1일 3~4회, 15일간 복용함.
* Open Pneumothorax(개방성 기흉)
흉벽 상처로 인해 대기의 공기가 흉곽 안으로 빨려들어가 발생한 기흉임. 호흡 운동에 따라 공기가 상처를 통해 흉곽 안과 밖으로 들어갔다 나왔다 함.
소독된 거즈를 찾기 위해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처치자의 손과 손수건,타올,스카프 등으로 막음. 구조를 요청하는 동안 계속 상처를 압박하고 적합한 드레싱 기구가 준비됐을 때 단단히 드레싱 한 후 넓은 테이프로 고정. 의사 올때까지 환자 곁에서 긴장성 기흉 증상이나 종격동 변위 증상을 관찰. 호흡할때마다 공기가 흉벽상처를 통해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것(개방성기흉)도 위험하지만 흉막강내로 들어가기만하고 나가지 못하는 것(긴장성 기흉) 더 위험. 흉벽에 드레싱 한 후 긴장서 기흉이 발생시 즉시 드레싱을 떼냄.
* Rib Fx. (.늑골 골절)
골절 시 흉곽이 팽창, 수축할 때 통증 있음. 골편이 흉막이나 폐를 찔러 폐기능을 손상시킴. 통증으로 숨을 얕게 쉬고 기침을 하지 않고 분비물은 정체되어 무기폐나 폐렴 일어나기 쉬움.
심호흡과 기침을 자주 하도록 하고 체위를 자주 변경시키기, 통증을 없애고 기침 할때나 심호흡 할 때 가슴을 지지하여 더 편히 호흡하도록 도와줌. 통증 완화시키기 위해 골절 부위의 늑간신경을 procaine으로 차단하기도 함.
* Chronic bronchitis
기관기에 염증이 일어나서 기도의 점액 분비선이 붓고, 기관기가 좁아지며, 세기관지와 폐포주위가 손상되고 섬유화가 나타나는 상태
원인 - 잦은 급성 기관지염의 발생, 심한흡연, 심한공기오염, 선천적으로 기관지 약화,알러지
증상 - 기침,천명음. 점액성객담,고열,부종,청색증
추운곳이나 자극성 물질, 냄새 먼지가 많은 곳에 노출 되는 것을 방지. 휴식&정서적긴장 완화, 충분한 영양분과 수분섭취, 항생제, 기관지 확장제, 거담제 등 약물투여. 금연, 체 위배액과 물리요법을 통한 객담 배출.
* Tension pneumothorax (긴장성 기흉)
손상된 폐조직(기관지,폐포 등의 파열)을 통해 흡기시 매번 흉막강 내로 공기가 들어가지만 호기시에는 나오지 못한 매우 심한 기흉. 숨쉴때마다 흉막강내 포획되는 공기양은 늘어나 압력이 계속 증가.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흉막강내 압력이 증가하여 병소쪽 폐는 허탈되고 종격동 변위는 건강한 폐를 누르고 대혈관을 눌러서 심장으로 돌아오는 혈류장애 받음.
증상 - 청색증,심한 호흡곤란,후두와 기관의 변위 등 나타남.
치료 - 밀봉배액을 해서 공기를 제거하여 폐를 재팽창 시킴. 농흉이 되기 쉬우므로 항생제를 투여.
* Mediastinal flutter(심장압전)
심낭에 혈액이나 체액이 축적되어 심장을 압박하는 상태. 심장 초음파 검사와 심낭천자를 시행
* Empyema(농흉)
흉막강 내에 화농성 액체가 고인 상태로 폐렴,폐결핵,폐농양,흉부외상의 감염으로 발생.
진단 - 신체검진과 흉곽천자를 하여 천자액를 검사한 후 진단.
치료 - 밀봉배액을 배농시키고, 항생제 요법을 함. 흉막 섬유증이 초래되어 폐호나기를 억제하 면 유착된 흉막을 분리하는 수술인 흉막박리술을 함.
간호 - 호흡운도을 권장. 동맥혈 가스분석을 하여 저산소혈증이 있음 산소 투여. 밀봉배액간호 함. 개방배농 튜브나 개방성 상처에 드레싱 한 상태로 퇴원하는 경우 통목욕을 금지. 샤 워기를 세척.드레싱방법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