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언어의 사용환경과 탈규범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통신 언어의 사용 환경

3. 통신 언어의 탈규범성

4. 맺음말

5. 관련 연구 보충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여’, ‘-염’, ‘-엽’, ‘-영’, ‘-욥’, ‘-욧’ 등으로의 다양한 변용이라든지, 자음 첨가나 모음 변화, 문장 부호나 표정문자 사용 등을 통해 다양한 표기로 차별성을 강조하고 있다. 감정을 나타내는 의성어와 의태어의 사용도 차별성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나타난다.
이시훈(2004)에서 국내 대학생들의 인터넷 통신언어 사용실태에 대해 (2003년8월25~28일, 대구지역 192명, 남자 71명 여자 120명) 자주 사용하는 통신언어를 5개씩 적도록 조사 및 분류한 결과, ‘비문법적인 언어’의 사용이 60.7%, ‘은어와 비속어’의 사용이 9.2%, ‘외래어와 외국어’의 사용이 2.9%, ‘방언’의 사용이 2.4%, ‘폭력어와 공격어’의 사용이 0.6%, ‘축약어와 이모티콘’의사용이 24.3%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의정도 결과와 차이가 있는 것은 주로 비문법적인 표현과 축약어와 이모티콘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동의정도가 높았던 방언은 실제 주로 사용하는 언어에는 상대적으로 많이 등장하지 않았다(<그림1> 참조).
<그림 1> 인터넷 통신시 자주 사용하는 통신언어
6. 참고문헌
구현정, (2002. 6), 「통신언어 - 언어문화의 포스트모더니즘」, 국어학회, 국어학 國語學 제39집
윤상한, (2004. 7), 「컴퓨터 통신언어에 관한 고찰-한국어와 일본어에 나타난 용례를 중심으로-」 시아일본학회, 일본문화연구 제11집
이시훈, (2004. 4), 「인터넷 통신언어의 사용 현황과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제4권 1호
이정복(2003) 『인터넷 통신 언어의 이해』, 월인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2.08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17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