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연구의 필요성& 목적
★ 폐렴 문헌고찰
★ Nebulizer 문헌고찰
★ 연구 기간 & 방법
★ 환아 자료 수집
★ 투약기록
★ 검사 자료
★ 간호 진단
★ 폐렴 문헌고찰
★ Nebulizer 문헌고찰
★ 연구 기간 & 방법
★ 환아 자료 수집
★ 투약기록
★ 검사 자료
★ 간호 진단
본문내용
개방시켜준다.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6/22~27
규칙 적인 식사시간에 식사를 하였다.
아침:7시 점심:12시
저녁:6시
6/22~27
ⓝ,ⓢ- 하루한번 체중을 측정하였다.(제가 있을땐 제가 없을땐 선생님께서)
6/22
16kg
6/23
15.2kg
6/24
15.5kg
6/25
15.3kg
6/26
15.9kg
6/27
16.3kg
6/23~27
ⓢ- 깨끗한 환경을 위해 보호자가 원할 때 시트를 갈아 드렸다.
6/23
ⓝ- AM7:00 환아 보호자에게 아이가 코가 막혀서 입으로 숨을 쉬면 생이식염수 소량을 코 속에 점적하여 코 속 분비물을 제거 하도록 교육하였다.
영양부족 증상 없이 소아식을 섭취했다.
3일 이내 소변량이 증가했다.
입원동안 체중저하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4 입원과 관련된 불안
간호 사정
간호 계획
간호 수행
간호 평가
Sub.data
우리아이가 너무 아파해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아이가 병원에 입원한게 처음이라서 아무것도 모르겠어요
Obj. data
엄마가 아이를 많이 걱정하고, 열 측정 시 열이 높다고 하면 울 것 같은 표정을 지음.
아이 IV Line잡을 때 눈물을 보임
Nursing diagnosis
입원과 관련된 불안
Nursing goal
장기목표
- 병원 생활에 익숙해 지도록 돕는다.
- 아이의 질병 치료에 협조적이게 된다.
-
단기 목표
- 병원의 지리를 알게된다.
Nursing plan
병동안내, 병실 안내 시행한다.
질병의 단계와 예후에 대해 설명한다.
아동과 가족에게 간호 수행 시 설명 후 시행한다.
질문 하도록 격려한다.
정서적 지지를 한다.
아동의 감정표현을 돕기 위해 아동이 좋아하는 것을 하게 한다.
같은 병을 앓고 있는 아이의 부모와 대화를 할 수 있게 한다.
6/22
ⓝ- 내원시 병동안내, 병실안내를 설명하였다. ( 병실의 위치, 화장실의 위치, 다용도실의 위치와 사용방법, 병실안에 콜벨과 전화기 사용방법, 도난 방지를 위해 조심할 것 등을 설명하심)
6/22~27
ⓝ,ⓢ- 약을 줄때나, 투약등 을 시행할 때 약의 사용이유를 간단히 설명하였다.
DEXTROSE &
NAK
수액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ALPORIN
항생제입니다.
KLARICID
항생제입니다
COPAN
진해 거담제 로써 가래를 제거해 줍니다.
PROSPAN
진해 거담제 로써 가래를 제거해 줍니다.
VENTOLINE
진해 거담제 로써 가래를 제거해 줍니다.
TYLENOL
해열제로 열을 내립니다.
6/23~27
ⓢ- 병실에 들어가면 환아에게 말을 걸고 질문에 대답할 수 있도록 격려 하였다.
(처음에는 낯선지 대답을 피하고 엄마에게 안겼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대답도 잘하고 먼저 말을 걸어올 정도로 친해졌다.)
6/23
ⓢ- PM 9:00
환아의 보호자에게 먼저입원 해있던 옆 침대 환아의 보호자를 소개해 주었다.
6/23~27
ⓝ,ⓢ- 보호자가 환아의 아파하는 모습에 힘들어 할 때면
이럴 때 일수록 엄마가 힘을 내셔야 한다며 격려해 주었다.
6/22~27
ⓝ,ⓢ- 보호자의 질문에 성심성의 것 답을 해 주었다.
거의 무표정에 가깝던 아이의 얼굴이 엄마와 있을 때 밝아졌다.
질문에 대답도 안하던 아이가 질문에 대답을 하였다.
#5 환경 변화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간호 사정
간호 계획
간호 수행
간호 평가
Sub.data
아이가 침대에서 일어날 때 위험한것 같아요.
아이가 자고있는데 잠시 자리를 비워야 할것같은데 떨어지면 어쩌죠?
Obj. data
활력징후를 측정하러 갔을 때 아이가 링겔줄을 가지고 놀다 침상 밖으로 휘청거리는 모습을 보았다.
아이의 낙상 점수가
5.00l다.
Nursing diagnosis
환경 변화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Nursing goal
장기 목표
-아이의 낙상 점수가 낮아질 것이다.
단기 목표
- 아이가 낙상을 하지 않게 각별한 주의를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Nursing plan
침상 난간을 올리도록 교육한다.
낙상 위험에 대하여 환자에게 교육한다.
바닥이나 침상 주변의 물건을 정리한다.
6/22
ⓝ- 내원당시 낙상의 위험성을 알리고, 항상 침상 난간을 올릴것을 설명드림.
(ⓛ낙상예방지침을 교육
② side rail을 반드시 올려주며
③ 환자와 보호자에게 side rail 사용법 교육
④ 도움이 필요할 경우 호출 할 수 있도록 Nurse call 사용법 설명
⑤ 낙상 고위험군은 반드시 보호자가 같이 있도록 한다.
⑥ 수면 중 깨어서 화장실에 갈 때는 반드시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고 내려 오도록 한다.
⑦ 수술 등 침상안정 후 처음으로 보행을 시작 할 경우 보호자나 간호자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
⑧ 고위험군은 침대를 오르내리거나 걷거나 화장실 갈 때에 반드시 도움을 요청하도록 교육
⑨ 기구(전동침대, call bell, 보행보조기구, 휠체어)의 적절한 사용방법 교육
⑩ 휠체어나 cart를 사용하여 환자 이동시 side rail을 반드시 올리고 바퀴를 고정
⑪ 침상위에 서거나 일어서서 옷을 갈아입지 않도록 한다.
⑫ 목욕탕 이용은 반드시 보호자와 함께 하도록 한다.
(2) 환경관리
① 병실 순회시 환자 침대 바퀴가 고정확인
② 퇴원환자 침상 정리시 침대바퀴 고정 확인
③ 신환입원, 특히 응급실이나 중환자실, 수술실에서 환자이동시 반드시 간호사 동행하여 도움
④ 전깃줄, IV pole, 침상정리를 한 후에는 반드시 side rail 올릴 것
⑤ 보행 및 이동시 장애 확인
⑥ IV care, 치료, 침상정리를 한 후에는 반드시 side rail 올릴 것
⑦ 휠체어나 환자 운반용 cart는 고장 난 경우 즉시 수리
⑧ side rail 옆으로 낙상의 우려가 있는 경우 side board 대준다.
⑨ 바닥에 미끄러운 용액, 물을 흘리지 않도록 하며 바닥에 흘렸을 때는 즉시 닦도록 한다.
⑩ 정수기, 개수대 주변에 물이 흘러 있지 않은지 관찰한다.
⑪ 위험인자 제거, 안전하고, 움직이기 쉽게 개선)
침상 난간이 항상 올려 져 있었다.
낙상 점수가 낮아졌다.
아이가 침대에서 일어날 때 엄마가 항상 조심을 하였다.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6/22~27
규칙 적인 식사시간에 식사를 하였다.
아침:7시 점심:12시
저녁:6시
6/22~27
ⓝ,ⓢ- 하루한번 체중을 측정하였다.(제가 있을땐 제가 없을땐 선생님께서)
6/22
16kg
6/23
15.2kg
6/24
15.5kg
6/25
15.3kg
6/26
15.9kg
6/27
16.3kg
6/23~27
ⓢ- 깨끗한 환경을 위해 보호자가 원할 때 시트를 갈아 드렸다.
6/23
ⓝ- AM7:00 환아 보호자에게 아이가 코가 막혀서 입으로 숨을 쉬면 생이식염수 소량을 코 속에 점적하여 코 속 분비물을 제거 하도록 교육하였다.
영양부족 증상 없이 소아식을 섭취했다.
3일 이내 소변량이 증가했다.
입원동안 체중저하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4 입원과 관련된 불안
간호 사정
간호 계획
간호 수행
간호 평가
Sub.data
우리아이가 너무 아파해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아이가 병원에 입원한게 처음이라서 아무것도 모르겠어요
Obj. data
엄마가 아이를 많이 걱정하고, 열 측정 시 열이 높다고 하면 울 것 같은 표정을 지음.
아이 IV Line잡을 때 눈물을 보임
Nursing diagnosis
입원과 관련된 불안
Nursing goal
장기목표
- 병원 생활에 익숙해 지도록 돕는다.
- 아이의 질병 치료에 협조적이게 된다.
-
단기 목표
- 병원의 지리를 알게된다.
Nursing plan
병동안내, 병실 안내 시행한다.
질병의 단계와 예후에 대해 설명한다.
아동과 가족에게 간호 수행 시 설명 후 시행한다.
질문 하도록 격려한다.
정서적 지지를 한다.
아동의 감정표현을 돕기 위해 아동이 좋아하는 것을 하게 한다.
같은 병을 앓고 있는 아이의 부모와 대화를 할 수 있게 한다.
6/22
ⓝ- 내원시 병동안내, 병실안내를 설명하였다. ( 병실의 위치, 화장실의 위치, 다용도실의 위치와 사용방법, 병실안에 콜벨과 전화기 사용방법, 도난 방지를 위해 조심할 것 등을 설명하심)
6/22~27
ⓝ,ⓢ- 약을 줄때나, 투약등 을 시행할 때 약의 사용이유를 간단히 설명하였다.
DEXTROSE &
NAK
수액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ALPORIN
항생제입니다.
KLARICID
항생제입니다
COPAN
진해 거담제 로써 가래를 제거해 줍니다.
PROSPAN
진해 거담제 로써 가래를 제거해 줍니다.
VENTOLINE
진해 거담제 로써 가래를 제거해 줍니다.
TYLENOL
해열제로 열을 내립니다.
6/23~27
ⓢ- 병실에 들어가면 환아에게 말을 걸고 질문에 대답할 수 있도록 격려 하였다.
(처음에는 낯선지 대답을 피하고 엄마에게 안겼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대답도 잘하고 먼저 말을 걸어올 정도로 친해졌다.)
6/23
ⓢ- PM 9:00
환아의 보호자에게 먼저입원 해있던 옆 침대 환아의 보호자를 소개해 주었다.
6/23~27
ⓝ,ⓢ- 보호자가 환아의 아파하는 모습에 힘들어 할 때면
이럴 때 일수록 엄마가 힘을 내셔야 한다며 격려해 주었다.
6/22~27
ⓝ,ⓢ- 보호자의 질문에 성심성의 것 답을 해 주었다.
거의 무표정에 가깝던 아이의 얼굴이 엄마와 있을 때 밝아졌다.
질문에 대답도 안하던 아이가 질문에 대답을 하였다.
#5 환경 변화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간호 사정
간호 계획
간호 수행
간호 평가
Sub.data
아이가 침대에서 일어날 때 위험한것 같아요.
아이가 자고있는데 잠시 자리를 비워야 할것같은데 떨어지면 어쩌죠?
Obj. data
활력징후를 측정하러 갔을 때 아이가 링겔줄을 가지고 놀다 침상 밖으로 휘청거리는 모습을 보았다.
아이의 낙상 점수가
5.00l다.
Nursing diagnosis
환경 변화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Nursing goal
장기 목표
-아이의 낙상 점수가 낮아질 것이다.
단기 목표
- 아이가 낙상을 하지 않게 각별한 주의를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Nursing plan
침상 난간을 올리도록 교육한다.
낙상 위험에 대하여 환자에게 교육한다.
바닥이나 침상 주변의 물건을 정리한다.
6/22
ⓝ- 내원당시 낙상의 위험성을 알리고, 항상 침상 난간을 올릴것을 설명드림.
(ⓛ낙상예방지침을 교육
② side rail을 반드시 올려주며
③ 환자와 보호자에게 side rail 사용법 교육
④ 도움이 필요할 경우 호출 할 수 있도록 Nurse call 사용법 설명
⑤ 낙상 고위험군은 반드시 보호자가 같이 있도록 한다.
⑥ 수면 중 깨어서 화장실에 갈 때는 반드시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고 내려 오도록 한다.
⑦ 수술 등 침상안정 후 처음으로 보행을 시작 할 경우 보호자나 간호자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
⑧ 고위험군은 침대를 오르내리거나 걷거나 화장실 갈 때에 반드시 도움을 요청하도록 교육
⑨ 기구(전동침대, call bell, 보행보조기구, 휠체어)의 적절한 사용방법 교육
⑩ 휠체어나 cart를 사용하여 환자 이동시 side rail을 반드시 올리고 바퀴를 고정
⑪ 침상위에 서거나 일어서서 옷을 갈아입지 않도록 한다.
⑫ 목욕탕 이용은 반드시 보호자와 함께 하도록 한다.
(2) 환경관리
① 병실 순회시 환자 침대 바퀴가 고정확인
② 퇴원환자 침상 정리시 침대바퀴 고정 확인
③ 신환입원, 특히 응급실이나 중환자실, 수술실에서 환자이동시 반드시 간호사 동행하여 도움
④ 전깃줄, IV pole, 침상정리를 한 후에는 반드시 side rail 올릴 것
⑤ 보행 및 이동시 장애 확인
⑥ IV care, 치료, 침상정리를 한 후에는 반드시 side rail 올릴 것
⑦ 휠체어나 환자 운반용 cart는 고장 난 경우 즉시 수리
⑧ side rail 옆으로 낙상의 우려가 있는 경우 side board 대준다.
⑨ 바닥에 미끄러운 용액, 물을 흘리지 않도록 하며 바닥에 흘렸을 때는 즉시 닦도록 한다.
⑩ 정수기, 개수대 주변에 물이 흘러 있지 않은지 관찰한다.
⑪ 위험인자 제거, 안전하고, 움직이기 쉽게 개선)
침상 난간이 항상 올려 져 있었다.
낙상 점수가 낮아졌다.
아이가 침대에서 일어날 때 엄마가 항상 조심을 하였다.
키워드
추천자료
간경화, 간암, 복수, 간성혼수 case study
지주막하출혈 : SAH(subarachnoid hemorrhage) case study
소아당뇨 IDDM type 1 diabetes mellitus case study
제왕절개분만(c/sec)에 관한 case study report
급성신질환 (Acute Kidney Injury) case study
스타벅스 (Hotel management & Strategy STARBUCKS Case Study)
Chronic pancreatitis(만성 췌장염) Case Study
NICU 미숙아(Prematurity)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HBR(Harvard Business Review) case study - TTools : The Value of a Patent to the Entrepr...
(A+) 난소출혈 케이스 스터디 Ovarian Bleeding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위암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x
고빌리루빈혈증 (Hyperbilirubinemia) 간호과정 고위험신생아 케이스 case study
[노인간호학 실습] 치매 dementia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담관암, 담도암 케이스, cholangiocarcinoma, cas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