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2. 문헌고찰
1) 순환 간호사와 소독 간호사의 역할
2) 멸균 및 소독
3) 멸균된 기구 다루는 법
4) 손 소독법
5) 가운 착용법
6) 장갑 착용법
7) 수술 환자의 체위
8) 마취 방법
Ⅱ. 본 론
1. 실습 내용
2. 실습 과제
1) 수술실의 조직적 구조
2) 수술팀
3) 경험한 case
4) 한 case를 자세히 수술 절차에 대해 기록
•경막하 혈종(subdural hematoma)
Ⅲ. 결 론
1) 정리 제언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2. 문헌고찰
1) 순환 간호사와 소독 간호사의 역할
2) 멸균 및 소독
3) 멸균된 기구 다루는 법
4) 손 소독법
5) 가운 착용법
6) 장갑 착용법
7) 수술 환자의 체위
8) 마취 방법
Ⅱ. 본 론
1. 실습 내용
2. 실습 과제
1) 수술실의 조직적 구조
2) 수술팀
3) 경험한 case
4) 한 case를 자세히 수술 절차에 대해 기록
•경막하 혈종(subdural hematoma)
Ⅲ. 결 론
1) 정리 제언
본문내용
사용되고 있다.
일반 수술대는 원하는 체위로 수술대를 조절하여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② 특수 장비와 수술대 부속품 (Special Equipment and Table Attachment)
ⓐ 안전띠, 무릎가죽띠 : Nylon띠 혹은 고무와 같은 전도성이 있는 물질의 넓고 튼튼한 끈을 다리의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해 다리 주변에 묶는다.
ⓑ 마취커튼 : 금속성의 막대기에 환자의 얼굴로부터 커튼을 쳐서 멸균영역과 비멸균 영역을 구분한다.
ⓒ 팔지지대 (Arm board) : 환자의 IV 주입, 팔이나 손이 수술부위일 때, 팔이 수술 부위에 접근하는 것을 방해할 때, 팔을 수술하기 위한 수술대의 공간이 부족할 때, 측위시에 수술 받지 않은 팔에 지지를 요구할 때 사용한다.
ⓓ 패드 : 패드는 신체의 특정한 부분을 들어올리는 경우에 사용한다.
ⓔ 베개와 모래주머니 : 해부학적 구조를 유지시키기 위한 다양한 크기와 형태는 각 부분을 움직이지 않게 하거나 지지한다.
도넛모양의 고무패드나 모래주머니는 머리나 얼굴을 수술할 경우 사용한다.
3) 수술부위 피부 소독
피부 준비는 피부에 있는 세균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세균이 조직 깊숙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수술 부위 피부의 청결과 삭모가 이루어진다. 우선 수술 전 수일간 방부제 비누로 수술 부위를 청결히 해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수술 전날 저녁에는 수술 부위에 방부제 비누를 사용하여 5~10분간 부드럽게 닦아서 세균 수를 감소시킨다.
수술 부위의 피부를 소독하는 목적은 수술 절개부위로 병원균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수술 부위의 피부는 환자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향균 세제로 기계적으로 문지르거나 닦는다. 주로 원을 그리며 깨끗한 쪽(절개할 부분) 에서 더러운 쪽(말초 부위)으로 소독한다. 수술 부위 주변도 여유롭게 소독하여 수술 부위를 한 층 더 보호하고 수술시 예상치 못한 경우에 대비한다. 수술 부위의 피부가 준비되고 나면 소독간호사를 포함하여 직접 수술에 임하는 수술팀원이 해당 부위를 덮되, 절개에 필요한 부위만 노출되도록 한다.
6) 수술방 준비
(1) 전신마취기
마취가스를 들이마시게 하여 마취하는 의료기구. 마취가스를 넣은 실린더, 압력계가 달린 감압장치, 유량계, 판막장치, 기화기, 탄산가스 흡착기 따위로 이루어져 있다.
① 기화기 : 액체로 된 휘발성 흡입마취제를
가스상태로 증발시키는 장치
② 유량계 : 산소와 아산화질소의 분당 공급량을 표시해주는 장치
③ CO2 흡수장치
④인공호흡기 조절 : 환자에게 산소와 아산화
질소 그리고 흡입마취가스 를 공급
⑤ .심전도 등 감시장치
⑥ 호기밸브
⑦ 흡기밸브
⑧ 호흡백 연결관
⑨ 압력계
가스통연결판
1.배기밸브
흡입마취제
휘발성 전신마취제 enflurane
isoflurane
sevoflurane
기화기
→ 일정한 휘발성 흡입, 마취제를 증발
→ 여기에서 증발된 마취가스는 일정한 농도로 산소 및 아산화질소와 함께 환자의 폐 내로
주입
유량계
환자에게 주입하는 산소 및 아산화질소의 양을 측정조절
→ 산소는 초록색
→ 아산화질소는 청색으로표시
마취환자의 폐로부터 배출되는 마취가스 (산소포함) 중에서 탄산가스만 흡수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12~19%의 수분을 함유한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calcium hydroxide의 혼합물로 만들어져 있다.
소다라임 한 과립의 크기⇒ 보통 2.5mm정도
의료용 소다라임
→일정한 크기의 입자로 제작되어 캐니스터내에서 공극을 최대화
→캐니스터에 일회 담을수 있는양을 포장지에 담아 밀봉하였다가 사용함
→탄산가스의 흡수능력을 그대로 유지
→8~4mesh의 크기로 만들어지는 낱알을 종이 또는 비닐재인 외장재와 알루미늄재인 내장재로 이루어진 기밀용기의 완충공간에 1회사용량으로 밀봉
(2) 수술실 장비 및 기계
Operative table(침대)
Fracture table - Femur neck 골절시 사용
Operative light(무영등)
- 광원을 집중시켜서 목적하는 부위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조명하는 전등 장치. 주로 수술실에서 쓴다.
Bovie
- 반드시 환자몸에 plate를 부착할 것
- 고주파이므로 환자의 몸에 쇠붙이(귀금속, 틀니, 머리핀, 등)가 없는지 확인할 것
- irrigation 등으로 물이 많이 흐를 가능성 이 있는 곳은 plate를 대지 말 것
- 소아나 특수수술은 전력세기에 신경
쓰고, 낮은 power부터 서서히 올릴 것
Bipolar - forceps 끝으로 조직을 물어서 소작효과를 낸다.
- 전류가 forceps 끝에서 흐르고, 환자를 통하지 않고 발전기로 가므로
접지가필요 없다.
- 젖어있는 상태에서 작용잘됨
Argon laser - 작동시 청색빛을 내며 blood 있는 곳에서만 작동됨
Co2 laser - 조직의 절개, 절제에 사용, laryngeal polyp 제거시 사용
Cusa(초음파 분쇄기) - liver 자를 경우, tumor 수술시 사용
Micrescope - 미세한 수술에 주로 사용
Loupe - 안경처럼 쓰는 확대경,
보통 2배정도
hyperex - 40~46°C 정도의 lactated solution에 항암제를 희석시켜 2시간여 동안
복강내를 지속적으로 관류세척하여 암세포를 차단시킬 목적으로 쓰는 기구
Doppler - 혈행주행 소리로 혈관의 막힘 유무를 알기 위함
Dermabrasion - 성형외과에서 흉터, 수두자국 등의 흉터를 갈아낼 목적으로 사용
. Croyosurgery - 백내장 수술시 수정체낭과 피질을 얼려서 꺼낼 목적으로 사용
Autoclave 소독기 - 고체온압 소독기
Ethylene oxyole gas기 - 저온(56°C)멸균 소독기
Dermatome - air나 전기를 이용하여 donor용 피부를 떼어 낼 시 사용
Sterris 소독기 - 35% 과초산 소독
Sterrad 소독기 - 58% H2O2 소독기에 비해 짧은 시간에 소독되며 인체에 해 없다.
.수술 준비대
Debricler - 비강 내 병든 점막 등을
일반 수술대는 원하는 체위로 수술대를 조절하여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② 특수 장비와 수술대 부속품 (Special Equipment and Table Attachment)
ⓐ 안전띠, 무릎가죽띠 : Nylon띠 혹은 고무와 같은 전도성이 있는 물질의 넓고 튼튼한 끈을 다리의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해 다리 주변에 묶는다.
ⓑ 마취커튼 : 금속성의 막대기에 환자의 얼굴로부터 커튼을 쳐서 멸균영역과 비멸균 영역을 구분한다.
ⓒ 팔지지대 (Arm board) : 환자의 IV 주입, 팔이나 손이 수술부위일 때, 팔이 수술 부위에 접근하는 것을 방해할 때, 팔을 수술하기 위한 수술대의 공간이 부족할 때, 측위시에 수술 받지 않은 팔에 지지를 요구할 때 사용한다.
ⓓ 패드 : 패드는 신체의 특정한 부분을 들어올리는 경우에 사용한다.
ⓔ 베개와 모래주머니 : 해부학적 구조를 유지시키기 위한 다양한 크기와 형태는 각 부분을 움직이지 않게 하거나 지지한다.
도넛모양의 고무패드나 모래주머니는 머리나 얼굴을 수술할 경우 사용한다.
3) 수술부위 피부 소독
피부 준비는 피부에 있는 세균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세균이 조직 깊숙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수술 부위 피부의 청결과 삭모가 이루어진다. 우선 수술 전 수일간 방부제 비누로 수술 부위를 청결히 해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수술 전날 저녁에는 수술 부위에 방부제 비누를 사용하여 5~10분간 부드럽게 닦아서 세균 수를 감소시킨다.
수술 부위의 피부를 소독하는 목적은 수술 절개부위로 병원균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수술 부위의 피부는 환자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향균 세제로 기계적으로 문지르거나 닦는다. 주로 원을 그리며 깨끗한 쪽(절개할 부분) 에서 더러운 쪽(말초 부위)으로 소독한다. 수술 부위 주변도 여유롭게 소독하여 수술 부위를 한 층 더 보호하고 수술시 예상치 못한 경우에 대비한다. 수술 부위의 피부가 준비되고 나면 소독간호사를 포함하여 직접 수술에 임하는 수술팀원이 해당 부위를 덮되, 절개에 필요한 부위만 노출되도록 한다.
6) 수술방 준비
(1) 전신마취기
마취가스를 들이마시게 하여 마취하는 의료기구. 마취가스를 넣은 실린더, 압력계가 달린 감압장치, 유량계, 판막장치, 기화기, 탄산가스 흡착기 따위로 이루어져 있다.
① 기화기 : 액체로 된 휘발성 흡입마취제를
가스상태로 증발시키는 장치
② 유량계 : 산소와 아산화질소의 분당 공급량을 표시해주는 장치
③ CO2 흡수장치
④인공호흡기 조절 : 환자에게 산소와 아산화
질소 그리고 흡입마취가스 를 공급
⑤ .심전도 등 감시장치
⑥ 호기밸브
⑦ 흡기밸브
⑧ 호흡백 연결관
⑨ 압력계
가스통연결판
1.배기밸브
흡입마취제
휘발성 전신마취제 enflurane
isoflurane
sevoflurane
기화기
→ 일정한 휘발성 흡입, 마취제를 증발
→ 여기에서 증발된 마취가스는 일정한 농도로 산소 및 아산화질소와 함께 환자의 폐 내로
주입
유량계
환자에게 주입하는 산소 및 아산화질소의 양을 측정조절
→ 산소는 초록색
→ 아산화질소는 청색으로표시
마취환자의 폐로부터 배출되는 마취가스 (산소포함) 중에서 탄산가스만 흡수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12~19%의 수분을 함유한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calcium hydroxide의 혼합물로 만들어져 있다.
소다라임 한 과립의 크기⇒ 보통 2.5mm정도
의료용 소다라임
→일정한 크기의 입자로 제작되어 캐니스터내에서 공극을 최대화
→캐니스터에 일회 담을수 있는양을 포장지에 담아 밀봉하였다가 사용함
→탄산가스의 흡수능력을 그대로 유지
→8~4mesh의 크기로 만들어지는 낱알을 종이 또는 비닐재인 외장재와 알루미늄재인 내장재로 이루어진 기밀용기의 완충공간에 1회사용량으로 밀봉
(2) 수술실 장비 및 기계
Operative table(침대)
Fracture table - Femur neck 골절시 사용
Operative light(무영등)
- 광원을 집중시켜서 목적하는 부위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조명하는 전등 장치. 주로 수술실에서 쓴다.
Bovie
- 반드시 환자몸에 plate를 부착할 것
- 고주파이므로 환자의 몸에 쇠붙이(귀금속, 틀니, 머리핀, 등)가 없는지 확인할 것
- irrigation 등으로 물이 많이 흐를 가능성 이 있는 곳은 plate를 대지 말 것
- 소아나 특수수술은 전력세기에 신경
쓰고, 낮은 power부터 서서히 올릴 것
Bipolar - forceps 끝으로 조직을 물어서 소작효과를 낸다.
- 전류가 forceps 끝에서 흐르고, 환자를 통하지 않고 발전기로 가므로
접지가필요 없다.
- 젖어있는 상태에서 작용잘됨
Argon laser - 작동시 청색빛을 내며 blood 있는 곳에서만 작동됨
Co2 laser - 조직의 절개, 절제에 사용, laryngeal polyp 제거시 사용
Cusa(초음파 분쇄기) - liver 자를 경우, tumor 수술시 사용
Micrescope - 미세한 수술에 주로 사용
Loupe - 안경처럼 쓰는 확대경,
보통 2배정도
hyperex - 40~46°C 정도의 lactated solution에 항암제를 희석시켜 2시간여 동안
복강내를 지속적으로 관류세척하여 암세포를 차단시킬 목적으로 쓰는 기구
Doppler - 혈행주행 소리로 혈관의 막힘 유무를 알기 위함
Dermabrasion - 성형외과에서 흉터, 수두자국 등의 흉터를 갈아낼 목적으로 사용
. Croyosurgery - 백내장 수술시 수정체낭과 피질을 얼려서 꺼낼 목적으로 사용
Autoclave 소독기 - 고체온압 소독기
Ethylene oxyole gas기 - 저온(56°C)멸균 소독기
Dermatome - air나 전기를 이용하여 donor용 피부를 떼어 낼 시 사용
Sterris 소독기 - 35% 과초산 소독
Sterrad 소독기 - 58% H2O2 소독기에 비해 짧은 시간에 소독되며 인체에 해 없다.
.수술 준비대
Debricler - 비강 내 병든 점막 등을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정형외과 골절 케이스 간호진단 및 과정
모성간호학 실습 자궁근종 케이스
성인간호학(암병동 케이스)
정신간호학 컨퍼런스, 케이스 스터디 - 양극성장애 Bipolar 1. manic
수술실-cabg(관상동맥우회술) 케이스 스터디
모성간호학 분만실 정산분만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컨퍼런스. 실습지침서
지역사회간호학 지역가족간호 가족간호 케이스 스터디 a+ 간호학과 간호과 보건소
여성간호학 제왕절개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실습 A+받은 폐렴 케이스입니다. 문헌고찰부터 간호진단, 느낀점, 출처까지 기재되...
성인간호학실습 A+받은 방광암 케이스입니다. 문헌고찰,간호진단 포함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폐렴 케이스폐렴 간호과정Pneumonia case study A+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경막하혈종 케이스경막하혈종 간호과정SDH case studyICU실습 A+
여성간호학 임상실습 유방암 케이스유방암 간호과정유방암 간호진단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