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간호학-병원에서 사용하는 소독, 멸균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소독 및 멸균

2. 소독 및 멸균과 관련된 용어 정의
1) 멸균(sterilization)
2) 소독(disinfection)
3) 소독제(disinfectants)
4) 피부소독제(antiseptics)
5) 오염제거(decontamination)
6) 세척(cleaning)

3. 의료 기구의 소독 및 멸균
1) 멸균하여야 할 물품
2) 강한 수준의 소독이 필요한 물품
3) 약한 수준의 소독이 필요한 물품

4. 소독 지침
1) 효과적인 소독을 위한 조건
2) 이상적인 소독제의 조건
3) 소독제의 종류

5. 소독법의 실제
1) 손소독
2) 수술재료의 소독
3) 의류, 침구 등의 소독
4) 전염병환자의 퇴원 때 소독
5) 시체의 소독
6) 객담, 대소변, 토물 등 배설물의 소독
7) 전염병환자의 병실소독
8) 서적류의 소독
9) Glass, 도자기, 죽목제품의 소독
10) 식기의 소독
11) 실내, 상, 돗자리 좌석, 전화, 목욕탕 등의 소독
12) 가죽, 고무, 종이, 도물 등의 소독
13) 우물, 오수의 소독
14) 변소의 소독

5. 멸균 지침
1) 멸균법의 종류
① 물리적 멸균
② 화학적 멸균
2) 멸균의 확인

6. 참고문헌(References)

본문내용

한다.
* 200배 희석액 = 원액 50 ml + 보통 물 10 liter
- Glutaraldehyde(Wydex)
·용도 및 효과
렌즈가 달린 내시경류, 마취장비, 인공호흡기의 부속물품, 수술기구, 체온계 및 가열멸균할 수 없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제품류의 살균소독시에 사용한다.
-6-
· 멸균에 소요되는 시간
B형간염바이러스 ; 5 - 10분
결핵균 ; 5 - 10분
Pseudomonas균 ; 15 - 30분
Gtam 양성 및 음성균 ; 15 - 30분
아포균 종류 ; 30 - 60분
· 사용방법
사용한 물품을 세척용액으로 깨끗이 씻는다.
소독할 물품을 Wydex액에 완전히 담군다.
체액 등이 묻지 않은 기구의 소독 ; 30분 이상 담군다.
체액 등이 묻은 기구의 소독 ; 1시간 이상 담군다.
침적후 건져낸 물품은 멸균수로 충분히 씻는다.
- Activated dialdehyde(Surgikos)
· 용도 및 효과
렌즈가 달린 내시경류, 카테터, 주사기, 수술기구, 체온계 및 가열멸균할 수 없는 고무 또 는 플라스틱제품류의 살균소독시에 사용한다.
· 사용방법
사용한 물품을 세척용액으로 깨끗이 씻는다.
활성화제제(activator)를 플라스틱 용기안의 dialdehyde용액에 첨가하여 활성화된 용액으 로 만드는데 혼합한 뒤 곧 무색의 용액이 녹청색으로 변하면 활성화가 된 것이다(활성화 제제는 녹이 생기는 것을 억제 하는 작용이 있음).
소독할 물품을 activated dialdehyde액에 완전히 담군 다음에 용액의 증발을 막기 위하여 뚜껑을 덮는다.
·침적시간
바이러스균 ; 10분
Pseudomonas균 ; 10분
결핵균 ; 45분
Clostridium sporogenes 및 Bacillius subtilis와 같은 내성균 포자 : 10시간
·침적후 건져낸 물품을 멸균수로 충분히 씻은 다음 건조시킨다.
·활성화된 용액의 유효기간은 14일이므로 유효기간이 지난 용액은 사용하지 않는다.
- Instrument solution
Sodium nitrite와 10% benzalconium이 주성분이며 관절경, 방광경 그리고 내시경 등의 기구소독에 적합한 소독제로서 사용한 기구를 흐르는 물에 잘 세척하고 이 소독제에 5 - 10분간 담군 다음에 사용한다.
-7-
2) 멸균의 확인
① 멸균소독기의 효과 확인
멸균소독기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크게 4가지가 있다.
· 보비-딕 검사 : 매일 사용전에 검사용 물품을 이용하여 시험한다.
· 기계적 멸균 확인 : 멸균시간, 온도 및 압력을 기록용 챠트에 자동 기록함으로써 기께 작동상태를 점검하여 멸균 소독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 생물학적 효과 측정 : 모든 멸균소독기는 최소한 1주일에 1번 아포를 이용하여 멸균
효과를 측정한다.
· 화학적 멸균 확인 : 멸균 확인용 테이프를 물품에 붙여서 멸균 처리 한 후 테이프의 색이 변화되었는지 확인한다.
② 멸균물품의 확인
포장에 구멍이 있거나 찢어졌거나 젖었을 때는 멸균 상태가 확인되지 않으므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6. 참고 문헌(References)
· 경희의료원 감염관리위원회. 병원감염관리지침. 1995
· 김동수 : 호흡관리의 실제. 서울 : 군자출판사. 1995 p. 732 - 740
· 서울대학교병원 감염관리위원회. 병원감염관리지침. 1993
· Wyngaarden JB, et al. Textbook of medicine. 19th ed, Philadelphia : WB Saunders CO., 1992;1589-1594
· 간호실무기초 ∥, 은하출판사지침
· http://nopain365.com/disinf.html
-8-

키워드

병원,   소독,   멸균,   간호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7.04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28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