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비논리적이지만 중국 근로자 한 사람의 1년 동안 최대 생산 가능한 셔츠의 생산량 100벌을 생산한 후에 50벌을 미국의 컴퓨터 8대와 교환한다고 할 경우 점 B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국은 소비를 미국과 교역하지 않을 때보다 3대의 컴퓨터를 더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미국은 컴퓨터만 생산한다고 할 경우 20대의 컴퓨터를 생산할 경우 중국의 100벌의 셔츠를 얻으면서 컴퓨터를 8대 주게 되어 미국도 2대의 컴퓨터를 교역하지 않을 때보다 더 소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은 B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국가는 양 국가의 기회비용 수준 내에서 거래시 서로 생산가능곡선을 벗어난 값을 얻을 수 있게 되어 교역으로 인해 양 국가 모두 이득이 발생하게 된다.
두 나라가 거래하게 되는 (셔츠 수량으로 표시한) 컴퓨터의 가격은 얼마가 될지 설명하라.
답: 기회비용 개념이다. 컴퓨터의 가격은 미국이 교역하지 않을 때의 (셔츠수량으로 표시한)컴퓨터의 가격 5벌보다 높은 가격이어야 하며 중국이 교역하지 않을 때의 (셔츠수량으로 표시한) 컴퓨터의 가격 10벌보다 낮은 가격이어야 한다. 컴퓨터의 가격(P)를 부등호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P(5) 만약 중국이 기술개발을 통해 중국 근로자들도 미국과 같이 최대 100벌의 셔츠 또는 20대의 컴퓨터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자. 이제 어떤 무역 패턴이 나타날까? 중국의 이와 같은 기술진보가 두 나라의 경제복지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답: 중국이 기술개발을 통해 중국 근로자들도 미국과 같은 최대 100벌의 셔츠 또는 20대의 컴퓨터를 생산할 수 있는 생산가능곡선을 갖게 되면 양 국은 서로 같은 생산가능곡선을 갖고 또한 기회비용도 서로 같으므로 서로 교역을 해도 이득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양국 간에는 교역을 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 양국은 서로 비교우위에 있는 다른 나라들과 교역을 하려 할 것이다. 중국의 이와 같은 기술진보는 교역을 하지 않을 때의 미국과 같은 수준의 경제적 복지를 갖게 되어 중국에는 좋은 일이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중국과의 관계에서는 서로 비교우위가 없어서 교역을 하지 못하므로 미국의 경우는 종전의 교역을 할 때는 생산가능곡선 수준 위의 경제복지를 누릴 수 있었으나 양국 간에 비교우위가 존재하지 않아 교역을 할 때보다 경제적 복지 수준이 감소하게 된다.
다음의 주장이 맞는지 틀리는지 말하고, 각각의 이유를 설명하라.
한 나라가 다른 나라에 비해 모든 재화의 생산에서 절대우위가 있더라도 두 나라는 교역을 통해 모두 이득을 볼 수 있다.
답: 맞다. 절대우위에 있더라도 양국 간에 적어도 한 가지 재화라도 비교우위가 존재하면 두 나라는 교역을 통해 모두 생산가능곡선을 벗어난 곳에 값을 갖게 되는 경제적 이득을 볼 수 있다.
어떤 유능한 사람은 다른 사람에 비해 모든 일에서 비교우위가 있다.
답: 틀리다. 어떤 유능한 사람은 다른 사람에 비해 모든 일에서 절대우위는 존재할 수 있지만 다른 사람에 능력에 완전정비례하지 않는 이상 모든 일에서의 비교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어떤 거래를 통해 한 사람이 이득을 본다면 다른 사람은 이득을 볼 수 없다.
답: 어떤 거래를 통해 한 사람이 이득을 본다면 다른 사람도 이득을 볼 수 있다. 각자가 비교우위에 있는 재화와 서비스에 특화해서 거래한다면 거래자와 거래 상대방 모두 거래를 통한 이득을 볼 수 있다.
미국은 전세계에 옥수수와 비행기를 수출하고 있다. 한편, 미국은 석유와 의류를 전세계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이런 무역 패턴이 비교우위의 원리에 부합한다고 생각하는가? 그 이유를 설명하라.
답: 비교우위의 원리에 부합한다. 미국은 옥수수도 생산할 수 있고 비행기를 생산할 수도 있고 석유도 생산할 수 있고 의류도 생산할 수 있다. 하지만 전세계에서 옥수수와 비행기의 생산에 대해 미국이 가장 작은 기회비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옥수수와 비행기를 특화해서 세계에 수출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은 또한 석유도 생산할 수 있고 의류도 생산할 수 있지만 석유와 의류는 미국보다 기회비용이 적게 드는 존재하는 전세계 어느 곳에서나 수입하게 되면 미국이 교역하지 않을 때 갖는 기회비용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무역 패턴은 비교우위의 원리에 부합한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이 단순히 비교우위의 개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석유같은 경우는 미래의 자원을 아끼는 이유도 있을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이러한 무역 패턴은 비교우위의 원리에 부합한다.
두 나라가 거래하게 되는 (셔츠 수량으로 표시한) 컴퓨터의 가격은 얼마가 될지 설명하라.
답: 기회비용 개념이다. 컴퓨터의 가격은 미국이 교역하지 않을 때의 (셔츠수량으로 표시한)컴퓨터의 가격 5벌보다 높은 가격이어야 하며 중국이 교역하지 않을 때의 (셔츠수량으로 표시한) 컴퓨터의 가격 10벌보다 낮은 가격이어야 한다. 컴퓨터의 가격(P)를 부등호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P(5) 만약 중국이 기술개발을 통해 중국 근로자들도 미국과 같이 최대 100벌의 셔츠 또는 20대의 컴퓨터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자. 이제 어떤 무역 패턴이 나타날까? 중국의 이와 같은 기술진보가 두 나라의 경제복지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답: 중국이 기술개발을 통해 중국 근로자들도 미국과 같은 최대 100벌의 셔츠 또는 20대의 컴퓨터를 생산할 수 있는 생산가능곡선을 갖게 되면 양 국은 서로 같은 생산가능곡선을 갖고 또한 기회비용도 서로 같으므로 서로 교역을 해도 이득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양국 간에는 교역을 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 양국은 서로 비교우위에 있는 다른 나라들과 교역을 하려 할 것이다. 중국의 이와 같은 기술진보는 교역을 하지 않을 때의 미국과 같은 수준의 경제적 복지를 갖게 되어 중국에는 좋은 일이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중국과의 관계에서는 서로 비교우위가 없어서 교역을 하지 못하므로 미국의 경우는 종전의 교역을 할 때는 생산가능곡선 수준 위의 경제복지를 누릴 수 있었으나 양국 간에 비교우위가 존재하지 않아 교역을 할 때보다 경제적 복지 수준이 감소하게 된다.
다음의 주장이 맞는지 틀리는지 말하고, 각각의 이유를 설명하라.
한 나라가 다른 나라에 비해 모든 재화의 생산에서 절대우위가 있더라도 두 나라는 교역을 통해 모두 이득을 볼 수 있다.
답: 맞다. 절대우위에 있더라도 양국 간에 적어도 한 가지 재화라도 비교우위가 존재하면 두 나라는 교역을 통해 모두 생산가능곡선을 벗어난 곳에 값을 갖게 되는 경제적 이득을 볼 수 있다.
어떤 유능한 사람은 다른 사람에 비해 모든 일에서 비교우위가 있다.
답: 틀리다. 어떤 유능한 사람은 다른 사람에 비해 모든 일에서 절대우위는 존재할 수 있지만 다른 사람에 능력에 완전정비례하지 않는 이상 모든 일에서의 비교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어떤 거래를 통해 한 사람이 이득을 본다면 다른 사람은 이득을 볼 수 없다.
답: 어떤 거래를 통해 한 사람이 이득을 본다면 다른 사람도 이득을 볼 수 있다. 각자가 비교우위에 있는 재화와 서비스에 특화해서 거래한다면 거래자와 거래 상대방 모두 거래를 통한 이득을 볼 수 있다.
미국은 전세계에 옥수수와 비행기를 수출하고 있다. 한편, 미국은 석유와 의류를 전세계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이런 무역 패턴이 비교우위의 원리에 부합한다고 생각하는가? 그 이유를 설명하라.
답: 비교우위의 원리에 부합한다. 미국은 옥수수도 생산할 수 있고 비행기를 생산할 수도 있고 석유도 생산할 수 있고 의류도 생산할 수 있다. 하지만 전세계에서 옥수수와 비행기의 생산에 대해 미국이 가장 작은 기회비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옥수수와 비행기를 특화해서 세계에 수출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은 또한 석유도 생산할 수 있고 의류도 생산할 수 있지만 석유와 의류는 미국보다 기회비용이 적게 드는 존재하는 전세계 어느 곳에서나 수입하게 되면 미국이 교역하지 않을 때 갖는 기회비용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무역 패턴은 비교우위의 원리에 부합한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이 단순히 비교우위의 개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석유같은 경우는 미래의 자원을 아끼는 이유도 있을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이러한 무역 패턴은 비교우위의 원리에 부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