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목차
1.토공장비
2.굴착기계
1.기초공사용 장비
2. 천공장비
3.Excavation Equipment
3.운송장비
1.Dump Truck
2.Bull Dozer
4.기타장비
1. Grader
2.굴착기계
1.기초공사용 장비
2. 천공장비
3.Excavation Equipment
3.운송장비
1.Dump Truck
2.Bull Dozer
4.기타장비
1. Grader
본문내용
등이다. 즉, 완성단계의 토공작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측구나 가벼운 굴삭작업등에도 보조적으로 쓰인다.
(2) 자갈 도로 보수작업 : 도로 보수용 재료로서 모래 및 자갈의 고르기 작업은 Grader 작업에 가장 적합하고, 특히 일반토사 등은 다른장비의 도움이 없이 쉽게 고르기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진흙이나 단단한 흙 등은 Scarifier로 표면을 긁어내면 후속작업, 즉 로면 정지작업 등이 가능케 된다.
(3) 비행장 활주로 건설작업 : 활주로와 유도로 등 넓은 노면 축조에는 여러대로 구성되는 Grader의 연속작업이 유효 적절하며 최근에는 Jet 여객기를 위한 비행장 확장공사 등에 이러한 작업방법이 쓰이고 있다. 특히 Asphalt Finisher가 없을 때 Grader로서 로면에 살포될 역청제와 자갈을 Mixing한 실예도 있었다.
(4) 법면의 형성과 측구 굴삭작업 : 일반 Grader로 수행하는 폭과 깊이가 얕은 측구 굴삭작업의 토공작업의 대부분이지만, 최근에는 Elevating Grader가 출현함으로써 암거의 뒤 채움작업과 이에 연관된 작업, 횡단 구배의 법면작업에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1-5-2 작업 형태별 시공방법
(1) 절삭, 정형작업
(2) 장해물 제거작업
(3) 재료의 이동 및 혼합작업
(4) 기타(Asphalt 포장 등의 긁어 뒤집어 엎기)
1-5-3 Blade의 추진각과 절삭각
차체 진행 방향과 Blade와의 교각을 추진각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60° 전후이다. 또한, 지면과 Blade와의 교각을 절삭각이라고 하며 지면이 단단할수록 각을 작게 하여야 한다.
Blade의 추진각과 절삭각
1-5-4 Blade의 작동위치에 따른 작업
(1) 정지자세 : Motor Grader의 일반적인 자세로서 평지의 절삭, 정형, 도량파기, 제설작업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 자세는 Scarifier를 최대로 올리고 Circle을 차체 중앙의 좌측방향으로, 토상의 유출량방향으로 Leaning시킨다. Blade 추진각은 60° 정도 (단단한 흙의 절삭 : 45°, 연한 토질 55°, 흙 북돋기 : 60°, 뒷마루나 정지작업 : 90°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이다.
(2) 도랑파기 자세 : 이 자세는 Blade의 끝부분을 사용하여 평지를 V형으로 도랑을 파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Blade 추진각은 20-25° 정도로 작고 우측자세의 경우 Blade 우측 끝부분이 우측 앞바퀴 뒤에 외측으로 놓여져서 작업을 하게 된다.
(3) Shoulder Reach 자세 : Blade를 옆으로 이동시켜 노견을 정지하는데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노견등의 구석끝까지 Grader를 충분히 접근시키지 못할 경우에 사용한다. Blade가 돌출되는 것이 클수록 차체 각 부분에 걸리는 비틀림, 휨 Moment가 커지므로 조향은 가능하지만 그다지 큰 절삭력은 기대하기가 어렵고 도랑파기나 노견부의 정지작업에 유리하다.
(4) Back cut 자세 : Blade를 측면 상방향으로 90° 정도로 세워서 Grader가 있는 지면보다 높은 경사면의 절삭, 정형작업에 이용한다. 이 자세는 도랑파기 자세를 측방향으로 완전히 돌려서 사용하는 자세로서 Blade 절삭각은 법면의 구배 높이가 다른 부정지의 경우 및 단순한 노면의 절삭등에 따라 다르다. 법면의 구배, 높이가 다른 부정지의 경우 및 단순한 노면의 절삭등에 따라 다르다. 법면의 구배가 작은 경우 (10° 이내)에는 사면에 따라 정지하는 작업이 가능하나, 10° 이상인 안정상 위험이 따른다.
(5) Scarifier 자세 : Scarifier 자세는 Blade를 올리고 대신 Scarifier를 내려서 노면의 잡초 및 나무뿌리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한다.
1-6 작업량 계산방법
Grader의 작업능력은 다음과 같이 면적과 토량이 2가지로 산출할 수가 있다.
- 작업량을 면적으로 표시하는 경우(도로보수, 정지등)
A = 1,000 X b X V X E / N ······식(2-2-20)
- 작업량을 토량으로 나타내는 경우 (재료의 면 고르기등)
Q = 1,000 X b X V X H X f X E / N·········식(2-2-21)
여기서
A : 시간당 작업면적(㎡/H)
Q : 시간당 작업량(㎥/H)
b : Blade or Scarifier의 유효폭(m)
V : 평균 작업속도(km/H)
N : 긁어내거나 면 고르는 회수(회)
H : 고르기 면의 마무리 두께(m)
f : 토량 환산 계수
E : 작업효율
(1) Blade 및 Scearifier의 유효폭
Blade의 유효폭
Blade의 유효폭 = (Blade폭 X sinθ) - 중첩폭
Scarifier 의 유효폭
Scarifier 의 유효폭 = Scarifier 의 긁어내는 폭 - 중첩폭
(2) 평균 작업속도 : V
- 전진으로 작업하고 후진으로 회송할 경우
V = V1 X V2 / V1 + V2 (km/H)
- 방향변환 또는 Blade를 선회하고 왕복작업할 경우
V = D / (D/V1+T/60) (km/H)
여기서
V1 : Gear의 변속시간을 포함한 작업속도 (km/H)
V2 : Gear의 변속시간을 포함한 회송속도 (km/H)
D : 작업거리 (편도)
T : 방향변환 또는 Blade의 선회시간(min)
전진으로 작업하고 후진으로 회송하는 경우 평균 작업속도
(3) 긁어내거나 면 고르는 회수(N)
- 요철이 심한 지면 정지작업 : 긁어 일으키는 회수 : 2-3회
면 고르기 회수 : 3-5회
- 재료의 면 고르기 작업 : 면 고르기 회수 : 5-14회
(4) 고르기 면의 마무리 두께(m) : H
한층의 마무리 두께로 하며 일반적으로 10-30cm가 되고 있다.
(5) 작업효율 : E
Grader의 작업효율은 다음 표과 같다.
작업효율 : (E)
1-6-1 합성 작업량의 산정
1대의 Motor Grader로 긁어내는 작업과 면 고르기 작업을 병행할 경우의 온전시간당 합성 작업량은 식와 같다.
A = A1 X A2 / A1 + A2 (㎡/H)
여기서
A : 시간당 합성 작업량(㎡/H)
A1 : 시간당 긁어 일으키는 작업량(㎡/H)
A2 : 시간당 면 고르기 작업량(㎡/H)
(2) 자갈 도로 보수작업 : 도로 보수용 재료로서 모래 및 자갈의 고르기 작업은 Grader 작업에 가장 적합하고, 특히 일반토사 등은 다른장비의 도움이 없이 쉽게 고르기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진흙이나 단단한 흙 등은 Scarifier로 표면을 긁어내면 후속작업, 즉 로면 정지작업 등이 가능케 된다.
(3) 비행장 활주로 건설작업 : 활주로와 유도로 등 넓은 노면 축조에는 여러대로 구성되는 Grader의 연속작업이 유효 적절하며 최근에는 Jet 여객기를 위한 비행장 확장공사 등에 이러한 작업방법이 쓰이고 있다. 특히 Asphalt Finisher가 없을 때 Grader로서 로면에 살포될 역청제와 자갈을 Mixing한 실예도 있었다.
(4) 법면의 형성과 측구 굴삭작업 : 일반 Grader로 수행하는 폭과 깊이가 얕은 측구 굴삭작업의 토공작업의 대부분이지만, 최근에는 Elevating Grader가 출현함으로써 암거의 뒤 채움작업과 이에 연관된 작업, 횡단 구배의 법면작업에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1-5-2 작업 형태별 시공방법
(1) 절삭, 정형작업
(2) 장해물 제거작업
(3) 재료의 이동 및 혼합작업
(4) 기타(Asphalt 포장 등의 긁어 뒤집어 엎기)
1-5-3 Blade의 추진각과 절삭각
차체 진행 방향과 Blade와의 교각을 추진각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60° 전후이다. 또한, 지면과 Blade와의 교각을 절삭각이라고 하며 지면이 단단할수록 각을 작게 하여야 한다.
Blade의 추진각과 절삭각
1-5-4 Blade의 작동위치에 따른 작업
(1) 정지자세 : Motor Grader의 일반적인 자세로서 평지의 절삭, 정형, 도량파기, 제설작업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 자세는 Scarifier를 최대로 올리고 Circle을 차체 중앙의 좌측방향으로, 토상의 유출량방향으로 Leaning시킨다. Blade 추진각은 60° 정도 (단단한 흙의 절삭 : 45°, 연한 토질 55°, 흙 북돋기 : 60°, 뒷마루나 정지작업 : 90°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이다.
(2) 도랑파기 자세 : 이 자세는 Blade의 끝부분을 사용하여 평지를 V형으로 도랑을 파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Blade 추진각은 20-25° 정도로 작고 우측자세의 경우 Blade 우측 끝부분이 우측 앞바퀴 뒤에 외측으로 놓여져서 작업을 하게 된다.
(3) Shoulder Reach 자세 : Blade를 옆으로 이동시켜 노견을 정지하는데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노견등의 구석끝까지 Grader를 충분히 접근시키지 못할 경우에 사용한다. Blade가 돌출되는 것이 클수록 차체 각 부분에 걸리는 비틀림, 휨 Moment가 커지므로 조향은 가능하지만 그다지 큰 절삭력은 기대하기가 어렵고 도랑파기나 노견부의 정지작업에 유리하다.
(4) Back cut 자세 : Blade를 측면 상방향으로 90° 정도로 세워서 Grader가 있는 지면보다 높은 경사면의 절삭, 정형작업에 이용한다. 이 자세는 도랑파기 자세를 측방향으로 완전히 돌려서 사용하는 자세로서 Blade 절삭각은 법면의 구배 높이가 다른 부정지의 경우 및 단순한 노면의 절삭등에 따라 다르다. 법면의 구배, 높이가 다른 부정지의 경우 및 단순한 노면의 절삭등에 따라 다르다. 법면의 구배가 작은 경우 (10° 이내)에는 사면에 따라 정지하는 작업이 가능하나, 10° 이상인 안정상 위험이 따른다.
(5) Scarifier 자세 : Scarifier 자세는 Blade를 올리고 대신 Scarifier를 내려서 노면의 잡초 및 나무뿌리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한다.
1-6 작업량 계산방법
Grader의 작업능력은 다음과 같이 면적과 토량이 2가지로 산출할 수가 있다.
- 작업량을 면적으로 표시하는 경우(도로보수, 정지등)
A = 1,000 X b X V X E / N ······식(2-2-20)
- 작업량을 토량으로 나타내는 경우 (재료의 면 고르기등)
Q = 1,000 X b X V X H X f X E / N·········식(2-2-21)
여기서
A : 시간당 작업면적(㎡/H)
Q : 시간당 작업량(㎥/H)
b : Blade or Scarifier의 유효폭(m)
V : 평균 작업속도(km/H)
N : 긁어내거나 면 고르는 회수(회)
H : 고르기 면의 마무리 두께(m)
f : 토량 환산 계수
E : 작업효율
(1) Blade 및 Scearifier의 유효폭
Blade의 유효폭
Blade의 유효폭 = (Blade폭 X sinθ) - 중첩폭
Scarifier 의 유효폭
Scarifier 의 유효폭 = Scarifier 의 긁어내는 폭 - 중첩폭
(2) 평균 작업속도 : V
- 전진으로 작업하고 후진으로 회송할 경우
V = V1 X V2 / V1 + V2 (km/H)
- 방향변환 또는 Blade를 선회하고 왕복작업할 경우
V = D / (D/V1+T/60) (km/H)
여기서
V1 : Gear의 변속시간을 포함한 작업속도 (km/H)
V2 : Gear의 변속시간을 포함한 회송속도 (km/H)
D : 작업거리 (편도)
T : 방향변환 또는 Blade의 선회시간(min)
전진으로 작업하고 후진으로 회송하는 경우 평균 작업속도
(3) 긁어내거나 면 고르는 회수(N)
- 요철이 심한 지면 정지작업 : 긁어 일으키는 회수 : 2-3회
면 고르기 회수 : 3-5회
- 재료의 면 고르기 작업 : 면 고르기 회수 : 5-14회
(4) 고르기 면의 마무리 두께(m) : H
한층의 마무리 두께로 하며 일반적으로 10-30cm가 되고 있다.
(5) 작업효율 : E
Grader의 작업효율은 다음 표과 같다.
작업효율 : (E)
1-6-1 합성 작업량의 산정
1대의 Motor Grader로 긁어내는 작업과 면 고르기 작업을 병행할 경우의 온전시간당 합성 작업량은 식와 같다.
A = A1 X A2 / A1 + A2 (㎡/H)
여기서
A : 시간당 합성 작업량(㎡/H)
A1 : 시간당 긁어 일으키는 작업량(㎡/H)
A2 : 시간당 면 고르기 작업량(㎡/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