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상자 일반적 사항
2. 교과서와 대상자 자료 비교
3. 입원동안의 lab data, Intake & Output, Body weight 변화
4. 간호진단 목록 : 통증 : Lt. Flank
요관 폐쇄로 인한 수분정체와 관련된 체액과다
침습적 처지(PCN cath.)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5. 간호과정 - 간호진단에 따른 SOAP
2. 교과서와 대상자 자료 비교
3. 입원동안의 lab data, Intake & Output, Body weight 변화
4. 간호진단 목록 : 통증 : Lt. Flank
요관 폐쇄로 인한 수분정체와 관련된 체액과다
침습적 처지(PCN cath.)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5. 간호과정 - 간호진단에 따른 SOAP
본문내용
cath.)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P
1.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보이는지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① 매 2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한다.
② 활력 증후 측정시마다 카테터 삽입 부위의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ex) oozing, redness, itching, 분비물 등
③ 감염의 지표가 되는 검사결과를 모니터링 한다. ex) WBC, ESR, CRP, Neutrophil등
④ 감염의 증상과 징후가 나타났을 때 의사에게 알린다.
2. 감염예방을 위한 깨끗한 환경과 처치를 제공한다.
① 배액관을 비울 때 멸균법을 지킨다. ex) 장갑 끼기, 손 씻기 등
② dressing이 매일 이루어 졌는지 확인한다.
③ dressing 시 멸균법을 지켜서 시행되는지 관찰한다.
④ 배액관 삽입 부위를 항상 건조하게 유지시킨다.
⑤ 배액관에서 밖으로 분비물이 새어나왔는지 관찰한다.
⑥ 분비물이 나왔을 시, 바로 배액관을 교체하고 침대 시트를 교환한다.
⑦ 활력징후 측정 시 마다 배액관을 확인한다.
ex) 빠지지 않았는지 확인, 잘 배액되고 있는지 확인 등.
3. 감염예방에 보호자를 동참시킨다.
① 대상자를 만질 때마다 손을 씻도록 한다.
② 배액관을 만지지 않게 한다.
③ 배액관 삽입 부위의 거즈가 젖어서 축축해지면 간호사에게 알린다.
④ 상주하면서, 배액관이 빠지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⑤ 배액통이 삽입 부위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참고문헌>
이향련 외 (2007), 성인간호학, 수문사.
이은옥 외 (1999),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P
1.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보이는지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① 매 2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한다.
② 활력 증후 측정시마다 카테터 삽입 부위의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ex) oozing, redness, itching, 분비물 등
③ 감염의 지표가 되는 검사결과를 모니터링 한다. ex) WBC, ESR, CRP, Neutrophil등
④ 감염의 증상과 징후가 나타났을 때 의사에게 알린다.
2. 감염예방을 위한 깨끗한 환경과 처치를 제공한다.
① 배액관을 비울 때 멸균법을 지킨다. ex) 장갑 끼기, 손 씻기 등
② dressing이 매일 이루어 졌는지 확인한다.
③ dressing 시 멸균법을 지켜서 시행되는지 관찰한다.
④ 배액관 삽입 부위를 항상 건조하게 유지시킨다.
⑤ 배액관에서 밖으로 분비물이 새어나왔는지 관찰한다.
⑥ 분비물이 나왔을 시, 바로 배액관을 교체하고 침대 시트를 교환한다.
⑦ 활력징후 측정 시 마다 배액관을 확인한다.
ex) 빠지지 않았는지 확인, 잘 배액되고 있는지 확인 등.
3. 감염예방에 보호자를 동참시킨다.
① 대상자를 만질 때마다 손을 씻도록 한다.
② 배액관을 만지지 않게 한다.
③ 배액관 삽입 부위의 거즈가 젖어서 축축해지면 간호사에게 알린다.
④ 상주하면서, 배액관이 빠지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⑤ 배액통이 삽입 부위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참고문헌>
이향련 외 (2007), 성인간호학, 수문사.
이은옥 외 (1999),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