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으로 쉽게 촉지가능, 심첨위부분 3,4번째 늑골관과 왼쪽쇄골 중심선이 만나는 부위
18. 청진기의 구조, 사용법설명(판막형, 벨혈)
크고 납작한 판막형-낮은음을 배제하기 때문에 호흡음과 같은 높은음의 소리를 듣는데 유용(장, 폐음)
구멍이 있고 수직으로 구부러진 종형-높은 음을 배제하기 때문에 신장이나 혈관내의 혈맥소리와 같은 낮은 음을 듣는데 유용
19. Pulse Deficit(맥박결손)이란?
심첨맥박과 요골맥박의 차이가 10이상-심장수출력의 약화상태반영
20. 맥박율이 상승하거나 감소하는데 영향하는 요인?
통증, 공포분노불안 등의 정서적 자극, 장기간의 열적용, 혈액손실과 같은 혈압하강, 체온상승 투약 ex)epinephnine codrenalin 운동 : 증가된 혈약량 요구에 적응하기 위해 보상능력 발휘
21. 호흡을 정확한 방법으로 측정하기 위해 유의할점
맥박률을 측정한 후에 계속 손가락을 맥박 측정부위에 댄 채로 대상자의 호흡수를 측정한다. 매 흡기와 호기시마다 대상자의 흉곽이 올라가고 내려가는 것에 주의
22. 정상호흡(eupnea)이란?
정상상태 성인인 경우 분당 약 16~20회를 의미(영아와 어린이는 더 빠르게 급증)
맥박 4회당 호흡 1회
23. 측정한 호흡과 맥박을 기록하고 비정상인 경우 취해야 할 간호사 행동
비정상이면 1분동안의 호흡률을 측정한다.(1분간 호흡을 측정하면 호흡간의 불규칙성을 사정할 수 있다.) 호흡률과 그 특성을 사정하는데 필요하다면 반복 측정한다. 기록지에 이상이 있을 시 보고한다.
24. 혈압에 대하여 정의(중추와 수축기압과 이완압의 생리적 근거)
25. 혈압측정시 준비품(혈압계의 종류포함)
청진기, 혈압계(수은, 아네로이드 혈압계), 알코올, 솜, 기록지, 펜
26. 혈압계의 구조와 기능(cuff의 넓이 포함)
커프와 압력계로 구성, 커프는 팔, 대퇴위의 2/3을 덮어야 하고, 너비는 상박, 대퇴둘레의 40%, 대퇴중심부 직경의 20%, 길이는 상박둘레의 80%
27. 혈압측정 시 환자준비(상와와 대퇴의 청진 동맥, 커프하단의 위치, 커프압팽창정도, 반복측정시 태도, 커프압제거속도)
상와 : 커프하단의 팔꿈치 안쪽에서 2.5~5cm(1~2inch)
대퇴 : 무릎 뒤 슬와 동맥 윗부분
반복측정시 태도 : 요골맥박이 멈춘후 30더 올리고 30~60초간 기다려서 측정부위의 팔이 정상이 된 다음, 다시 시도한다. 혈압측정할 때 소리가 듣기 힘든 대상자는 15초간 팔을 머리 위로 올기헤 한 다음 커프에 공기를 넣고 지지하며 서서히 팔을 내린다.
커프압제거속도 : 20씩 떨어지도록
수기 p. 62~63
28. 수축기압(PS)과 이완압(PDI,I)은 Korotkoff sound에서 어느 단계인가(성인, 소아)
수축기압(PS)-1단계
이완압(PDI-Ⅰ)-4단계(소아)
PDI-Ⅱ : 5단계(성인)
29. Pulse pressure(맥압)이란, 정상치 포함
수축기압과 이완기압의 차이 120(수축)/80(이완) 맥압=40
30. 혈압측정시 오류의 원인(높게, 낮게)
p.348-349
31. 그래프용지 기록법
18. 청진기의 구조, 사용법설명(판막형, 벨혈)
크고 납작한 판막형-낮은음을 배제하기 때문에 호흡음과 같은 높은음의 소리를 듣는데 유용(장, 폐음)
구멍이 있고 수직으로 구부러진 종형-높은 음을 배제하기 때문에 신장이나 혈관내의 혈맥소리와 같은 낮은 음을 듣는데 유용
19. Pulse Deficit(맥박결손)이란?
심첨맥박과 요골맥박의 차이가 10이상-심장수출력의 약화상태반영
20. 맥박율이 상승하거나 감소하는데 영향하는 요인?
통증, 공포분노불안 등의 정서적 자극, 장기간의 열적용, 혈액손실과 같은 혈압하강, 체온상승 투약 ex)epinephnine codrenalin 운동 : 증가된 혈약량 요구에 적응하기 위해 보상능력 발휘
21. 호흡을 정확한 방법으로 측정하기 위해 유의할점
맥박률을 측정한 후에 계속 손가락을 맥박 측정부위에 댄 채로 대상자의 호흡수를 측정한다. 매 흡기와 호기시마다 대상자의 흉곽이 올라가고 내려가는 것에 주의
22. 정상호흡(eupnea)이란?
정상상태 성인인 경우 분당 약 16~20회를 의미(영아와 어린이는 더 빠르게 급증)
맥박 4회당 호흡 1회
23. 측정한 호흡과 맥박을 기록하고 비정상인 경우 취해야 할 간호사 행동
비정상이면 1분동안의 호흡률을 측정한다.(1분간 호흡을 측정하면 호흡간의 불규칙성을 사정할 수 있다.) 호흡률과 그 특성을 사정하는데 필요하다면 반복 측정한다. 기록지에 이상이 있을 시 보고한다.
24. 혈압에 대하여 정의(중추와 수축기압과 이완압의 생리적 근거)
25. 혈압측정시 준비품(혈압계의 종류포함)
청진기, 혈압계(수은, 아네로이드 혈압계), 알코올, 솜, 기록지, 펜
26. 혈압계의 구조와 기능(cuff의 넓이 포함)
커프와 압력계로 구성, 커프는 팔, 대퇴위의 2/3을 덮어야 하고, 너비는 상박, 대퇴둘레의 40%, 대퇴중심부 직경의 20%, 길이는 상박둘레의 80%
27. 혈압측정 시 환자준비(상와와 대퇴의 청진 동맥, 커프하단의 위치, 커프압팽창정도, 반복측정시 태도, 커프압제거속도)
상와 : 커프하단의 팔꿈치 안쪽에서 2.5~5cm(1~2inch)
대퇴 : 무릎 뒤 슬와 동맥 윗부분
반복측정시 태도 : 요골맥박이 멈춘후 30더 올리고 30~60초간 기다려서 측정부위의 팔이 정상이 된 다음, 다시 시도한다. 혈압측정할 때 소리가 듣기 힘든 대상자는 15초간 팔을 머리 위로 올기헤 한 다음 커프에 공기를 넣고 지지하며 서서히 팔을 내린다.
커프압제거속도 : 20씩 떨어지도록
수기 p. 62~63
28. 수축기압(PS)과 이완압(PDI,I)은 Korotkoff sound에서 어느 단계인가(성인, 소아)
수축기압(PS)-1단계
이완압(PDI-Ⅰ)-4단계(소아)
PDI-Ⅱ : 5단계(성인)
29. Pulse pressure(맥압)이란, 정상치 포함
수축기압과 이완기압의 차이 120(수축)/80(이완) 맥압=40
30. 혈압측정시 오류의 원인(높게, 낮게)
p.348-349
31. 그래프용지 기록법
추천자료
충수돌기염(Appendectitis)-성인간호학실습
제왕절개(C/S)사례보고서- 모성간호학실습
기본간호학-병원에서 사용하는 소독, 멸균방법
간호학의 기본 개념
나이팅게일간호론,기본간호학
[간호학]기본간호학 - 호스피스환자의 통증과 증상관리
[성인간호학실습] stomach cancer(위암)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위관영양 프로토콜 (기본간호학)
수술실 체크 리스트 OR check list 실습 [업무파악], [소독/멸균], [수술기본]
<기본간호학>항상성유지와 응급간호
성인간호학)기본간호학) 상처간호 욕창간호
정신간호학) 정신건강간호학의 기본개념
<모성간호학 실습> 산부인과 케이스 스터디 : Leiomyoma of uterus(자궁근종)
[간호학] 정신건강 간호학의 기본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