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보다 ‘어머니’에게 맞춰져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했다. 교사의 역할은 과연 무엇인가. 교사는 교육자이므로 학생을 잘 교육하는 것이 그의 역할이다. 하지만, 교육자이기 이전에, 인간 대 인간으로서 그들의 삶이 좀 더 행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역시 교사의 역할이 아닐까. 특히 아직 완성되지 않은, 얼마든지 바꾸어질 수도 있는 이런 아동기에 만약 좀 더 나은 생활로 더 나은 모습으로 바꾸어줄 수 있다면 그들을 그렇게 도와주는 것이 유아교사의 역할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정말 유아교사는 교육자의 입장에서보다는 또 하나의 부모라는 생각으로 아이들을 내 자식같이 품어, 부모와 떨어져 있는 시간동안 더욱 부모의 정을 느낄 수 있도록 더 많이 돌보고 더 많이 사랑해주어야 마땅하다는 생각이 든다.
키워드
추천자료
교회 안에서의 유아상담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상담심리학] 형태주의 치료에 대한 모든 것
산타가 만난 아이들 - 윤철수
청소년문화 및 청소년 문제,상담 기술
'부모와 아이사이'를 읽고
특수아 상담 -투렛 증후군 중심
딥스를 읽고... (상담학도 관점에서 비평)
[감상문,독후감] 열일곱을 위한 청춘상담 - ‘외로워서 그랬어요’를 읽고... _ 문경보 저
[놀이치료]놀이치료의 의미, 놀이치료의 필요성, 놀이치료의 레크리에이션(레크레이션) 적용,...
[기독교적 상담 과제] 열등감(Inferiority)과 자존감(Self-Esteem)
[심리치료와 상담] 로저스(Carl Rogers)의 생애(성장과정과 교육배경)와 인간중심치료의 발전...
이혼문제 가족상담(離婚問題 家族相談)에 대하여 본인의 이혼에 대한 가치관을 중심으로 서술...
[생활지도와 상담] 위축 · 고립된 학생의 행동특성과 발생원인 및 위축 · 고립된 학생에 대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