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논의 과제의 중요성
2. 각 주장에 대한 근거와 문제점
<찬성 의견>
<반대 의견>
3. 현재 학교문법이나 일반적인 통설의 내용
4. 정리
5. 참고문헌
2. 각 주장에 대한 근거와 문제점
<찬성 의견>
<반대 의견>
3. 현재 학교문법이나 일반적인 통설의 내용
4. 정리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지 현상만으로 한국어가 알타이제어와 친근 관계에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어순이라든가 모음조화는 언어 간의 친근 관계를 단정할 만한 근거가 될 수 없으며, 다만 참고가 될 뿐이다. 더욱 주목할 만한 것은 위의 예문 가운데서 한국어와 유사한 낱말이 하나도 없다는 사실이다.
한국어와 알타이제어 사이에는 분명히 유사성이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그들 언어 간에 친근 관계를 가정할 만한 근거가 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공통적 유사성이 과연 친근 관계에서 유래한 것인지 증명되어야 한다. 언어의 계통 연구는 여기서 증명의 단계에 들어서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어 계통 연구는 지금 어느 단계에 있는가? 이것은 중요한 문제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한국어의 계통 연구는 알타이제어와의 친근 관계를 가정하고 지금 그것을 증명하고 있는 단계에 있다고 보아야 옳을 것이다. 그리고 아직 증명의 연구가 완성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단언을 할 수 있는 입장이 되지 못한다.
<참고문헌>
최기호(1993), “한국어의 계통 문제”, 한몽공동학술연구, Vol.-No.2[1993], 267-280p.
최기호(1997), “알타이어족설의 문제점”, 東北亞硏究, Vol.2 No-[1997], 9-19p.
고영근編(2005), 국어학연구사 - 흐름과 動向 -, 서울 : 학연사.
이기문(2003), “한국어와 알타이제어의 친족관계”, 한국사시민강좌 제32집 pp,161~184
김방한(1990), “한국어는 과연 알타이어족인가”, 세계와 나 ;1990 5월호
손주일, “한국인의 계통을 찾아서”
한국어와 알타이제어 사이에는 분명히 유사성이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그들 언어 간에 친근 관계를 가정할 만한 근거가 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공통적 유사성이 과연 친근 관계에서 유래한 것인지 증명되어야 한다. 언어의 계통 연구는 여기서 증명의 단계에 들어서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어 계통 연구는 지금 어느 단계에 있는가? 이것은 중요한 문제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한국어의 계통 연구는 알타이제어와의 친근 관계를 가정하고 지금 그것을 증명하고 있는 단계에 있다고 보아야 옳을 것이다. 그리고 아직 증명의 연구가 완성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단언을 할 수 있는 입장이 되지 못한다.
<참고문헌>
최기호(1993), “한국어의 계통 문제”, 한몽공동학술연구, Vol.-No.2[1993], 267-280p.
최기호(1997), “알타이어족설의 문제점”, 東北亞硏究, Vol.2 No-[1997], 9-19p.
고영근編(2005), 국어학연구사 - 흐름과 動向 -, 서울 : 학연사.
이기문(2003), “한국어와 알타이제어의 친족관계”, 한국사시민강좌 제32집 pp,161~184
김방한(1990), “한국어는 과연 알타이어족인가”, 세계와 나 ;1990 5월호
손주일, “한국인의 계통을 찾아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