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의 물결[역사 속에서 보아야 할 중국의 사회이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개방의 물결[역사 속에서 보아야 할 중국의 사회이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갔는데 5Kg 단위로 쪼개야 한다든지 천으로 된 자루를 이용해야 한다든지 또 자루에 넣기 위해 가위 바늘을 사서 꿰맨다든지 하는 귀찮은 일로 오전 내내 시간을 끌었다. 그러다가 청소부에게 약간의 돈을 찔러주니 단숨에 상자를 담당직원으로부터 살 수 있어서 앞서 말한 규격이나 5Kg의 제약에 구애받지 않고 부쳤다는 이야기다. 또 국내으 비행기표도 암표장사의 손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비싼 가격을 주어도 사기 어려운 실정이며 이것이 중국 개방에 따른 문제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같은 현상을 신중국의 경제개방에서 빚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알고보면 이러한 폐단은 전통의 봉건적인 관료정치에 뿌리박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지 않으면 안된다. 신중국은 오랜 봉건제의 누적된 잔재를 말끔히 씻는 데 누명을 뒤집어쓰고 있는지도 모른다. 관리의 비리는 긴 역사적 배경을 지니고 있다.
고대로부터 오랜 중국에서는 “농사를 지어서 얻는 이익은 2배이고 상업을 해서 버는 이익은 10배이며, 관리가 되어서 얻는 이익은 무한하다”라는 속담이 있다. 이것은 관리와 ‘파차이(發財)’의 관계를 고질적으로 드러낸 말이다. 종래 중국사회에서 관리의 특권과 실리(實利), 돈과의 관계에 대해서 왕아남(王亞男)은 소극적인 의미로는 재산을 보호하고 적극적인 의미로는 재산을 증식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하였다(『中央官 政治硏究』, 1981). 또 그는 중국에서는 진(秦) 이후 지주경제의 기초 위헤서 집권적인 전제관료의 봉건체제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중국의 전형적이고 특수한 정체사회가 고착되었다고 말하였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관리가 되면 곧 돈이 생긴다는 ‘쭤관파차이(做官發財)’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이 말의 뜻을 이해하려면 ‘성관파차이(陞官發財)’라는 청나라의 서리제도(胥吏制度)를 알지 않으면 안된다. 한마디로 그것은 아무리 깨끗한 관리라 할지라도 3년 동안 10만 냥(兩)은 거뜬히 벌게 된다는 속담에서도 알 수 있다(三年淸知府十萬雪花銀).
청나라 최말단의 지방장관은 지현(知縣)과 지주(知州)였는데, 이들의 임기는 3년이었다. 이들이 처음 부임해 올 때나 외출 때에는 백성들에게 위엄을 보이기 위하여 행렬을 갖추어 행차를 하였을 뿐만 아니라 부이해 올 때는 그들의 가족ㆍ친족ㆍ가정(家丁)ㆍ막우(幕友) 등을 데리고 현청(縣聽)으로 들어왔다. 이들의 수는 엄청ㄴ서 적게는 수백 명이고 많게는 천 명을 넘었다고 한다. 이같은 잔재로 요즘도 집안에서 한 사람이 공직에서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2.16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30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